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C 천체 | ||||
NGC 7 조각가자리의 나선은하 | ← | NGC 8 페가수스자리의 겉보기 쌍성 | → | NGC 9 페가수스자리의 나선은하 |
NGC 8 | ||
[1]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0h 08m 45.3s |
적위 | +23° 50′ 20″ | |
별자리 | 페가수스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쌍성계 | |
거리 | ? 광년 ? 파섹 | |
운동 | 시선속도 | ? km/s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 | |
규모 | ||
지름 | ? 광년 ? 파섹 | |
겉보기 크기 | 0.31′ × 0.19' | |
명칭 | ||
NGC 8, PGC 648, Holm 3B |
1. 개요
NGC 8은 페가수스자리에 위치해 있는 겉보기 쌍성으로, 두 천체의 시선속도가 달라서 중력으로 묶여 있지는 않다.1.1. 상세
1865년 9월 29일 오토 빌헬름 폰 스트루브[2]가 발견했다. 거리는 NGC 9에서 약 2분 42초 즈음 된다. NGC 8의 두 별은 2MASS J00084563+2350186[3], 2MASS J00084521+2350184[4]인데, 각각 반대로 흐릿하고 밝다.2. 구성 천체[5]
2.1. 2MASS J00084521+2350184[6]
2MASS J00084521+2350184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0h 08m 45.2122160520s |
적위 | +23° 50′ 18.496669452″ | |
별자리 | 페가수스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적색거성 | |
분광형 | K III | |
거리 | 42677.738 광년 13085.054 파섹 | |
반지름 | 309.10 R⊙ | |
질량 | 4.09786 M⊙ | |
평균 온도 | 4403.3223 K | |
나이 | - 년 | |
운동 | 시선속도 | -179.39 km/s |
자전 속도 | -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15.32 | |
절대 등급 | -0.5298 | |
광도 | 139.3 L⊙ | |
명칭 | ||
2MASS J00084521+2350184, TIC 258879206, ZTF J000845.21+235018.5, Gaia DR3 2848944136349652224, LAMOST J000845.21+235018.4, UCAC4 570-000332, Gaia DR2 2848944136349652224 |
2.2. 2MASS J00084563+2350186[7]
2MASS J00084563+2350186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0h 08m 45.6414403824s |
적위 | +23° 50′ 18.674743488″ | |
별자리 | 페가수스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F형 주계열성 | |
분광형 | F9V | |
거리 | 4283.87876 광년 1313.4432 파섹 | |
반지름 | 1.24 R⊙ | |
질량 | 2.76 M⊙ | |
평균 온도 | 5297.7856 K | |
나이 | -년 | |
운동 | 시선속도 | -51.724 km/s |
자전 속도 | -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15.59 | |
절대 등급 | 4.7329 | |
광도 | 1.0935 L⊙ | |
명칭 | ||
2MASS J00084563+2350186, SDSS J000845.63+235018.6, Gaia DR2 2848944132054587648, SDSS J000845.64+235018.5, TIC 258879207, Gaia DR3 28489441320545876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