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지수
Gut Microbiome IndexGMI는 Gut Microbiome Index의 약자로, 장내 미생물 생태계인 마이크로바이옴의 상태를 나타낸 지수이다.
인간의 장(腸) 속 미생물 생태계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여러 지표를 종합해서 계산하며, 사용된 네 가지 지표[1]는 ▲미생물 다양성, ▲염증 유발 미생물의 비율[2], ▲염증 억제 물질을 생성하는 미생물의 비율, ▲건강인의 마이크로바이옴과 유사성이다.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베이스의 규모에 따라 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며, 기계 학습을 통해 인공지능이 위 네 가지 지표를 종합한다.
1.1. GMI기준
GMI 지수는 0부터 100까지의 점수로 표시되며, 0에 가까울수록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상태가 위험하고, 100에 가까울수록 양호하다.- 양호: 70 이상
- 주의: 40 이상
- 위험: 40 미만
GMI가 높고 낮음에 따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균형과 불균형이 결정된다. GMI가 높을수록 건강인의 균형 잡힌 마이크로바이옴과 유사하고, GMI가 낮으면 미생물 종 다양성이 낮고 유해균이 활발히 활동하는 불균형한 장 환경이 조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낮은 GMI의 원인으로는 항생제 오남용, 스트레스, 부적절한 식습관 등이 있다. GMI가 낮은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마이크로바이옴과 관련된 25가지 이상의 질병 발생 위험도 가 커진다[3].
1.2. GMI의 특수성
GMI는 식이와 생활습관에 따라 변화한다.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 균형 잡힌 사람도 건강한 식, 생활습관을 유지하지 않으면 GMI점수는 떨어진다. 다양한 식이섬유를 섭취하고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등 GMI 관리를 시작하면 GMI는 상승한다[4] [5].1.3. GMI를 높이는 라이프스타일
MAC은 미생물의 먹이로,1)양파, 마늘, 브로콜리, 연근, 우엉, 아스파라거스 등 전분 위주가 아닌 채소,
2)사과, 자두, 참외 등 껍질채 먹는 과일,
3)현미, 아몬드 등 껍질째 먹는 곡류 및 견과류,
4)김, 다시마 같은 해조류,
5)버섯류 등에 풍부하다.
밀가루로 만든 음식, 흰쌀밥과 떡, 설탕이 많이 들어간 음식, 매실청을 비롯한 과일청, 당도 높은 과일은 건강한 마이크로바이옴을 형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2)사과, 자두, 참외 등 껍질채 먹는 과일,
3)현미, 아몬드 등 껍질째 먹는 곡류 및 견과류,
4)김, 다시마 같은 해조류,
5)버섯류 등에 풍부하다.
- 몸에 나쁜 지방 섭취는 줄이기[9]
2. 국제 군사화 지수
Global Militarization IndexGlobal Militarization Index, 국제 군사화 지수는 해당국가의 사회가 얼마나 군사화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수. 북한 등 일부 국가들은 빠져 있다.
#
[1] Petersen C, Round JL. Defining dysbiosis and its influence on host immunity and disease. Cell Microbiol. June 2014:1024-1033. doi:10.1111/cmi.12308[2] Gevers D, Kugathasan S, Denson LA, et al. The Treatment-Naive Microbiome in New-Onset Crohn’s Disease. Cell Host & Microbe. Published online March 2014:382-392. doi:10.1016/j.chom.2014.02.005[3] Liu CH, Abrams ND, Carrick DM, et al. Biomarkers of chronic inflammation in disease development and prevention: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Nat Immunol. Published online October 18, 2017:1175-1180. doi:10.1038/ni.3828[4] Ananthakrishnan AN.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for IBD.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Published online March 3, 2015:205-217. doi:10.1038/nrgastro.2015.34[5] Lozupone CA, Stombaugh JI, Gordon JI, Jansson JK, Knight R. Diversity, stability and resilience of the human gut microbiota. Nature. Published online September 2012:220-230. doi:10.1038/nature11550[6] Sonnenburg ED, Smits SA, Tikhonov M, Higginbottom SK, Wingreen NS, Sonnenburg JL. Diet-induced extinctions in the gut microbiota compound over generations. Nature. Published online January 2016:212-215. doi:10.1038/nature16504[7] Makki K, Deehan EC, Walter J, Bäckhed F. The Impact of Dietary Fiber on Gut Microbiota in Host Health and Disease. Cell Host & Microbe. June 2018:705-715. doi:10.1016/j.chom.2018.05.012[8] Sonnenburg ED, Sonnenburg JL. Starving our Microbial Self: The Deleterious Consequences of a Diet Deficient in Microbiota-Accessible Carbohydrates. Cell Metabolism. Published online November 2014:779-786. doi:10.1016/j.cmet.2014.07.003[9] Wolters M, Ahrens J, Romaní-Pérez M, et al. Dietary fat, the gut microbiota, and metabolic health – A systematic review conducted within the MyNewGut project. Clinical Nutrition. Published online December 2019:2504-2520. doi:10.1016/j.clnu.2018.12.024[10] Bajaj JS. Alcohol, liver disease and the gut microbiota.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Published online January 14, 2019:235-246. doi:10.1038/s41575-018-0099-1[11] . Willing BP, Russell SL, Finlay BB. Shifting the balance: antibiotic effects on host–microbiota mutualism. Nat Rev Microbiol. Published online February 28, 2011:233-243. doi:10.1038/nrmicro2536[12] Jackson MA, Verdi S, Maxan M-E, et al. Gut microbiota associations with common diseases and prescription medications in a population-based cohort. Nat Commun. Published online July 9, 2018. doi:10.1038/s41467-018-05184-7[13] Smith RP, Easson C, Lyle SM, et al. Gut microbiome diversity is associated with sleep physiology in humans. Aich P, ed. PLoS ONE. Published online October 7, 2019:e0222394. doi:10.1371/journal.pone.0222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