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22:46:38

NEBULOUS: Fleet Command/무장 정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NEBULOUS: Fleet Command
1. 개요2. 공통
2.1. 통신
2.1.1. CR10 안테나2.1.2. CR75 안테나
2.2. 무장-미사일발사관
2.2.1. VLS-1-23 발사관2.2.2. VLS-1-46 발사관
3. SA
3.1. 통신
3.1.1. CR70 안테나
3.2. 전자전
3.2.1. E15 '마스커레이드' 기만 모듈3.2.2. E55 '스팟라이트' 일루미네이터3.2.3. E57 '플러드라이트' 일루미네이터3.2.4. E70 '인터럽션' 재머3.2.5. E71 '행업' 재머3.2.6. E90 '블랭킷' 재머
3.3. 항공 지원
3.3.1. 대형 탑재 격납고3.3.2. 중형 탑재 격납고
3.4. 감지기
3.4.1. ES22 '피나드' 전자전 지원 모듈3.4.2. RF101 '불즈아이' 레이더
3.5. 무장-에너지
3.5.1. Mk610 빔 터렛
3.6. 무장-미사일발사관
3.6.1. CLS-3 발사관3.6.2. TLS-3 발사관3.6.3. VLS-2 발사관3.6.4. VLS-3 발사관
3.7. 무장-근접방어
3.7.1. Mk20 '디펜더' 근접방어포탑3.7.2. Mk25 '리바운드' 근접방어포탑3.7.3. Mk29 '스톤월' 근접방어포탑3.7.4. Mk90 '오로라' 근접방어포탑3.7.5. Mk95 '사리사' 근접방어포탑
3.8. 무장-발사체
3.8.1. Mk61 함포3.8.2. Mk62 함포3.8.3. Mk64 함포3.8.4. Mk65 함포3.8.5. Mk66 함포3.8.6. Mk68 함포3.8.7. Mk81 레일건
3.9. 무장-동축
3.9.1. Mk550 레일건3.9.2. Mk600 빔 함포
4. OSP
4.1. 전자전
4.1.1. E20 '라이트하우스' 일루미네이터4.1.2. J15 '벨버드' 재머4.1.3. J360 '라이어버드' 재머4.1.4. J75 '워블러' 재머4.1.5. L50 '블랙잭' 레이저 대즐러
4.2. 항공 지원
4.2.1. 컨테이너 뱅크 격납고4.2.2. 소형 탑재 격납고
4.3. 감지기
4.3.1. R400 '블러드하운드' 장거리 추적 레이더4.3.2. R550 조기 경보 레이더4.3.3. RF44 '핀포인트' 레이더
4.4. 무장-에너지
4.4.1. C81 플라즈마 함포4.4.2. T81 플라즈마 함포
4.5. 무장-미사일 발사대
4.5.1. 컨테이너 뱅크 발사대4.5.2. 컨테이너 스택 발사대4.5.3. ML-9 지뢰 발사관4.5.4. MLS-2 발사대4.5.5. MLS-3 발사대4.5.6. RL18 발사대4.5.7. RL36 발사대4.5.8. SALS-2 '와드' 발사대4.5.9. TALS-2 '탈리스만' 발사대
4.6. 무장-근접방어
4.6.1. P11 '파비스' 근접방어포탑4.6.2. P20 '바스티온' 근접방어포탑4.6.3. P60 '그레이저' 근접방어포탑
4.7. 무장-발사체
4.7.1. C30 함포4.7.2. C53 함포4.7.3. C56 함포4.7.4. C65 함포4.7.5. C90 함포4.7.6. T20 함포4.7.7. T30 함포
4.8. 무장-동축
4.8.1. TE45 매스 드라이버

[clearfix]

1. 개요

모듈러 미사일 출시 트레일러[1]

NEBULOUS: Fleet Command에 등장하는 각종 무장들을 소개하는 문서.

2. 공통

2.1. 통신

2.1.1. CR10 안테나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CR10 Antenna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5 2x1x2 100 15
<rowcolor=white> 출력(W) Gain(dB) Bandwidth(Baud) 전력 요구치
500 5 500 -250kw

말그대로 통신 안테나를 추가해주는 역활을 하게 해주는 무장이다. 이게 왜 무장인가에 대해 의구심이 들 수 있지만 이 게임에선 엄연히 전자전 또한 전투의 중요한 부분이고 그런 상황에서 이를 극복하려는 방면에서 추가로 통신 안테나를 다는 것 이니 무장이라고 볼 수 있다.

함선은 전부 자체적인 내장 안테나가 있지만, 추가로 안테나를 예비용으로 장착해 전투 중 피해에도 통신을 잃지 않기 위해 장착하기도 한다. 이때 안테나는 파괴되지 않은 안테나 중 가장 강한 안테나를 자동으로 이용한다.

2.1.2. CR75 안테나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CR75 Antenna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 - - -
<rowcolor=white> 출력(W) Gain(dB) Bandwidth(Baud) 전력 요구치
1500 20 1000 -

솔로몬, 액스포드, 레비, 오셀로급에 기본으로 내장된 안테나. 솔로몬급은 상부구조물 바로 뒤, 액스포드는 전방 우측, 오셀로급은 전방에 위치하여 포격전 몇번 주고받으면 터져나가는 걸 볼 수 있다. 유일하게 솔로몬급만 CR10 없이 단독으로 CR75만을 달고 있기에, CR70을 챙기는 것을 추천한다.

2.2. 무장-미사일발사관

2.2.1. VLS-1-23 발사관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CR10 Antenna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5 2x2x2 75 15
<rowcolor=white> 치명적 상황 발생 확률
(셀 발사관)
미사일 크기 탑재 용량 전력 요구치
5% 1 23 -50kw

미사일 중 에서도 가장 작은 크기의 미사일인 S1 미사일 23발을 무장하고 쏠 수 있게 해주는 수직 발사관이다. 수직 발사관 이라는 특성상 미사일이 사출되자마자 바로 직진을 할 수 있는 상황보단 타겟을 향해 방향을 조정하는 시간이 소요되는 상황이 더 자주 나오지만, 보통 발사하는 미사일이 민첩하게 설계되는 S1 방공미사일 이기에 큰 문제는 없는 편.

2.2.2. VLS-1-46 발사관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CR10 Antenna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5 3x2x3 125 15
<rowcolor=white> 치명적 상황 발생 확률
(셀 발사관)
미사일 크기 탑재 용량 전력 요구치
5% 1 46 -50kw
위의 발사관에서 용량을 2배로 늘이고 크기가 커졌다. 장착하는 데 들어가는 포인트는 동일하고 약간 더 튼튼하니 장착할 수 있다면 큰 발사관을 장착하는 게 좋다.

3. SA

3.1. 통신

3.1.1. CR70 안테나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CR70 Antenna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5 2x1x2 250 30
<rowcolor=white> 출력(W) Gain(dB) Bandwidth(Baud) 전력 요구치
1250 10 500 -600kw

CR10에 비해 더 강력한 안테나. 보통 교전에 들어가면 항상 터지는 솔로몬급의 내장 안테나를 보조하기 위한 용도로 추가 장착하는 모습으로 자주 보인다.

3.2. 전자전

3.2.1. E15 '마스커레이드' 기만 모듈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E15 'Masquerade' Deception Module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0 3x1x3 100 15
<rowcolor=white> 전력 요구치
-600kw

가면무도회라는 이름에 걸맞게 다른 함급으로 적의 레이더를 속이는 모듈이다.
모듈 설치 시 원하는 함급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전투 중에는 변경할 수 없다.
하지만 트랙이 계속 유지되어 인텔 점수가 쌓이다 보면 결국 실제 함선의 정보가 노출되니 유의해야 한다. 이를 늦추고 싶다면 Radar Signiture Scrambler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으로, RCS 자체를 바꿔주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솔로몬급 전함을 초계함 같은 것으로 속인다고 해도 그 신호가 10km에서 가장 먼저 포착된다면 이 모듈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간파될 수 있다.
항공모함이 레이더에 포착될 경우 적의 집중적인 공격을 받게 되는데, 중요도가 떨어지는 다른 함급(구축함, 경순양함 등)으로 위장한다면 도망칠 시간을 벌 수 있다.

3.2.2. E55 '스팟라이트' 일루미네이터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E55 'Spotlight' Illuminato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5 2x1x2 75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다목적 없음 없음 -750kw
<rowcolor=white> 방출 시간(방출기) 쿨다운 쿨다운 중단 여부 배틀쇼트
90초 60초 가능 가능
<rowcolor=white> 과열 피해 확률(방출기)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8.5% 80도/초 80도/초 +89도,-5도
<rowcolor=white> 조사 범위 사거리 출력 Gain
5도 12000m 1000kW 60dB
<rowcolor=white> 보정치
레이더 시그니쳐 +10%


플러드라이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파장이 조사되는 범위는 좁지만 대신 먼 거리까지 파장을 조사한다. 일루미네이터 신호에 유도되는 미사일(SAH 시커)를 쓰는 경우 이 무장을 사용하면 원하는 목표에 정확히 미사일을 유도시키는 것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수동으로 표적에 걸치면서 표적이 던진 채프 기만체를 피하는 방향으로 조사하는 방법으로 명중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다목적 용도로 지정되어, 반능동 시커를 장착한 대공미사일괴 연계되도록 함선에 접근하는 적 미사일을 향해 근접방어 통제기능이 자동으로 일루미네이터를 조사한다.

3.2.3. E57 '플러드라이트' 일루미네이터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E57 'Floodlight' Illuminato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5 2x1x2 75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다목적 없음 없음 -1500kw
<rowcolor=white> 방출 시간(방출기) 쿨다운 쿨다운 중단 여부 배틀쇼트
90초 60초 가능 가능
<rowcolor=white> 과열 피해 확률(방출기)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8.5% 80도/초 80도/초 +89도,-5도
<rowcolor=white> 조사 범위 사거리 출력 Gain
40도 10000m 3250kW 40dB
<rowcolor=white> 보정치
레이더 시그니쳐 +10%

스팟라이트에 비해 조사되는 거리는 짧지만 더 넓은 범위를 조사한다.

다만 일반적으론 미사일 유도 기능보다 레이더 전자전 강행 돌파에 더 자주 쓰인다. 출력이 훨신 강하고, 넓은 범위로 인해 전자전이 오는 방향으로 조사하여 상대방이 더 잘 보이도록 할 수 있고, 넓은 조사 범위는 상대방이 채프 기만체를 가져 올 경우 역으로 매우 나쁜 선택이 된다[2]. 공격용 반능동 미사일 유도용으로 쓰고 싶으면 위의 스폿라이트를 쓰는 게 정신건강에 좋다.

3.2.4. E70 '인터럽션' 재머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E70 'Interruption Jamm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55 3x1x3 10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없음 -600kw
<rowcolor=white> 방출 시간(방출기) 쿨다운 쿨다운 중단 여부 배틀쇼트
180초 60초 가능 가능
<rowcolor=white> 과열 피해 확률(방출기) 사거리 출력 gain
5% 4000m 750kW 1dB

발동 즉시 4km의 구체 범위 내에 모든 통신을 방해한다. 함선간 통신(COMM)도 미약하게 방해하지만 주요 용도는 지령유도(CMD) 시커를 탑재한 미사일, 특히 SGT-300 어뢰류의 교란을 주 목적으로 탑재한다. 따라서 SA측 주력함이 자함에 탑재하건, 주변 호위함에 탑재하건 자주 챙겨가는 전자전.

OSP측도 와블러 추가 이전까진 오셀로급에 인터럽션을 달아서 CMD 재밍을 챙겼다. 지금도 과거도 오셀로급이 제공하는 이런 다양한 보조 기능 덕분에 오셀로급을 기준으로 주력 함선들이 뭉치는 이유중 하나.

역으로 OSP측에서 유일하게 인터럽션을 돌파할 수 있는 CR75를 내장한 함선이 오셀로급 이기에, 뇌격 오셀로가 존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3.2.5. E71 '행업' 재머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E71 'Hangup' Jamm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45 2x1x2 75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없음 -1500kw
<rowcolor=white> 방출 시간(방출기) 쿨다운 쿨다운 중단 여부 배틀쇼트
120초 60초 가능 가능
<rowcolor=white> 과열 피해 확률(방출기)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5% 80도/초 80도/초 +89도,-5도
<rowcolor=white> 조사 범위 사거리 출력 Gain
20도 20000m 300kW 25dB

통신재머로 긴 사거리가 특징이다.
주로 발사한 함선과의 통신으로 유도되는 커맨드 미사일이 날아오는 방향에 조사하여 교란하거나, 멀리 떨어진 곳에서 공격하는 레일건 또는 미사일 함선에 조사해 그 함선이 다른 함선과 트랙을 공유받지 못하게 해서 적을 잠시 무력화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나 어디까지나 통신의 영역에 재밍을 거는 만큼 한계는 있다.

행업을 4개씩 대량으로 들고 오는 게 아닌 이상, 표적 주변에 오셀로급이 하나라도 있으면 무력화 되는 단점이 있어 인기는 적다.

3.2.6. E90 '블랭킷' 재머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E90 'Blanket' Jamm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50 2x1x2 75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없음 -1000kw
<rowcolor=white> 방출 시간(방출기) 쿨다운 쿨다운 중단 여부 배틀쇼트
90초 60초 가능 가능
<rowcolor=white> 과열 피해 확률(방출기)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8.5% 80도/초 80도/초 +89도,-5도
<rowcolor=white> 조사 범위 사거리 출력 Gain
40도 10000m 1kW 20dB
<rowcolor=white> 보정치
레이더 시그니쳐 +10%

지향성 레이더 재머로 적의 레이더 트랙 퀄리티를 크게 낮춰 락온을 어렵게 하거나, 트랙을 잃게 한다.
레이더 시커 기반 미사일(SAH, ACT)이 날아오는 방향으로 조사하여 교란할 수도 있다. 아군에게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적은 재머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ARAD시커를 사용하는 미사일일로 반격하거나 일루미네이터를 조사하고 락온하여 대응할 수 있다.

SA 측 소형함의 생존성을 담당하는 부품으로, 경순 이하는 이 재머를 장착하거나 엄폐물에 붙어있지 않으면 생존성이 매우 크게 떨어진다.
일방적인 교전을 걸어야 제값을 하는 함포 경순과 빔구축 함대 내에 자주 보이며, 대량으로 운영 시 중순양함도 감출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다.

3.3. 항공 지원

3.3.1. 대형 탑재 격납고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Large Mounted Hanga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0 8x7x8 200 15
<rowcolor=white> 탑재 가능 항공기 수 제공 갑판
4 소형 1개

탄토/할버드 함재기를 4기 수용 가능하다.

3.3.2. 중형 탑재 격납고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Medium Mounted Hanga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0 8x7x8 200 15
<rowcolor=white> 탑재 가능 항공기 수 제공 갑판
2 소형 1개

탄토/할버드 함재기를 2기 수용 가능하다.

3.4. 감지기

3.4.1. ES22 '피나드' 전자전 지원 모듈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ES22 'Pinard' Electronic Support Module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30 3x1x3 50 15
<rowcolor=white> 시그니처 종류 정확도 식별 여부 전력 요구치
패시브 레이더 3도 불가능 -200kw

일종의 패시브 레이더로 적함의 레이더 신호를 가지고 방향을 알아내는 모듈이다.
한 대 뿐이라면 적의 방향밖에 알 수 없지만, 피나드 모듈을 탑재한 함선이 두 대 이상 있다면 삼각측량을 통해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약간은 독특한 레이더다.
삼각측량으로 얻은 트랙은 레이더 트랙과는 다른 형태로 나타나며, 정확도가 낮아 포 사격을 하기에는 무리지만 락온을 걸거나 미사일 공격을 할 수는 있다. 삼각측량의 정확도는 적함과 두 센서 간의 각도에 영향을 받으며 직각에 가까울수록 정확도가 높으니 피나드 모듈을 단 함선은 서로 거리를 벌려 두는 것이 좋다.

3.4.2. RF101 '불즈아이' 레이더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RF101 'Bullseye' Rada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40 2x1x2 70 10
<rowcolor=white> 사거리 위치 오차 속도 오차 전력 요구치
9km 2m 0m/s -300kw
<rowcolor=white> Radiated Power Gain Apeture Size Noise Filtering
300kW 80dB 20m2 0dB

사격통제에 쓰이는 외부 레이더로, 어떠한 방식으로든 직사화력을 이용해 싸운다면 무조건 들고 가는 반 필수적인 무장. 락온을 하여 트랙의 정확도를 매우 크게 높이는데 사용되며, 함선의 내장 레이더를 꺼둔 상태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자체적인 출력도 강력하여 재밍에 대해서도 약간의 저항성이 있다.

특성상 최후방에서 함재기 또는 미사일을 던지는데 포인트를 전부 소모한 함대가 아닌 이상 함대 내에 최소한 1개는 존재하는 SA의 무안단물 중 하나이다. 9k 거리에서 정확한 전면전 450mm 포술에 필수적이며, 패럴랙스 레이더의 번스윕에 플러드라이트 조사까지 합하여, 최전방 재밍 강행돌파의 한 축이기 때문. OSP도 450mm 함포를 운용하는 경우 오셀로급을 반드시 함대에 포함하여 불즈아이를 챙겨가는 경우가 많다. CMD 시커 미사일을 이용할 때에도 필수적이다.

3.5. 무장-에너지

3.5.1. Mk610 빔 터렛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Mk610 Beam Turret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80 8x5x8 400 30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있음 -3000kw
<rowcolor=white> 장갑 관통력 부품 피해 사거리
180cm/s 300hp/s 5000m
<rowcolor=white> 방출 시간(빔) 쿨다운 쿨다운 중단 여부 배틀쇼트
7.5초 45초 완충 필요 가능
<rowcolor=white> 과열 피해 확률(빔)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80% 5도/초 12.5도/초 +20도,-5도

액스포드, 솔로몬급에 탑재되는 빔 터렛. 탑재되는 함선도 느리고, 무기 자체의 사거리도 짧아 표적에 닿기 어렵다. 역으로, 캡 또는 요충지 근처에 눌러앉아 적의 접근이 강제되는 상황이나, 적이 멋모르고 돌격한다면 문제는 없다.
일단 적이 범위 안에 들어오면, 빔의 강력한 화력에 소형함은 몇 초 안에 퇴함 경고를 울리고, 전열함급도 내부가 만신창이가 되어버린다. 특히 빔에 집중한 주력함이면 집중 입자 가속기를 3~4개는 들고 오기에 더욱 치명적이다. 전면을 내세우는 오셀로급 전방의 강화 DC 락커도 피해 한계를 뚫고 속절없이 녹여내리는 수준. 특유의 눈에띄는 광선과 전략적인 움직임까지 방해하는 수준의 파괴력 덕분에 일단 한번 발사되기만 하면 엄청나게 어그로가 끌린다.

피해량 계산은 총 피해값을 총 5회로 나누어 초당 5회 가하고, 사거리가 멀어질수록 최종 피해값이 낮아진다. 최대 사거리에선 절반 정도로 떨어지는 수준이며, 빔무장을 탑재한 함선이 집중 입자 가속기를 최소 2개 정도는 챙기는 이유.

록온과 병행하면 완전히 정확하다는 빔 무장 특성상 빔 포탑으로 지뢰제거를 하거나 함재기를 요격하는 고인물들도 존재한다. 전자는 점령지에 지뢰가 존재할때 의외로 실전성 있는 선택지.

3.6. 무장-미사일발사관

3.6.1. CLS-3 발사관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CLS-3 Launch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0 3x4x3 250 15
<rowcolor=white> 치명적 상황 발생 확률
(셀 발사관)
미사일 크기 탑재 용량
(마운트 크기 2/3/4/5)
전력 요구치
5% 3 4/6/16/20셀 -200kw

탑재 위치 기준 전방을 향해 기울어져 있는 발사관. 변덕스러운 TLS-3에 비해 뇌격용으로 스프린터급부터 뇌셕 복스홀에, 뇌격 오셀로까지 즐겨쓰는 무장.

장착 마운트 크기에 맞추어 탑재량이 증가한다.

3.6.2. TLS-3 발사관

3.6.3. VLS-2 발사관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VLS-2 Launch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0 3x4x3 200 15
<rowcolor=white> 치명적 상황 발생 확률
(셀 발사관)
미사일 크기 탑재 용량
(마운트 크기 2/3/4/5)
전력 요구치
5% 3 16/24/64/80셀 -200kw

사이즈 2 하이브리드 미사일(ANS 한정), 사이즈 2 일반 미사일, 사이즈 2 방공미사일(SDM)을 탑재할 수 있는 발사관이다.
오셀로에도 장착할 수 있지만 하이브리드 미사일은 탑재할 수 없다.

장착 마운트 크기에 맞추어 탑재량이 증가한다.

3.6.4. VLS-3 발사관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VLS-3 Launch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0 3x4x3 250 15
<rowcolor=white> 치명적 상황 발생 확률
(셀 발사관)
미사일 크기 탑재 용량
(마운트 크기 2/3/4/5)
전력 요구치
5% 3 4/6/16/20셀 -200kw

사이즈 3 하이브리드 미사일과 어뢰를 탑재할 수 있는 발사관이다.

장착 마운트 크기에 맞추어 탑재량이 증가한다.

3.7. 무장-근접방어

3.7.1. Mk20 '디펜더' 근접방어포탑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Mk20 'Defender' PDT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5 2x1x2 10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방어적 있음[레이더] 없음 -175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2400.0 RPM - - -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1km 에서 3m 100도/초 100도/초 +89도,-5도
이용 가능 탄약 20mm Slug

20mm 슬러그탄을 발사하는 CIWS로 자체적인 사통레이더를 가지고 있어 레이더를 끄거나 파괴된 상태에서도 작동한다[3].
사거리는 짧지만 데미지가 탁월하며 특히 OSP의 컨테이너 미사일을 잘 막아낸다.
하지만 선회중인 미사일은 잘 맞추지 못하며 특히 3G 이상의 선회력으로 콕스크류 종말기동을 할 시 전혀 맞추지 못해, 이를 이용한 어뢰 공격에는 무용지물이 되니 Flak탄을 이용하는 다른 PD와 병행하는 것이 좋다.

3.7.2. Mk25 '리바운드' 근접방어포탑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Mk25 'Rebound' PDT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5 2x1x2 10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방어적 없음 있음 -2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125.0 RPM 3초 15발 0.3초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1km 에서 35m 80도/초 80도/초 +89도,-5도
이용 가능 탄약 50mm Flak Shell

대량의 약한 미사일을 상대로 대공포탄을 발사해 격추하는 방공포. 주로 S2 미사일류의 격추에 쓰이지만, 전반적으로 미사일 위협은 하이브리드, 뇌격, 또는 S3 로켓류 같은 동체 격벽이 두꺼운 종류가 대세이기에, 과거에 비해 인기를 잃은 무장. 다만 실제로 그런 위협이 나타날시, 여전히 효과적으로 어중간한 미사일 스팸은 갈아버린다.

자동장전기를 이용하는 것에 착안해 과거 포격 전투함에 RCC를 추가하여, 스펙상 스톤월과 동일한 성능을 내는 '플랙맥싱(FLAKMaxxing)' 이라는 피팅류가 유행하였으나, S2 미사일 스팸이 희귀해지며 함께 보기 힘들어졌다.

리바운드와 스톤월 대공포는 특히 전력 소모량이 낮은 점도 참고할 만하다.

3.7.3. Mk29 '스톤월' 근접방어포탑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Mk29 'Stonewall' PDT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40 3x1x3 15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방어적 없음 있음 -4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256.0 RPM 1.5초 16발 0.15초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1km 에서 35m 30도/초 30도/초 +89도,-5도
이용 가능 탄약 50mm Flak Shell

순수 스펙으로만 보면, 대략 리바운드 두배의 성능에, 한사이즈 더 큰 무장 위치에만 장착 가능하고, 절반 이하로 선회력이 낮아졌다.
다만 둔중하더라도 별다른 버프 없기 그냥 이용해도 문제는 없는 스펙. 일반적으로 포격함이 올리는 버프 모듈의 버프도 동일하게 받기에 포격 중순/전함이 자주 채용한다.

리바운드와 표적 조준 방식이 다른데, 스톤월은 대략적인 미사일 무리의 위치를 기준으로 플랙탄을 흩뿌린다. 덕분에 중거리에서 다가오는 대량의 저속 표적 요격에 특히 강하다.

3.7.4. Mk90 '오로라' 근접방어포탑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Mk90 'Aurora' PDT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55 2x1x2 10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방어적 있음[레이더] 없음 -1250kw
<rowcolor=white> 장갑 관통력 부품 피해 사거리
0.275cm/s 8hp/s 3000m
<rowcolor=white> 공격 수 방출 시간(빔) 쿨다운 쿨다운 중단 여부
5/초 1.8초 3.4초 가능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1.5km 에서 1m
3km 에서 1m
100도/초 100도/초 +20도,-5도
<rowcolor=white> 배틀쇼트 과열 피해 확률(빔)
가능 40%

레이저 빔을 발사하는 CIWS, 탄약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많은 양의 전력을 소모한다.
빗나감 없이 무조건 명중하여, 하이브리드 미사일, 로켓과 함재기 제거에 탁월하다. 그러나 발사 후 냉각 시간이 필요해 많은 양의 미사일이 동시에 날아올 시 막아내지 못할 수 있다.
배틀쇼트를 키면 발사할 때 마다 내구도가 감소하지만 계속 사격할 수 있으며, OSP측의 오셀로는 하이브리드 미사일이 날아올 시 항상 요격하느라 강제로 배틀쇼트를 키고 미사일과 레이저를 동시에 태워먹는 광경을 볼 수 있다.

3.7.5. Mk95 '사리사' 근접방어포탑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Mk95 'Sarissa' PDT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65 3x1x3 15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방어적 있음[레이더] 있음 -125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에너지-코일건)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27.0 RPM 6초 3발 0.33초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3km 에서 3m
5km 에서 6m
30도/초 30도/초 +65도,-5도
이용 가능 탄약 15mm Sandshot

15mm 텅스텐 가루뭉치를 쏘는 소형 코일건 포탑이다. 대-하이브리드 미사일 방어포탑으로 등장하여 하이브리드 미사일이 가장 취약한 순항단계에서 미리 끊어주는 역할로 고안된 장비이다. 현재는 ANS의 주적인 OSP가 하이브리드 미사일을 운용하지 못하지만, 과거엔 컨테이너 미사일, 현재는 함재기의 존재로 인해 함대 방공에 한 겹을 추가해주며 존재감을 알리는 장비. 상당히 긴 사거리를 가지고 있기에 선제적인 위협 차단이 가능하나 다른 근접방어포탑과 달리 한번에 세발 씩 쏘기 때문에 오로라와 마찬사지로 다수의 타겟엔 제법 취약하다. 범위 내의 항공기에도 사격을 하는데, 일반적으론 항공기의 기본 상태에서도 회피기동을 명령한 만큼 초장적리 명중률이 그다지 좋지 않음에도 지속해서 사격을 하기에 탄 소모가 많으니 탄을 넉넉하게 챙겨야 한다. 일반적인 방공포탑이 2분 정도읜 탄약을 적재하면 사리사는 포탑당 100/150발 정도.

SA 측은 레인즈에 사리사 4개를 달고 오는 '사리사 박스', OSP 측은 오셀로에 장착된 걸 주로 볼 수 있다.

특이하게도 사격 통제실 버프의 영향을 받고, 버프의 효과가 유의미하기에 사리사를 운영한다면 사격 통제실은 최소 하나는 장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위의 사리사 레인즈도 마찬가지. 여유가 있다면 장착대 자이로도 추가하면 더 좋다.

3.8. 무장-발사체

3.8.1. Mk61 함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Mk61 Canno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0 3x1x3 15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다목적 없음 있음 -5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10.9 RPM 5.5초 단발 장전 -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2.5km 에서 4m
5km 에서 9m
35도/초 35도/초 +70도,-5도
이용 가능 탄약 120mm AP
120mm HE
120mm RPF

SA의 '소형' 대함전 함포. 일반적으로 페리맨/드라우거급을 치우는 용도로 쓰이며, 제한적인 방공 업무가 가능하지만 기대할만한 성능은 보여주지 않는다. [4]
접근할 수 만 있다면 머라우더, 무어라인 급도 충분히 관통하고, 빠른 연사력으로 인해 의외로 효과적이지만, 머라우더급이 사거리 내에 있다면 역으로 머라우더급이 장착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무장도 그 함선을 노릴 수 있으니 유의할 것.

3.8.2. Mk62 함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Mk62 Canno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0 3x1x3 15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다목적 없음 있음 -5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15.0 RPM 4초 단발 장전 -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2.5km 에서 4m
5km 에서 9m
35도/초 35도/초 +70도,-5도
이용 가능 탄약 120mm AP
120mm HE
120mm RPF

Mk61에 포신을 하나 더 올린 포탑. 두배의 가격에 연사력이 간신히 절반 이하만큼 상승하며 나머지 스펙은 동일하다.
순수 포인트 당 연사력은 Mk61을 대량으로 장착하는 것이 우월하지만, 일반적으로 함선들은 마운트 수가 남아나지 않기에, 한정된 공간에 함포 화력을 최대로 하려면 Mk62를, 함선 대량 스팸이 목적이면 Mk61로 최소한의 능력을 달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Mk61과 동일하게 사격 명령이 내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적의 방공 위협이 접근시 자동으로 RPF 탄을 장전한 후 사격한다. 아군오사에 주의할 것.

3.8.3. Mk64 함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Mk64 Canno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30 3x1x5 225 20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다목적 없음 있음 -125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6.0 RPM 10초 단발 장전 -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2.5km 에서 13m
5km 에서 26m
7.5km 에서 39m
12.5도/초 18도/초 +40도,-5도
이용 가능 탄약 250mm AP
250mm HE
250mm RPF

만능 무장. AP탄으로 장갑이 두꺼운 표적, RPF 탄으로 방공업무와 쾌속정 무력화, HE 탄으로 고 DPS를 제공하는 250mm 포탑이다.
Mk64 자체의 단독 성능만 보면 지속화력은 생각보다 떨어진다. 다만 일반적으로 이걸 장착할 경순은 탄약 엘레베이터를 최대한 채워넣기에 실전에서 보게 될 Mk64들은 재밍으로 눈을 가리며 대량의 250mm 탄을 뿌려대고 있을 것이다.

120mm 포탑들처럼 명령이 없는 상황에서 방공 표적이 접근시 자동으로 RPF 탄을 장전한 후 교전을 개시한다. 250RPF 탄은 120RPF탄 보다 효과가 좋기에 본격적으로 방공순양함 역도 수행 가능. 다만 아군 소형함과 함재기에 유의하는 것이 좋다.

3.8.4. Mk65 함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Mk65 Canno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40 6x3x6 450 40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있음 -18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12.9 RPM 13초 3발 0.5초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2.5km 에서 17m
5km 에서 35m
7.5km 에서 52m
7.5도/초 15도/초 +40도,-5도
이용 가능 탄약 250mm AP
250mm HE
250mm RPF

Mk66이 장착될 수 도 있을 정도 크기의 마운트를 요구하는 250mm 포탑. Mk64와 달리 장착자가 액스포드급 이상으로 강제되어 있다.
무장 역할이 '공격적' 이기에, Mk64와 같이 자동으로 RPF 탄을 장착한 후 공중 위협에 자동으로 교전하지 않는다. 다만 이용 탄종은 같기에, 직접 명령을 내려 RPF탄을 채우고 대공 표적에 직접 교전을 명령하는 것도 가능하다.

Mk65에 비해 이용 함선이 중순 이상으로 강제되어, 느린 이속대신 사거리로 교전거리를 보충하는 450mm 함포에 비해 팔이 짧아 주력함에 채용시 450mm 포격전에 취약해 진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미사일/빔 중순처럼 주무장이 아니면 큰 문제는 아니지만. 250mm이기에, 450mm에 비하어 일단 적중 시 교전 할 수 있는 표적의 범위는 압도적으로 넓다. 쾌속정은 물론 대공사격이나 지뢰/방공표적 제거도 RPF탄으로 가능하고 250AP는 오셀로와 플랫헤드에도 유효한 탄종인건 Mk65도 여전하기 때문.

3.8.5. Mk66 함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Mk66 Canno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45 6x3x6 450 40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있음 -20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5.9 RPM 20초 2발 0.5초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5km 에서 44m
10km 에서 87m
7.5도/초 15도/초 +40도,-5도
이용 가능 탄약 450mm AP
450mm HE

450mm 구경의 2연장 함포. 10km를 조금 넘는 긴 사거리를 가지고 있다. 포의 데미지와 관통력은 매우 강하지만 쾌속선 같은 소형 함정에 사격할 경우 과관통이 나기 쉽다. ANS 주력함의 대표적인 무장이다.

3.8.6. Mk68 함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Mk66 Canno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75 8x5x8 550 40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있음 -225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8.6 RPM 20초 3발 0.5초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5km 에서 44m
10km 에서 87m
7.5도/초 15도/초 +40도,-5도
이용 가능 탄약 450mm AP
450mm HE

포격 중순과 전함의 주무장.
Mk66과 마찬가지로 450mm 함포지만 3연장이다. 크기도 좀 더 커져서 액스포드는 1문, 솔로몬은 3문만 탑재할 수 있다. 포인트가 Mk66보다 30포 높지만, 상위호환이므로 마운트 크기가 허락한다면 가급적 Mk68을 탑재하는 것이 좋고, 여유가 있다면 추가 탄약고를 설치하는 것도 방법이다.

3.8.7. Mk81 레일건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Mk81 Railgu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75 6x3x6 125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있음 -150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1.7 RPM 100초 3발 2.5초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5km 에서 13m
10km 에서 26m
20km 에서 52m
6도/초 5도/초 +25도,-3도
이용 가능 탄약 300mm AP Rail Sabot
<rowcolor=white> 사격시 임시 보정치
레이더 시그니쳐: 20초 동안 +1500%

대형함에 장비되는 터렛 형태의 레일건. 레일건 탄은 표적 함선의 피해 저항(DR)을 완전히 무시하고, 명중시 100% 확률로 랜덤 이벤트[5] 를 발생시켜 상대방 대미지 컨트롤를 곤란하게 하는 보조형 무장으로 등장한다. 맵의 탁 트인 상부에서 엄폐물에서 나오는 적을 제압하거나, 이미 교전중이며 포격을 얻어맞는 적 함선에 화재와 대기 유출, 전반적인 내부 부품 피해 유발로 손상통제 능력을 궤멸적으로 약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300mm AP Rail Sabot의 매우 높은 관통력 덕분에, 표적 정보만 정확하다면 멋모르고 돌아다니다 록온된 소형함이전 최전선에서 치고받는 주력 전투함들이건 문답무용으로 관통하여 상태이상을 유발해 다시 숨거나 함내가 난장판이 되는 이지선다를 강요한다. 과관통으로 인해 소형함에는 큰 피해를 주지 않을것 같아도 화재와 대기 유출로 인해 일반적으로 손상통제 능력이 부족한 소형함은 지나치게 오래 노출 시 화재와 사격으로 모든 부품이 적색으로 변해 완전히 무력화 되는 것도 자주 보인다. 초장거리에서 사격 시 사격 통제실을 하나 정도 추가하는 것을 추천한다.

일시적으로 막대한 에너지 출력을 내뿜다보니 사격할 때 일시적으로 함선의 신호가 매우 크게 증폭되어 평시보다도 멀리에서 탐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Mk81의 경우 키스톤급의 Mk550 고정식 레일건보다도 화력 투사 효율도 낮고, 중순양함이 이상의 함선들이 후방라인에서 지원사격만 하고 있을 각이 잘 나오지 않다보니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아주 오래전 SA측만 존재하고 Mk82 쌍열 레일건 포탑이 존재하던 시절, 일반적인 전투는 초장거리에서 레일건 전함이 일방적으로 압도적인 사거리로 모든 것을 격침시켜 버리는 무장이였으며, Mk82 삭제를 비롯한 다양한 너프를 얻어맞으며 현재의 보조 무기 포지션으로 내려왔다.

3.9. 무장-동축

아래 무장을 장착 가능한 SA 측 동축 슬롯은 현재 키스톤급 구축함이 유일하게 가지고 있다.

3.9.1. Mk550 레일건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Mk550 Railgu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75 4x12x4 450 40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있음 -200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4.0 RPM 15초 단발 -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5km 에서 11m
10km 에서 23m
20km 에서 45m
- - -
이용 가능 탄약 300mm AP Rail Sabot
<rowcolor=white> 사격시 임시 보정치
레이더 시그니쳐: 20초 동안 +1500%

키스톤급 전방에 장비되는 동축무장 형태의 레일건. 레일건 탄은 표적 함선의 피해 저항(DR)을 완전히 무시하고, 명중시 100% 확률로 랜덤 이벤트[6] 를 발생시켜 상대방 대미지 컨트롤를 곤란하게 하는 보조형 무장으로 등장한다. 맵의 탁 트인 상부에서 엄폐물에서 나오는 적을 제압하거나, 이미 교전중이며 포격을 얻어맞는 적 함선에 화재와 대기 유출, 전반적인 내부 부품 피해 유발로 손상통제 능력을 궤멸적으로 약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300mm AP Rail Sabot의 매우 높은 관통력 덕분에, 표적 정보만 정확하다면 멋모르고 돌아다니다 록온된 소형함이전 최전선에서 치고받는 주력 전투함들이건 문답무용으로 관통하여 상태이상을 유발해 다시 숨거나 함내가 난장판이 되는 이지선다를 강요한다. 과관통으로 인해 소형함에는 큰 피해를 주지 않을것 같아도 화재와 대기 유출로 인해 일반적으로 손상통제 능력이 부족한 소형함은 지나치게 오래 노출 시 화재와 사격으로 모든 부품이 적색으로 변해 완전히 무력화 되는 것도 자주 보인다.

일시적으로 막대한 에너지 출력을 내뿜다보니 사격할 때 일시적으로 함선의 신호가 매우 크게 증폭되어 평시보다도 멀리에서 탐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력함급 보다 저렴하게 구축함급 선체를 들고 오면 장착할 수 있고, 최후방에 위치지 함선도 최대한 염가형으로 빈약하게 피팅이 가능해 일반적으로 SA가 레일건을 가져온다면 이 무장이 선택된다.

초장거리에서 사격 시 사격 통제실을 하나 정도 추가하는 것을 추천한다.

3.9.2. Mk600 빔 함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Mk600 Beam Canno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75 4x12x4 450 40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있음 -3000kw
<rowcolor=white> 장갑 관통력 부품 피해 사거리 배틀쇼트
180cm/s 300hp/s 6000m 가능
<rowcolor=white> 방출 시간(빔) 쿨다운 쿨다운 중단 여부 과열 피해 확률(빔)
7.5초 30초 완충 필요 80%

키스톤급 구축함 전방에 장착되는 흉악한 동축 무장. 포탑에 비해 재장전도 빠르고 사거리도 길어 실질적인 피해도 더 크다. 일단 적이 범위 안에 들어오면, 빔의 강력한 화력에 소형함은 몇 초 안에 퇴함 경고를 울리고, 전열함급도 내부가 만신창이가 되어버린다. 특히 빔에 집중한 구축함이면 집중 입자 가속기를 2~3개는 들고 오기에 더욱 치명적이다. 전면을 내세우는 오셀로급 전방의 강화 DC 락커도 피해 한계를 뚫고 파괴하는 수준. 특유의 눈에띄는 광선과 전략적인 움직임까지 방해하는 수준의 파괴력 덕분에 일단 한번 발사되기만 하면 엄청나게 어그로가 끌리며, 더 긴 사거리와 일반적으로 후열에 포지션을 잡는 구축의 모습까지 보이면 어그로가 엄청나다. 발사 직후 즉시 재비치하여 미사일과 함재기를 피할 것.

피해량 계산은 총 피해값을 총 5회로 나누어 초당 5회 가하고, 사거리가 멀어질수록 최종 피해값이 낮아진다. 최대 사거리에선 절반 정도로 떨어지는 수준이며, 빔무장을 탑재한 함선이 집중 입자 가속기를 최소 2개 정도는 챙기는 이유.

록온과 병행하면 완전히 정확하다는 빔 무장 특성상 지뢰제거를 하는는 고인물들도 존재한다.

4. OSP

4.1. 전자전

4.1.1. E20 '라이트하우스' 일루미네이터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E20 'Lighthouse' Illuminato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5 2x1x2 75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다목적 없음 없음 -600kw
<rowcolor=white> 방출 시간(방출기) 쿨다운 쿨다운 중단 여부 배틀쇼트
60초 45초 가능 가능
<rowcolor=white> 과열 피해 확률(방출기)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8.5% 80도/초 80도/초 +89도,-5도
<rowcolor=white> 조사 범위 사거리 출력 Gain
5도 10000m 900kW 50dB
<rowcolor=white> 보정치
레이더 시그니쳐 +10%

변경 창고에 처박혀있던 SA의 퇴역물자 일루미네이터. 플러드라이트급 사거리에 스폿라이트급 범위와 출력을 가졌고 지속시간도 짧다. 오셀로급을 제외하면 OSP가 이용 가능한 유일한 일루미네이터인지라 울며 겨자먹기로 쓰게 되지만, 절대적인 성능만 보면 순간적인 공습 역할을 진행하는데 큰 하자는 없다.

4.1.2. J15 '벨버드' 재머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J15 'Bellbird' Jamm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50 3x1x3 15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없음 -850kw
<rowcolor=white> 방출 시간(방출기) 쿨다운 쿨다운 중단 여부 배틀쇼트
45초 60초 가능 가능
<rowcolor=white> 과열 피해 확률(방출기)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15% 50도/초 30도/초 +70도,-5도
<rowcolor=white> 조사 범위 사거리 출력 Gain
40도 10000m 1.25kW 20dB
<rowcolor=white> 보정치
레이더 시그니쳐 +10%


SA측 블랭킷에 대응되는 무장이며, 비교하면 요구하는 마운트 크기가 더 크고 조사시간도 짧지만 출력은 더 강하다.
재밍이 있어야 안정적인 교전이 가능한 플라즈마/함포 플랫헤드 함대부터 시작하여, 지원/캡 용 페리맨, 멀티미션 드라우거, 전자전용 드라우거 등 SA측 블랭킷과 동일한 방식으로 애용되는 전자전이다. 되도록이면 능동 냉각 증폭기 모듈을 장착하여 지속시간과 쿨다운 버프를 추가하는 게 좋다.

4.1.3. J360 '라이어버드' 재머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J360 'Lyrebird' Jamm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75 3x1x3 10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없음 -500kw
<rowcolor=white> 방출 시간(방출기) 쿨다운 쿨다운 중단 여부 배틀쇼트
180초 60초 가능 가능
<rowcolor=white> 과열 피해 확률(방출기) 사거리 출력 gain
5% 4000m 10kW 2dB

무지향성 레이더 재머로 레이더 시커 기반 미사일 교란에 좋지만, ARAD 시커 미사일은 유의해야 한다.

4.1.4. J75 '워블러' 재머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J75 'Warbler' Jamm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50 3x1x3 10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없음 -500kw
<rowcolor=white> 방출 시간(방출기) 쿨다운 쿨다운 중단 여부 배틀쇼트
40초 30초 가능 가능
<rowcolor=white> 과열 피해 확률(방출기) 사거리 출력 gain
5% 2500m 1250kW 1dB

SA의 인터럽션에 대응되는 전방위 통신 재머. 통신(COMM)과 지령유도 미사일(CMD)을 방해한다.
인터럽션에 비해 사거리도 지속시간도 짧지만 모든 OSP 함선이 이용 가능하다. 미사일/뇌격 방공용으로 사용하는 걸 감안하면 짧은 지속시간도 큰 문제는 아니다.

4.1.5. L50 '블랙잭' 레이저 대즐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L50 'Blackjack' Laser Dazzl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50 2x1x2 75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다목적 없음 없음 -850kw
<rowcolor=white> 방출 시간(방출기) 쿨다운 쿨다운 중단 여부 배틀쇼트
90초 60초 가능 가능
<rowcolor=white> 과열 피해 확률(방출기)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10% 80도/초 80도/초 +89도,-5도
<rowcolor=white> 조사 범위 사거리 출력 Gain
60도 8000m 100kW 20dB

EO시커를 무력화 하는 장치로 IRCM과 유사하게 작동한다.
직접 적 미사일을 향해 조사할 수도 있고, 따로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미사일이 접근하면 자동으로 조사를 시작한다. 하지만 빗나간 미사일을 따라가다 다른 미사일을 놓쳐 피격되는 경우도 있으니 가능하면 적 미사일들의 대략적인접근 방향을 지향해 조사하는 명령을 내리는 것이 좋다.

4.2. 항공 지원

4.2.1. 컨테이너 뱅크 격납고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Container Bank Hanga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00 20x5x20 200 15
<rowcolor=white> 격납고 용량 제공 갑판
16/24 소형 2개, 대형 1개

무어라인급에 올라가는 대형 외장 격납고. 크기 불문 비행갑판을 소형 2개, 대형 1개 제공하며, 아래의 소형 갑판과 같이 채용 시 무어라인급은 총 대형 4개, 소형 10개의 갑판이 운용 가능하다. 자체적인 적재량도 매우 크고, 무어라인급의 큼지막한 1번 구획과 합하면 대량의 함재기를 탑재할 수 있다.

4.2.2. 소형 탑재 격납고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Small Mounted Hanga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0 8x7x8 300 20
<rowcolor=white> 탑재 가능 항공기 수 제공 갑판
1 소형 1개

탄토, 파이크, 할버드를 수용 가능하며, 함선의 내부 격납고가 존재할시 연결되어 함재기 이동이 가능하다. 플랫헤드급 부터 장착 가능하며, 파이크/할버드로 정찰 능력을 추가로 챙기는 데 도움이 된다.

4.3. 감지기

4.3.1. R400 '블러드하운드' 장거리 추적 레이더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R400 'Bloodhound' LRT Rada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40 2x5x2 200 15
<rowcolor=white> 사거리 락온 번스윕 재밍 방향
14km 불가능 불가능 표시 안됨
<rowcolor=white> 표적 분석 락온 배수 번-스루 배수 재밍 방향 정확도
가능 - - -
<rowcolor=white> 위치 오차 속도 오차 번-스루 피해 확률
30m 0.5m/s -
<rowcolor=white> Gain Apeture Size Sensitivity Noise Filtering
100dB 100m2 -38dB 0dB


좁고 긴 범위를 가진 장거리 레이더. 락온 기능은 없지만 사거리에 비해 트랙 퀄리티가 매우 준수한 편이기 때문에, Track Correlator 를 여러 개 달아 합쳐 OSP의 팔이 짧은 락온 레이더 대신 활용하기 좋다. 사거리도 14km 이기에 레이더 교란의 10km 바깥이라 포지션을 잘 잡으면 재밍도 무시한다. 장거리 포격전에 안성맞춤.

드라우거급 부터 존재하는 깊은 포곽 슬롯에 탑재하며, 일반적으로 드라우거에 가성비로, 플랫헤드에 고급형으로 정찰을 제공한다.

4.3.2. R550 조기 경보 레이더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R550 Early Warning Rada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65 3x1x3 150 15
<rowcolor=white> 사거리 락온 번스윕 재밍 방향
18km 불가능 불가능 표시 안됨
<rowcolor=white> 표적 분석 락온 배수 번-스루 배수 재밍 방향 정확도
가능 - - -
<rowcolor=white> 위치 오차 속도 오차 번-스루 피해 확률
150m 10m/s -
<rowcolor=white>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시야각
10도/초 5도/초 +85도, -5도 45도
<rowcolor=white> Gain Apeture Size Sensitivity Noise Filtering
100dB 100m2 -38dB 0dB

가장 긴 사거리를 자랑하는 레이더로 18km에 달하는 사거리로 넓은 범위를 탐색한다. SA의 퇴역물자.
트랙의 정확도가 매우 낮아 포 사격을 하기에는 역부족. 압도적인 탐지거리로 적함의 위치를 파악해 게임의 흐름을 읽거나, 미사일 사격에 이용된다. 강력한 출력으로 인에 ES22 Pinard에 게임을 사작하자마자 탐지되며 장거리 정찰을 저격하기 위한 ARAD 탄두 장거리 미사일이 날아올 수 있으니 유의할것.

탐지 능력을 높이는데는 적응성 레이더 수신기 1개까지가 한계이며, 추가로 ES32 스크라이어를 장착해 미사일 분석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높은 전력 요구량 덕분에 일반적으로 탑재되는 드라우거/플랫헤드급 함에는 증강 반응로가 장착된다. 후자의 경우 R400 블러드하운드도 탑재하기 위해 급조 반응로도 채용하기도 한다.

4.3.3. RF44 '핀포인트' 레이더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RF44 'Pinpoint' Rada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70 2x1x2 70 10
<rowcolor=white> 사거리 위치 오차 속도 오차 전력 요구치
6.5km 3m 0m/s -250kw
<rowcolor=white> Radiated Power Gain Apeture Size Noise Filtering
1500kW 60dB 40m2 0dB

SA가 불즈아이 이전에 이용하던 퇴역물자. 록온 거리는 훨신 짧지만, 재밍에 대한 저항력이 비교적 높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함포 무장을 채용한 함대가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끊기 매우 어려운 락온으로 물고 플라즈마/함포 무장으로 정확하게 상대를 갈아버리는데 이용한다.

4.4. 무장-에너지

4.4.1. C81 플라즈마 함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T81 Plasma Canno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30 4x6x4 500 40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있음 -120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5.0 RPM 12초 단발 -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회전 한계
5km 에서 26m
10km 에서 52m
5도/초 0도/초 +25도,-25도
이용 가능 탄약 400mm Plasma Ampule

OSP의 대장갑 수단. 피격 위치의 상대방 장갑을 녹여내리며, 최대 피해량 기준 솔로몬급은 같은 위치에 2회 피격 시 그 위치의 장갑이 전부 제거된다. 이후 무방비가 된 그 틈을 노리고 100mm HE-HC탄을 사격해 큰 피해를 주는게 주요 전략인 중거리 무기.

T81에 비해 순수 연사력이 떨어지고, 오로지 에너지 조절기로만 버프가 가능하며, 포탑처럼 머라우더급의 양측 화력을 집중하는 것이 불가능 하기에 상대적으로 높은 내구도와 적은 가격에도 인기는 크게 떨어진다. 플랫헤드 급에 포탑에 이어 유사시를 위해 2중으로 플라즈마를 챙길 때 다른 플랫헤드에 채용하는 정도.

400mm Plasma Ampule은 4000m 이하의 사거리에서 최대 피해를 가하며, 거리가 멀어질수록 장갑 파괴 능력이 떨어진다. 다만 무작정 접근하기엔 빔 무장의 위협이 항상 존재하기에, 빔구축의 6k 사거리 너머와 100mm탄의 사거리 7200m 아래인 6000~7200m 가 주요 전투 위치가 된다.

4.4.2. T81 플라즈마 함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T81 Plasma Canno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45 6x3x6 30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있음 -150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6.4 RPM 40초 8발 5초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5km 에서 35m
10km 에서 70m
5도/초 5도/초 +60도,-5도
이용 가능 탄약 400mm Plasma Ampule

OSP의 대장갑 수단이자 현재 OSP 중근거리 포격전의 주력. 피격 위치의 상대방 장갑을 녹여내리며, 최대 피해량 기준 솔로몬급은 같은 위치에 2회 피격 시 그 위치의 장갑이 전부 제거된다. 이후 무방비가 된 그 틈을 노리고 100mm HE-HC탄을 사격해 큰 피해를 주는게 주요 전략인 중거리 무기.

버프 모듈로서 고속 순환 크레이들과 에너지 조절기 양쪽에 혜택을 받지만, C30 포탑과 버프를 동시에 받고 전력 요구량도 낮은 고속 순환 크레이들이 주로 채용된다. 덕분에 기습시 순간적으로 플라즈마와 포화를 때려박아 적이 반응하기 전에 순식간에 녹여내는 것도 가능하다.

400mm Plasma Ampule은 4000m 이하의 사거리에서 최대 피해를 가하며, 거리가 멀어질수록 장갑 파괴 능력이 떨어진다. 다만 무작정 접근하기엔 빔 무장의 위협이 항상 존재하기에, 빔구축의 6k 사거리 너머와 100mm탄의 사거리 7200m 아래인 6000~7200m 가 주요 전투 위치가 된다.

4.5. 무장-미사일 발사대

4.5.1. 컨테이너 뱅크 발사대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Container Bank Launch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5 20x5x10 500 15
<rowcolor=white> 치명적 상황 발생 확률
(셀 발사관)
미사일 크기 탑재 용량 전력 요구치
15% 4 24셀 2/3줄(총합 48/72) -200kw

처음 OSP가 출시되었을 때 밈적 요소로서 큰 인기를 끈 컨테이너선의 무장으로, 초기에 OSP가 EO 시커를 이용 가능했을 시절 EO/기만체 컨테이너로 SA측 주력함을 격파하는 무장 중 하나였다. 이후 EO 시커가 사용 불가능해지자 SA측 EA99 능동 디코이 덕분에 명중하기 힘들어 고인물만 쓰는 함대 취급 받았었다.
함재기 업데이트 이후, OSP 전용 열상 시커의 추가와, 컨테이너 미사일의 조정, 함재기와 합동한 전술의 이용 덕분에 이용이 다시 연구되는 추세이며, 특히 로켓자탄을 자율적으로 조정해서 탄두로 추가할 수 있는 업데이트 덕분에 로켓 컨테이너의 인기는 여전하다.
직사 반능동 컨테이너선 또한 여전히 가끔 보이기도 한다.

탑재 무장은 24개의 컨테이너가 탑재되는 2/3줄이며, 각 줄의 24개 컨테이너는 동일한 설계의 컨테이너만 탑재 가능하다. 즉, 한 뱅크에는 최대 2/3종의 컨테이너까지 탑재 될 수 있다.

4.5.2. 컨테이너 스택 발사대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Container Stack Launch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5 6x1x6 200 15
<rowcolor=white> 치명적 상황 발생 확률
(셀 발사관)
미사일 크기 탑재 용량 전력 요구치
5% 4 2개 -50kw

플랫헤드급 이상부터 장착 가능한 컨테이너 발사대. 일반적으로 기만용 컨테이너를 탑재하는데 이용하며, EA99가 없는 OSP측 함선에 미사일 기만과, 전략적인 기만전술의 선택지를 제공해준다.
매우 저렴한 가격에 비해 적절한 수준의 내구도를 제공하여, 머라우더급 전열함이 포곽 반대쪽 면에 채워넣어 조금이나마 맷집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4.5.3. ML-9 지뢰 발사관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ML-9 Mine Launch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0 3x2x3 200 15
<rowcolor=white> 전력 요구치
-100kw

탄약고에서 지뢰 5발을 장전한 후 발사하는 지뢰 살포기.

함선에 1개 이상 탑재시 가격이 기하급수적으로 뛰도록 설정되어 있기에 유의할 것.

4.5.4. MLS-2 발사대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MLS-2 Launch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0 2x2x5 200 15
<rowcolor=white> 전력 요구치
-50kw

SA의 퇴역물자. 탄약고에서 미사일을 가져와 4발 장전하며, 미하일 프로그래밍 채널과 무관하게 4발 모두 한번에 발사가 가능하다. 즉 탑재 수 만큼 한번의 미사일 공격에 S2가 4발 추가되는 것. 플랫헤드 급은 한번에 20개, 머라우더급은 한번에 32개의 S2 미사일 폭격이 가능하며, 다목적 드라우거의 부무장으로도 이용된다.

4.5.5. MLS-3 발사대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MLS-3 Launch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0 2x2x5 200 15
<rowcolor=white> 전력 요구치
-50kw

SA의 퇴역물자. MLS-2와 마찬가지로, 탄약고에서 미사일을 가져와 2발 장전하며, 미하일 프로그래밍 채널과 무관하게 2발 모두 한번에 발사가 가능하다. 뇌격용으로 이용되며, 드라우거에 탑재 후 재밍과 함게 주력함에 들이박거나 기습용으로 플랫헤드/머라우더에 탑재되는 식으로 보인다.

4.5.6. RL18 발사대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RL18 Launch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30 3x1x3 100 15
<rowcolor=white> 치명적 상황 발생 확률
(셀 발사관)
미사일 크기 탑재 용량 전력 요구치
5% 2 18개 -50kw
<rowcolor=white> 미사일 종류
Long Rocket

R-2 피랴나 로켓을 발사하는 발사대이자 OSP 소형함의 순간화력을 담당한다. RL 18 덕분에 셔틀의 캡싸움은 물론 경순급 까지 발악이 가능해지는 강력한 무장. 다만 요격과 회피가 가능하기에 가능한 표적에 최대한 가깝게, 이상적으론 2000m의 초근거리까지 접근하는 것이 추천된다.

발사대 자체는 매우 물렁해서 RPF탄을 몇발만 맞아도 작동불능이 된다. 허를 찔리지 않도록 유의할 것.

4.5.7. RL36 발사대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RL36 Launch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30 6x3x6 175 15
<rowcolor=white> 치명적 상황 발생 확률
(셀 발사관)
미사일 크기 탑재 용량 전력 요구치
5% 2 36개 -75kw
<rowcolor=white> 미사일 종류
Long Rocket

RL18의 두배의 탑재량을 장착한 로켓발사대. 최소 모니터급부터 장착되는 무장인지라 기습의 효과를 보기 힘들어 보기 드물다.

가끔식 예능용으로 머라우더급 양쪽에 RL36을 장착한 '로켓 라이너'가 보이기도 한다. 아무리 예능용이여도 허를 찔리면 솔로몬도 무력화되니 긴장을 늦추지 말 것.

4.5.8. SALS-2 '와드' 발사대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SALS-2 'Ward' Launch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5 3x4x3 100 15
<rowcolor=white> 치명적 상황 발생 확률
(셀 발사관)
미사일 크기 탑재 용량 전력 요구치
5% 2 1셀 -50kw
<rowcolor=white> 미사일 종류
미사일

사이즈 2 미사일을 발사하는 터렛이자 역시나 SA의 퇴역물자. 탄약고에 보관된 미사일을 사용한다.
VLS보다 동시교전능력이 떨어지고, 위치에 따라 사각이 발생할 수 있지만 작은 마운트에서 여러 발의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2 미사일에 자가 방어 재머 보조 모듈을 장착해, ARADHoJ 시커를 장착한 미사일을 교란하는 방어적 미사일인 '킬조이' 미사일을 OSP함이 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수직발사관으로 인해 SA의 전유물이였던 전략이 OSP도 가능해진 것.

4.5.9. TALS-2 '탈리스만' 발사대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TALS-2 'Talisman' Launch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0 3x4x5 150 15
<rowcolor=white> 치명적 상황 발생 확률
(셀 발사관)
미사일 크기 탑재 용량 전력 요구치
5% 2 2셀 -50kw
<rowcolor=white> 미사일 종류
미사일

약간 더 커진 점을 제외하면 위의 SALS-2와 큰 차이는 없다.

4.6. 무장-근접방어

4.6.1. P11 '파비스' 근접방어포탑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P11 'Pavise' PDT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0 2x1x2 10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방어적 있음[레이더] 없음 -15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4800.0 RPM - - -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1km 에서 5m 100도/초 100도/초 +89도,-5도
이용 가능 탄약 20mm Slug

SA의 디펜더에 대응되는 20mm 발칸포. SA보다 뒤쳐지는 감지기 성능과 명중률을 보완하기 위해 심플하게 포신을 하나 더 장착해 화력을 두배로 늘렸다. 디펜더 처럼 어느정도 다목적이지만, 주로 뇌격을 방지하기 위해 챙기는 근접방어. 운이 좋고 동체 중앙쪽에 위치했다면, 희귀하게 하이브리드 미사일도 격추시킨다.

4.6.2. P20 '바스티온' 근접방어포탑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P20 'Bastion' PDT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5 2x1x2 15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방어적 없음 있음 -4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벨트)
240.0 RPM 0.25초 100발 0.25초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1km 에서 52m 30도/초 30도/초 +89도,-5도
이용 가능 탄약 50mm Flak Shell

OSP측 소형 스톤월. 스톤월과 마찬가지로 대공포탄을 퍼붓지만, OSP가 주로 상대하는 미사일 위협이 하이브리드 아니면 뇌격이기에 잘 채용되지 않는다.

과거에 스톤월을 함선에 도배할 경우 3사이즈 하이브리드를 제외한 모든 미사일을 전부 격추해버리는 만능 방공포탑 이였지만, 이를 저격하기 위해 미사일 격벽 두께가 추가된 이후 뇌격에 취약해져 버렸다.

특이하게 사이클 시간이 '벨트' 종류로 특정되어 있는데, 과거 OSP 출시 전 테스터들이 시험하던 중 고속 사이클 크레이들을 대량으로 장착할 시 S2 미사일 스팸을 압도적으로 차단해버려, 버프가 적용되지 않도록 조정된 것이다. 강한 재밍 하에 미사일이 650m거리에서 탐지되어도 무작정 갈아버리는 수준이였기 때문.

4.6.3. P60 '그레이저' 근접방어포탑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Mk90 'Aurora' PDT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35 2x1x2 10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방어적 있음[광학] 있음 -1250kw
<rowcolor=white> 장갑 관통력 부품 피해 사거리
0.3cm/s 75 1500m
<rowcolor=white> 공격 수 쿨다운
단발 7초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0.5km 에서 0m
1km 에서 0m
100도/초 100도/초 +20도,-5도

ANS의 오로라 PD와 동일하게 레이저를 사용하는 CIWS다. 다만 조선소의 절단레이저를 개조한 것이기에 아무래도 성능은 오로라보다 떨어진다. 한번 발사시 단일 표적만 상대가 가능하고, 배틀쇼트가 불가능하기 때문. 다층방공의 마지막 선으로서 흘러들어오는 하이브리드 한두개를 요격할때 최적의 수단이며, 그 이전에 방공미사일을 비롯한 장거리 요격 수단을 방비하는 것이 좋다.

요구 전력이 높은 편이기에 전력 공급 수단을 찾아야 한다. 위험에도 불구하고 증강 발전로가 인기있는 수많은 이유 중 하나.

4.7. 무장-발사체

OSP 함포는 앞에 C 가 붙으면 포곽식(Casemate), T가 붙으면 포탑식(Turret) 무장이다.

4.7.1. C30 함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C30 Canno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0 2x5x2 350 20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있음 -10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27.2RPM 30초 24발 1초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회전 한계
2.5km 에서 9m
5km 에서 17m
20도/초 0도/초 +45도,-45도
이용 가능 탄약 100mm AP
100mm HE
100mm HE-HC
100mm Grape
100mm Flak Shell

100mm 포곽포. 주로 드라우거, 특히 다목적 드라우거의 전방 포곽 마운트에 보이는 무장. 주로 스프린터급을 잡는데 사용하며, 최대 경순양함 까지 발악용으로 100mm AP 탄이 박힌다. 100mm Grape 와 Flak Shell이 장착 가능해 대공용으로 사용이 가능은 하지만 자동으로 대공 표적을 공격하지 않는다.

4.7.2. C53 함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C53 Canno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0 2x4x2 300 20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있음 -10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5.7RPM 70초 8발 2초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회전 한계
2.5km 에서 13m
5km 에서 26m
7.5km 에서 39m
10도/초 10도/초 +35도, -35도
+35도, -35도
이용 가능 탄약 250mm AP
250mm HE

250mm 포곽. 250mm탄을 8발 장전하고 사격한다. 주로 '오벨리스크' 머라우더의 상단에 장착한 걸 볼 수 있으며, 250mm AP 탄은 플라즈마와 합세할 시 솔로몬급 까지 유효타를 가한다.

과거엔 C53이 C56의 스펙을 가지고 있었지만, 드라우거 스팸과, 머라우더급의 3x4x3 무장 칸에 탑개자 가능해 C56 6개의 포화를 한 개의 머라우더에 뿜어낼 수 있었기에, 절반 스펙의 C53과 대형화되고 스펙을 유지한 C56으로 나누어졌다.

과거 OSP 테스팅 시절 250mm HE-HC 탄이 존재하였지만, 단독으로 스프린터를 족쳐버리는 밸붕 수준의 파괴력을 보여 추가되지 않았다.

4.7.3. C56 함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C56 Canno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0 4x6x4 350 40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있음 -10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9.2RPM 70초 15발 2초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회전 한계
2.5km 에서 13m
5km 에서 26m
7.5km 에서 39m
10도/초 10도/초 +35도, -35도
+35도, -35도
이용 가능 탄약 250mm AP
250mm HE

쌍열 250mm 포곽. 주로 RCC와 T81을 장착한 플랫헤드급의 전방 포곽으로 볼 수 있으며, 250mm 포격 머라우더의 무장으로도 보인다.
플라즈마, 100mm 포격과 합세하어 중거리 포격전에 이용한다. 100mm 와 다르게 250mm AP의 집중 피해로 (강화)태그와 피해 저항으로 버티는 주력함의 내부 부품을 마무리로 파괴하는 역할을 가지며 자체적인 화력도 적절하다.

4.7.4. C65 함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C65 Canno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30 6x10x6 500 40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있음 -20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4.1 RPM 90초 8발 4초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회전 한계
5km 에서 35m
10km 에서 70m
5도/초 0도/초 +25도,-25도
이용 가능 탄약 450mm AP
450mm HE

머라우더급과 플랫헤드급의 깊은 마운트에 장착되는 대형 포곽. 8발을 한거번에 90초동안 장전한다. 8발이 이미 장전된 점을 극대화하여, 고속 순환 크레이들을 장착해 순간화력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머라우더급에 C65 4문+크레이들 5개 기준 450mm 32발을 5초안에 때려박는게 가능하다. 솔로몬급이여도 맞으면 비명을 지르는 수준.

4.7.5. C90 함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C90 Canno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60 6x12x6 500 40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있음 -10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3.3RPM 18초 단발 -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회전 한계
5km 에서 22m
10km 에서 44m
5도/초 0도/초 +5도, -5도
이용 가능 탄약 600mm HE-SH
600mm Bomb Shell

오직 플랫헤드급의 정면 동축 마운트에만 장착되는 거포이자 모니터 함대의 유연성을 담당하는 한 축. HE-SH 탄은 솔로몬급에도 유효하며, Bomb Shell은 소형함 스웜에 유용하다. 재머로 개활지에서 농성하는 스프린터 스웜 함대 저격용으로 출시되었으며, 폭발에 휘말린 함재기들은 궤멸당한다. 사실상 모든 표적을 상대로 이용이 가능한 무장이지만 연사력에 난점이 있다. 주로 모니터 함대에서 T30, 탄약 엘레베이터와 함께 장착되는 모습으로 보인다.

Bomb Shell 탄환은 근접 신관이 아니라 시한 신관이기에, 수동으로 특정 위치를 지정해 사격이 가능하다. 점령지 근처 엄폐물 뒤에서 농성중인 소형함을 쫒아내는 방식으로 사용 가능.

4.7.6. T20 함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T20 Canno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5 3x1x3 15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다목적 없음 있음 -3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13.3 RPM 15초 4발 1초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2.5km 에서 4m
5km 에서 9m
35도/초 35도/초 +80도,-5도
이용 가능 탄약 100mm AP
100mm HE
100mm HE-HC
100mm Grape
100mm Flak Shell

OSP측 가장 작은 대함전 함포. 다양한 탄약 탑재가 가능하며 다목적 무장이라 방공업무 또한 Mk61/62처럼 수행한다.
RL-18을 올리지 못하는 염가형 페리맨/드라우거에 올라가기도 하고, 머라우더급이 추가로 화력을 챙기기 위해 장착하기도 한다.

4.7.7. T30 함포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T30 Cannon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0 6x3x6 200 15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있음 -12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21.3 RPM 30초 16발 1초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2.5km 에서 9m
5km 에서 17m
20도/초 20도/초 +80도,-5도
이용 가능 탄약 100mm AP
100mm HE
100mm HE-HC
100mm Grape
100mm Flak Shell

플라즈마/100mm 머라우더와 플랫헤드의 주무장 중 하나이자 실질 화력을 담당하는 포탑. 100mm 포탄을 쏟아내며 기본 100mm HE도 스프린터급이 얻어맞으면 전투불능이 되거나, 머라우더급 정도면 그대로 격침될 수도 있다. 주로 T81 플라즈마 함포와 같이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가져오지만 T30만 챙기고 경순 이하만 때려잡는 머러우더도 가끔식 보인다.

과거에 용도가 다목적으로 지정되어 방공용으로 자동 이용되었지만, 재장전 시간으로 인해 장전이 끝나면 정작 미사일 위협은 이미 어떠한 방식으로든 끝난 경우가 많았기에 최소 시간낭비, 최대 교전중 갑자기 탄창을 빼버리는 대참사를 일으켜 기능이 제외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100mm Flak Shell 탄의 추가로 인해 방공 성능은 과거의 불안정한 명중률의 100mm Grape를 이용하던 시절보다 더 증가했다.

4.8. 무장-동축

4.8.1. TE45 매스 드라이버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TE45 Mass Driv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00 4x10x4 150 30
<rowcolor=white> 용도 내장 사통 광학 백업 전력 요구치
공격적 없음 있음 -42500kw
<rowcolor=white> 연사력 재장전 시간 자동장전기 사이클 시간
2.4RPM 25초 단발 장전 -
<rowcolor=white> 명중률 회전 속도 상승 속도 상승 한계
5km 에서 11m
10km 에서 23m
20km 에서 45m
- - -
이용 가능 탄약 500mm Fracturing Block
<rowcolor=white> 사격시 임시 보정치
레이더 시그니쳐: 20초 동안 +1500%

원래 소행성 채굴용으로 사용하던 500mm 텅스텐 블럭 발사기를 무기로 개조했다는 설정이다.
ANS의 레일건과는 달리 준수한 화력을 낸다. 본래 목적이 목적이다보니 ANS처럼 함선을 그냥 관통해버리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낮은 관통력으로 인해 함선에 완전히 때려박히기 때문. 때문에 AP탄과 같은 방식이 아니라, 고폭탄/미사일 폭발과 동일한 방식의 피해 적용 방식을 가진다.

포곽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CHI-7700과 같은 선회력을 보강하는 드라이브 채용을 추천하며, 전력 소모량이 매우 높은 점에 유의해야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미사일은 이 게임의 대표적인 무장이다[2] 채프 기만체의 레이더 반사 면적은 매우 크고 일루미네이터를 조사시 더 크게 늘어나버린다[3] 다만 광학 백업이 없기에 레이더로 표적의 위치 자체는 추적이 필요하다. 인근에 레이더로 표적을 잡아줄 아군기가 필요.[4] 미사일은 몰라도, 함재기급 상대로는 스터전이 기본 회피만 켜놔도 명중이 불가능하다[5] 주로 화재 또는 대기 유출. 반응로 과부하나 탄약고 유폭 같은 일부 '치명적' 이벤트는 제외된다. 단 이 화재가 후자를 유발하는 것은 가능.[6] 주로 화재 또는 대기 유출. 반응로 과부하나 탄약고 유폭 같은 일부 '치명적' 이벤트는 제외된다. 단 이 화재가 후자를 유발하는 것은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