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3D3F45> | M리그 역대 시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1. 개요
- 정규 시즌: 2020년 10월 5일 ~ 2021년 3월 12일
- 세미 파이널 시즌: 2021년 4월 12일 ~ 4월 30일
- 파이널 시즌: 2021년 5월 10일 ~ 5월 18일
2020시즌부터 2시즌 연속[1]으로 4위 안에 들지 못하는 팀은 팀의 구성을 의무적으로 변경해야 한다. (선수 교체 또는 영입) KADOKAWA 사쿠라나이츠가 호리 신고를 영입한 것 외에 선수단 변화는 없다.
2020 시즌까지 나오지 않은 일반코역은 삼색동각, 삼깡쯔. 창깡은 2020 시즌에 카야모리가 스즈키의 가깡을 쏘면서 달성했다. 량페코 또한 카야모리가 이시바시를 쏘면서 달성했다.
그 동안 실황 중계를 담당해왔던 히요시 타츠야가 목 수술 때문에 2020년 12월 15일 실황을 마지막으로 잠시 휴식한다고 밝혔다. 목 수술은 12월 23일에 진행했고 2021년 1월 28일에 복귀 일정이 잡혔다.
코로나 19 때문에 전 경기 무관중으로 진행된다. 퍼포먼스 발휘를 위해서 마스크 미착용으로 하는 대신 PCR 검사 필수, 환기철저, 세수 및 알콜 소독, 사회적 거리두기 유지, 코로나 음성 결과가 아닐 시 시합 출장 불인정 등의 대책을 마련했다. 그럼에도 2021년 들어서 코로나 양성 판정이 간헐적으로 나오고 있다.
- 2021년 1월 13일에 아카사카 드리븐즈의 마루야마 카나코가 양성 판정을 받았다.# 다른 M리그 관련 종사자 접촉은 없었고 완치 후 다시 출전했다.
- 2021년 3월 23일에 아카사카 드리븐즈의 소노다 켄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그나마 세미 파이널 시즌 개최일과의 간격이 커서 일정에 차질은 없었다.
- 2021년 4월 10일에 M리그 공식 실황 중 1명인 시부카와 난바가 양성 판정을 받았다.# 세미 파이널 개최 2일 전에 걸려버린 탓에 세미 파이널 시즌 동안에는 시부카와 프로의 해설 참가는 세미 파이널 마지막 경기에서야 이루어졌다.
작년의 데자뷔인지 이번 년도에도 작년의 1,2위가 함께 최하위권으로 마치게 되었다. 세가 사미는 위태위태하게 승강권을 유지하다가 막판에 미끄러지면서 최하위가 되었고, U-NEXT는 시즌 중 단 1번도 팀 점수가 플러스권에 있던 적이 없었고, 그나마 최후반에 분전했으나 결국 7위로 마감.
세미 파이널에서는 정규시즌 1~4위가 그 순서 그대로 파이널에 진출했다. 라이덴은 전원이 부진하면서 중후반부에 전선에서 사실상 이탈했고, MFC는 마지막 시합에서 엎어졌다.
파이널 시리즈에서는 EX 풍림화산이 카츠마타 켄지의 맹활약에 더해 1위 시부야 ABEMAS의 부진 및 2위 카도카와 사쿠라나이츠의 답보상태와 맞물려 마지막날 전날에 1위 자리를 탈환하는 데 성공하여, 1위와 3위의 포인트 차이가 20포인트도 채 나지 않아 마지막 날에 1~3위가 "이기면 우승"[2]이라는 대혼전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렇게 시작된 최종전 1시합은 카츠마타-우치카와-오오이-소노다 순으로 끝나면서 풍림화산이 더욱 유리해졌다.
2시합은 소노다 켄 대신 무라카미가 출전한 것 빼곤 전원 연투. 하지만 오오이가 운이 없는지 화료를 전혀 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었고, 그나마 상황이 나았던 우치카와가 무라카미에게 하네만-만관으로 크게 직격당하고 남장에서 오오이, 우치카와가 한번에 오야카부리를 당하며 사실상 게임 셋. 그렇게 2시합의 결과는 무라카미-카츠마타-오오이-우치카와로 결정되면서 2020시즌의 최종 우승은 EX 풍림화산의 대역전승으로 막을 내렸다.
2. 최종 결과
<rowcolor=#fff> 순위 | 팀 | 정규시즌 포인트 (순위) | 세미 파이널 포인트 (순위) | 파이널 시리즈 포인트 |
1 | EX 풍림화산 | -108.8 (4) | -82.9 (4) | 242.3 |
2 | KADOKAWA 사쿠라나이츠 | 294.5 (2) | 172.0 (2) | 103.4 |
3 | 시부야 ABEMAS | 654.7 (1) | 536.9 (1) | 101.7 |
4 | 아카사카 드리븐즈 | -3.2 (3) | 26.6 (3) | -59.7 |
5 | KONAMI 마작 파이트 클럽 | -168.5 (5) | -98.3 (5) | 탈락 |
6 | TEAM RAIDEN / 라이덴 | -210.5 (6) | -346.1 (6) | |
7 | U-NEXT Pirates | -264.3 (7) | 탈락 | |
8 | 세가사미 피닉스 | -396.7 (8) |
3. 개인상 수상자
정규시즌 기준 수상- 개인 포인트 부문
<rowcolor=#fff> 순위 선수 소속팀 개인 포인트 1 사사키 히사토 KONAMI 마작 파이트 클럽 494.1[3] 2 우치카와 코타로 KADOKAWA 사쿠라나이츠 468.7 3 코바야시 고 U-NEXT Pirates 337.5 - 최고 반장점수 부문
<rowcolor=#fff> 순위 선수 소속팀 최고 점수 1 사사키 히사토 KONAMI 마작 파이트 클럽 94,000 2 호리 신고 KADOKAWA 사쿠라나이츠 92,900 3 쿠로사와 사키 TEAM RAIDEN / 라이덴 81,300 - 4위 회피율 부문
<rowcolor=#fff> 순위 선수 소속팀 회피율 1 코바야시 고 U-NEXT Pirates 0.9677[4] 2 마츠모토 요시히로 시부야 ABEMAS 0.8519 3 무라카미 쥰 아카사카 드리븐즈 0.8462 우오타니 유미 세가사미 피닉스
[1] 2018, 2019시즌은 포함하지 않는다.[2] 4위인 아카사카 드리븐즈도 1위 가능성이 있으나 3위에게 234포인트 차이로 뒤진 상황이라 나머지 2시합 연속을 10만점 이상으로 끝마쳐야 하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운 조건이 걸려있다.[3] M리그 단일시즌 개인포인트 역대 1위 기록[4] M리그 4위 회피율 역대 1위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