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2 16:58:15

OrBiTal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원래 의미의 오비탈에 대한 내용은 오비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DJMAX RAY3. DJMAX TECHNIKA Q4. TAPSONIC BOLD5. DJMAX RESPECT & V
5.1. 4B TUNES5.2. 5B TUNES5.3. 6B TUNES5.4. 8B TUNES
6. 여담
파일:DJMAX 로고(블랙).svg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
수록 정보 DJMAX RAY (2012)
장르 Dublec Trance
BPM 130
작곡 Paul Bazooka
피처링 5han[1]
BGA ECO

1. 개요

사.생.결단 . 미.친.음악[2]
The One, The Rain Maker, SigNalize을 제공했던 Paul BazookaDJMAX RAY에 제공한 신곡. 전체적인 컨셉은 SigNalize를 잇고 있으면서도 조금 더 파격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Paul Bazooka의 사운드 클라우드 태그에 테크니카가 적혀있는 것으로 보아 테크니카 4 혹은 테크니카 튠의 DLC를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나, 테크니카 Q에 수록되었다.

Ukyo가 그린 RAY의 아이캐치에 Xeus의 주연인 Ada가 나오고, 아이캐치를 자세히 보면 Ada의 소속에 Xeus Bioscience라고 쓰여있으며, 비주얼도 Xeus의 비주얼을 담당했던 Ukyo이기도 하기 때문에 타이틀 그림은 Xeus의 다음 이야기를 다루는것 같으며 BGA를 통해 Xeus의 후일담을 볼 수 있을 것 같았으나, DJMAX TECHNIKA Q에서의 BGA는 딱 봐도 ECO가 그린 개그 BGA로 확정되고 말았다. BGA는 똑같이 ECO의 작품인 MASAI, Cherokee, Gone Astray, Kung-Fu Rider를 셀프 패러디했다.

BGA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상당히 과격하게 갈리는 편인데, 곡 분위기 자체가 약간 돌아있는 느낌이기 때문에(..) Xeus의 후속 BGA보다는 ECO의 BGA가 곡 분위기 자체에는 더 어울리는 편이나 표현 방식에서 불호 의견을 표하는 유저들이 상당히 많다. 곡 분위기랑 매치되기 때문에 좋아하는 유저들도 일부 존재하나, 단순히 개그 BGA임은 차치하고서라도 바퀴벌레, 대소변 등 혐오감을 유발할 만한 지저분한 요소도 들어가 있어 Kung Brother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재미보다는 오히려 불쾌함을 유발하는 BGA라는 평.

BGA에 등장하는 남성의 얼굴은 디제이맥스의 패턴 디자이너인 바티스 타이거의 얼굴이다.[3] 최근작인 DJMAX RESPECT V에서는 게임 디자이너로 참여했다. 유저들 사이에서 ECO와 원수 졌냐는 얘기가 나온다.

2. DJMAX RAY

DJMAX RAY의 Club Trance 팩 수록곡
White Blue SigNalize Minus 3 Seeker OrBiTal
DJMAX RAY 난이도 체계
패턴 난이도 비고
NM 3
HD 5
MX 7


6K MX

Club Trance팩의 히든곡으로 수록되었다.

MX패턴은 전체적으로 평이하나 중반에 나오는 2-1-2-1-2-1-3-1패턴이 난해한편.

3. DJMAX TECHNIKA Q

DJMAX TECHNIKA Q의 뮤직팩 5 수록곡
EGG MonoXide BlythE OrBiTal
DJMAX TECHNIKA Q
라인/난이도 NM HD EX
2 LINE 5 6 8
3 LINE 5 7 9
4 LINE 3 6 9


3라인 EXPERT 채보 영상


4라인 EXPERT 채보 영상

4. TAPSONIC BOLD

패턴 난이도
EASY 4
NORMAL 7
HARD 9
EXPERT 11


EXPERT 플레이 영상

5. DJMAX RESPECT & V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수록곡 일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Alone (Marshmello)_1.png 파일:Boom!_1.png 파일:NEON 1989_1.png 파일:Ghost Voices_1.png
RESPECT V
Alone
Boom!
파일:Sad Machine_1.png 파일:Bleed_1.png 파일:Kingdom_1.png 파일:So Happy_1.png
Bleed Kingdom
파일:Get Jinxed_1.png 파일:POPSTARS_1.png 파일:Chemical Slave_1.png 파일:RockSTAR_1.png
파일:Watch Your Step_1.png 파일:혜성_1.png 파일:I want You 반짝반짝_1.png 파일:염라_1.png
혜성 염라
파일:Dance of the Dead_1.png 파일:Grid System_1.png 파일:서울여자_1.png 파일:Relation Again_1.png
서울여자
파일:너로피어오라_1.png 파일:Alone(DJMAX)_1.png 파일:너랑 있으면_1.png 파일:Aurora Borealis_1.png
Alone
파일:Airlock_1.png 파일:Daylight_1.png 파일:OrBiTal_1.png 파일:Angelic Tears_1.png
Airlock Daylight OrBiTal
파일:모차르트 교향곡 40번 1악장_1.png 파일:Mr.Lonely_1.png 파일:Dancin' Planet_1.png 파일:I'M ALIVE_1.png
Mr.Lonely I'M ALIVE
파일:Dark Lightning_1.png 파일:Celestial Tears_1.png 파일:Can We Talk (Broken Dog Leg Mix)_1.png 파일:BlueWhite_1.png
파일:Kamui_임시.jpg
Kamui
총 37곡 수록, ★ : RESPECT V에만 수록
}}}}}}}}} ||
<nopad> 파일:OrBiTal_1.png
RESPECT/V
OrBiTal
<rowcolor=white> 모드 NM HD MX SC
<colbgcolor=#d968d8><colcolor=white> 4B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4
246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7
360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3
909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 10
1039
5B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5
424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10
668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4
905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 9
1008
6B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5
422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10
716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3
966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 9
1091
8B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7
486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10
762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4
987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 10
1095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원작 테크니카 패턴을 고증이라도 하듯 연타 위주의 패턴으로 등장했다. 이후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12 → 10, 5B 10 → 9, 6B 12 → 9, 8B 12 → 10)

5.1. 4B TUNES

NM HD
MX SC

4B SC의 경우 정박 단노트 연타 위주의 패턴으로 등장했다. The Rain Maker 정도의 연타 피지컬 수준을 요구하는 정도라 D2HAMSIN MX과 같은 타 연타곡들에 비하면 어렵지는 않다. 중반의 빅장 연타도 주의해야 할 구간.

5.2. 5B TUNES

NM HD
MX SC

5B SC는 Color의 킬링 파트인 1번 연타+3, 5번 연타+3 패턴이 후반부에 상당히 자주 나오고, 가변이 요구되는 연타도 많이 나와 손배치도 자주 바꿔줘야 한다.

5.3. 6B TUNES

NM HD
MX SC

6B SC의 타 채보들과 마찬가지로 정박 연타로 난이도를 올렸으며, 중반의 13-46 연타와 후반에 손을 번갈아가면서 치는 원핸드 연타가 처리하기 까다로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동 작곡가의 곡인 The One 6B SC와 패턴 양상이 비슷하나, 연타에 강하다면 퍼펙트 난이도 자체는 오히려 The One이 더 높다. 기존 15레벨이었고, 이후 SC 난이도 개편을 통해 12레벨로 조정되었으나 12레벨 치고도 전체적인 밀도 수준도 상당히 낮고 특징적인 난이도 요소가 정박 연타밖에 없는 만큼 상당한 물렙이라는 평가. 연타에 특별하게 약하지 않은 한 체감 난이도가 최대 11레벨에서 10레벨으로 내려가고, 연타에 강하다면 9레벨 수준까지도 떨어진다는 평을 듣고 있어 10레벨 정도로는 하향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5.4. 8B TUNES

NM HD
MX SC

8B MX 채보는 트리거 연타가 굉장히 적극적으로 들어갔다. 노트 배치 자체는 굉장히 단순한 배치로 짜여져 있고, 밀도 또한 높지 않기에 키보드 플레이어에게는 엄지 연타 지력만 받쳐준다면 그리 어렵지는 않은 채보이지만, 패드 플레이어의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지옥인 패턴.

상술한 타 버튼의 SC 패턴들이 연타의 빈도가 높았다면, 8버튼 SC는 연타의 비중을 상대적으로 줄이고 소위 "능지 패턴"이라고 불리는 사이드 트랙/트리거 롱노트/123-456 롱노트를 활용해 헷갈림을 유도하는 패턴이 적극 사용되었다. 이때문에 So Happy 8B SC와 마찬가지로 키 파트의 숙련도보다는 해당 롱노트들을 헷갈리지 않고 얼마나 잘 읽어낼 수 있느냐가 주된 난이도 요소이며, 연타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었다 뿐이지 아예 사라진 것도 아니어서 일정 수준의 연타 지력 또한 요구하는 패턴이다.

6. 여담

파일:attachment/OrBiTal/22.jpg
[4]
Paul Bazooka 본인이 밝힌 바에 따르면 상당히 심오한 의미를 담고 있다.

2017년 9월 5일 있었던 DJMAX TECHNIKA Q 업데이트 설명 방송에 의하면, BGA 속 남성의 모델은 TECHNIKA Q 디렉팅을 맡고 있는 타이거 브라더스의 노상원. 예술혼에 불타있는 ECO에게서 도움 요청을 받고 DJMAX Portable 3 엔딩 때처럼 영상을 찍으면 되는건가 싶었는데 얼굴 사진 몇 장 찍어가더니 중간과정은 전혀 보여주지 않은 채 BGA가 나왔다고 한다.

Tofa Kim의 댄스. 미친 음악에 맞는 영상이다.

위 영상의 10주년 기념 리메이크 버전이 올라왔다.

GROOVE COASTER 3에도 동명의 곡이 존재한다.(namae. 작곡) 다만 이 곡은 orbital으로 소문자로만 쓴다.


[1] 초반 도입부와 후반부와 중간 중간 나오는 목소리 녹음.[2] 이 곡의 가사이다.[3] 타이거 형제 중 한 명.[4] 아래쪽부터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