최근 수정 시각 : 2024-05-15 02:31:35

Eddsworld/여담


파일:Eddsworld_Series_Logo.png

1. 개요2. 일반3. 레거시4. 비욘드5. 기타

1. 개요

Eddsworld에 대한 기타 잡다한 정보를 서술하는 문서.

2. 일반

  • 에드가 처음 만든 웹사이트 이름은 'Edd's kill-a-thon'이었으나, 사이트 이름이 폭력적이라는 이유로 관리자들에게 반려당하자 새로 만든 게시판 이름이 Edd's World이다.
  • 발렌타인 에피소드와 DVD 계획이 있었지만 취소되었다고 한다.
  • 에즈월드의 2000년대 에피소드에서 나오는 브금들은 음원 사이트에서 찾아서 쓴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몇몇 영상들은 브금 때문에 저작권에 걸려 삭제되었고, 삭제된 에피소드들은 모두 브금을 갈아끼워 Eddsworld Extra 채널에 업로드 되어 있다.
  • 당시 에드가 연재하던 시절에 그냥 취미 삼아 연재한 것으로 에피소드 하나당 제작 기간은 7개월에서 1년이 걸린다고 한다.
  • 2000년대 에피소드 중에서 평범한 에피소드이지만 현재의 팬들에게 매우 슬픈 여운을 남긴 편들도 있는데, 바로 Christmas Visitor와 Breakfast다. Christmas Visitor는 저승사자가 에드의 목숨을 가져가려다 그레이비 소스 때문에 실패해 다시 돌아가나, 그로부터 6년 뒤에 에드가 세상을 떠났다.
  • 유독 좀비와 관련된 에피소드가 많으며, 좀비와 상관없는 에피소드에서도 종종 모습을 드러낸다. 아마도 에드가 생전에 좀비 영화를 좋아했던 것 과도 관련이 있을 듯.
  • 2000년대 에피소드 중에서 세대차이가 느껴지는 요소가 있다. Hello Hellhole에서 2006년의 구글 모습[2]이 나온다거나, Zombie Nation에서 매트가 피쳐폰을 쓴다거나[3] CD 플레이어로 영화를 본다거나 그 외에도 여러가지 요소들이 있다.
  • B급 영화 느낌이 나는 에피소드들이 많으며, B급 영화를 보는 에피소드도 간간이 있다.

3. 레거시

  • 레거시가 끝나고 1년 뒤, 2017년에 스튜디오가 에즈월드 옷과 캐릭터를 만들어 판매했다.
  • 2016년 레거시가 끝나고 제작진들과 출연진들이 모여 인터뷰를 한 적이 있다.
  • 에즈월드 레거시는 암으로 죽은 에드를 추모하기 위해 CLIC Sargent에 여러 번 기부했다. 그 후 CLIC Sargent는 도시에 암 환자와 가족들이 무료로 휴가를 지낼 수 있는 주택을 세웠는데, 주택의 이름이 Edd's Place다.
  • 토드가 탈퇴한 이후 Eddsworld 세계관에서 정체불명의 군인 집단[4]에 대한 떡밥이 나오기 시작했는데 이 집단을 나타내는 상징이 토드의 머리 스타일과 비슷하게 생긴 로고이다. 몇몇 사람들은 "WTFuture" 에피소드에서 미래 톰이 언급했던 타임머신을 개발한 레드 리더를 토드로 보고, 미래의 군사 집단과 현 군 자경단을 연결 짓기도 한다.[5]
  • 2013년, Eddsworld 10주년 개념으로 Eddsworld 영화도 개봉할 예정이었다. 팬메이드 영상이지만 공식으로 인증을 받고 있는 듯 하다. 감독은 마크 로발로이며, The End의 일부 장면을 그렸다. 그러나 2020년에 공식이 4년만에 복귀하며 팬덤에게 팬무비는 더이상 필요있지 않다 판단하여 취소되었다. 유튜브에 풀영상으로 애니마틱이 올려져 있으니 보러가자. https://youtu.be/GmeQj9oMPoI

4. 비욘드

  • 공식 인스타그램과 트위터에 종종 캐릭터 아트가 올라오며, 주로 기념일에 그와 맞는 주제에 맞춰 올라온다.
  • 2022년 1월 한 달 동안 코믹스 칸을 팬들이 직접 그리는 이벤트를 연다. 번역본

5. 기타

  • 2021년 비욘드 제작진들 중 감독 제이미 스파이서루이스가 타마라 역의 성우 레이첼 키키가 16살일 때 키키에게 술을 먹이고 강간했다는 사실이 폭로되었다. 또 애니메이터 피핀 켈리가 인터넷에서 미성년자와 부적절한 사진을 공유했다는 사실도 폭로되었다. 둘은 팀에서 방출되었으며, 비욘드 제작진은 아니지만 수 년 전 헬루카드 성우 역시 아동 성범죄 관련 폭로가 나와 SNS를 폐쇄했다. [6]매트는 이 사건에 대해서 속상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레거시 제작진들은 레이첼 키키를 격려해줬다.
  • Friday Night Funkin'에 에즈월드 캐릭터를 바탕으로 한 모드가 유행함으로써 상당수의 신규 팬들이 유입되었다. 등장하는 캐릭터를 프나펑의 캐릭터로 알고 있었다가 유튜브 알고리즘으로 원작을 알게 된 모양.[7] 참고로 wtfuture도 모드로 나왔는데 이때는 토드가 같이있다. 아마 이 모드를 만든 제작자가 토드도 같이 넣은게 분명하다. 이때 토드는 총을 들고 있다.
  • 팬들은 Eddsworld말고 Mattsworld,Tomsworld, Tordsworld등 다른 주연캐릭터를 주인공으로 삼은 팬 메이드 영상을 만들기도 한다.
  • 멤버 대부분이 장신이다.[8]
  • 2023년 6월 6일부로 첫 에디소드 업로드 20주년을 맞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8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8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노래는 영화판 버전이다.[2] 제작기간을 고려하면 2006년 버전일 가능성이 크다.[3] 그 뒤로 애들이 휴대전화를 쓰는 묘사가 없다. 전화를 할 일이 있을 땐 집 전화로 통화한다.[4] 겉에는 푸른 코트를 걸치고 있고, 안에는 붉은 상의를 입었는데 작중에서 분량이 적지만 지속적으로 등장한다. 팬덤에서는 이들 집단을 레드 아미라고 부른다.[5] 원래는 상술했던 폐기된 장편 아이디어로, WTFuture의 떡밥은 그때 그 장편을 계획중이었기 때문에 떡밥으로 던진 것이고 이후 레거시에서 스토리를 마무리지을 흑막으로 사용하기 위해 설정을 갖다 쓴 것.[6] 이쪽은 청소년이 아닌 아직 어린이인 12살 소녀한테 팬티가 어떠냐고 질문한 적이 있다.[7] 가만보면 일단 에즈월드 자체도 뉴그라운즈 페이지에 있기도 하고 FNF도 뉴그라운즈 캐릭터가 다수 들어가다보니 어느정도는 일어날 법도...[8] 토드 라르손은 170 후반, 톰스카는 177cm, 매트 하그리브즈는 185cm, 에드 굴드는 무려 190.5cm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