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21:31:16

HFT

1. 개요

High Frequency Trading 의 줄임말. 한국 주식 커뮤니티에선 보통 프로그램, 혹은 알고리즘 매매로 칭한다.

소프트웨어가 자동으로 주식을 빠르게 체결하는 개념을 통틀어 부르는 표현이다. 수초, 분 단위로 단타를 치기도 하지만, 이건 비교적 드문 사례고 대게 트레이더가 설정한 조건들이 들어맞을 때, 이에 맞춰 매매를 체결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일반 사용자들도 조건주문을 걸곤 하지만, 데스크 트레이더들이 사용하는 매매 알고리즘의 경우, 블룸버그 터미널 등 정보 시스템과 연동시켜서 가격 외에 다양한 뉴스나 경제지표를 주문 조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S&P500 선물이 20 VWAP선 위에서 지지를 받고 있는 상황중에 특정 티커의 분기실적이 X% 이상 기대치를 상회할 경우, Y 가격에 Z주 만큼 매수한다" 는 알고리즘을 설정할 수 있다.

기관의 알고리즘 매매와 개인의 자동매매 때문에 증권/자산시장 전반의 가격발견/소화, 그리고 포지션을 잘못 잡은 이의 포지션 청산이 매우 빠르게 발생하는 경향이 보인다. 기관들은 보통 존버보다는 칼손절을 중시하는데, 이런 HFT들이 거래를 매우 빠르게 체결하면서 소화가 빠르면 수분안에 완료되기 때문.[1]

실시간으로 뉴스에 대응하기 불가능한 개미는 스윙, 단타는 사실상 포기하고 장기적으로 보고 분할매수/매도에 집중하라는 이유가 바로 이 HFT 때문이다.[2]
[1] 액티브 펀드와 헤지펀드는 보통 레버리지를 기본으로 깔고 들어가기 때문에 손실이 누적되면 그대로 회사가 증발될수 있어서 알고리즘으로 MDD를 설정해놓고 청산당하기 전에 칼손절을 하고, 이게 연쇄적으로 발생한다. 대게 주식과 인덱스 차트가 오르는 건 며칠, 몇주인데 떨어지건 수분내에 일어나는 이유가 이때문이다.[2] 상황이 발생한걸 뉴스로 보고 호가창을 열면 이미 늦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