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아케르나르 Achernar | 베타성 쿠르사 Cursa | 감마성 에리다누스자리 감마 γ Eri | 델타성 에리다누스자리 델타 δ Eri | |
엡실론성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ε Eri | 제타성 에리다누스자리 제타 ζ Eri | 에타성 에리다누스자리 에타 η Eri | 세타성 아카마1· Acamar | |
이오타성 에리다누스자리 이오타 ι Eri | 카파성 에리다누스자리 카파 κ Eri | 람다성 에리다누스자리 람다 λ Eri | 뮤성 에리다누스자리 뮤 μ Eri | |
누성 에리다누스자리 누 ν Eri | 크시성 에리다누스자리 크시 ξ Eri | 오미크론성 에리다누스자리 오미크론1·2 ο Eri | 파이성 에리다누스자리 파이 π Eri | |
로성 에리다누스자리 로1·2·3 ρ Eri | 에리다누스자리 시그마 σ Eri | 타우성 에리다누스자리 타우1·2·3·4·5·6·7·8·9 τ Eri | 웁실론성 에리다누스자리 웁실론1·2· υ Eri | |
피성 에리다누스자리 피 φ Eri | 카이성 에리다누스자리 카이 χ Eri | 프시성 에리다누스자리 프시 ψ Eri | 오메가성 에리다누스자리 오메가 ω Eri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에리다누스자리 1 | 에리다누스자리 2 | 에리다누스자리 3 | 에리다누스자리 4 | |
에리다누스자리 5 | 에리다누스자리 6 | 에리다누스자리 7 | 에리다누스자리 8 | |
그 외 에리다누스자리에 속한 항성 | ||||
에리다누스자리 q1·2 | 에리다누스자리 e | HD 12634 | - |
}}}
- [ 심원천체 ]
틀:별자리 · 에리다누스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NGC 천체 | ||||
NGC 1299 에리다누스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 | NGC 1300 에리다누스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 | NGC 1301 에리다누스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NGC 1300 | ||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3h 19m 41.1s |
적위 | -19° 24′ 41″ | |
별자리 | 에리다누스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R')SB(s)bc형 막대나선은하 | |
거리 | 61,300,000 광년 213 파섹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10.42[1] | |
절대 등급 | +6.58 | |
규모 | ||
크기 | 6'.2 X 4'.1 | |
지름 | 약 11만 광년 | |
명칭 | ||
NGC 1300, MCG-03-09-018, ESO 547 -G 31, PGC 12412, UGCA 66 |
1. 개요
NGC 1300NGC 1300은 에리다누스자리 방향으로 6,1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막대나선은하이다.
2. 상세
NGC 1300은 1835년 존 허셜에 의해 발견된 유명한 막대나선은하로,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소속의 은하다. 겉보기 등급은 10.42로 밝은 편은 아니라 같은 별자리 내에서도 NGC 1232, NGC 1407 등 더 밝은 은하가 존재할 정도지만, 막대나선은하의 전형을 보여주는 웅대한 구조로 유명해진 은하다. 지구와의 거리가 6100만 광년, 지름은 우리 은하보다도 큰 11만 광년이다. 이 은하는 커다란 막대와[2] 막대에서 뻗어나가는 명확한 2개의 나선팔이 있어 거대구조 나선은하(Grand design spiral galaxy)에 속하기도 한다. 나선팔에서는 많은 전리수소영역이 발견되었으며 지금도 별이 계속 탄생하고 있는 중이다. 중심 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4천만 ~ 1억 4천만 배 정도로 매우 무겁다고 추정되지만,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지는 않다.2022년 12월 6일 SN 2022acko라는 15.8등급의 IIP형 초신성이 나타났다.
NGC 1300은 3.7등급의 에리다누스자리 16[3]에서 북쪽으로 2.5도 올라가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