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2 14:26:09

Please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펫 샵 보이즈가 1986년 발매한 앨범}}}에 대한 내용은 [[Please(앨범)]]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Please(앨범)#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Please(앨범)#|]]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펫 샵 보이즈가 1986년 발매한 앨범: }}}[[Please(앨범)]]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Please(앨범)#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Please(앨범)#|]]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쿠도 시즈카 로고 화이트.png 의 앨범
ぼやぼやできない
(1991)
,13번째 싱글,
Please
(1991)
メタモルフォーゼ
(1991)

Please
파일:S13.Please_f.jpg
Please 커버
<colcolor=#1f2023><colbgcolor=#FBEFEF> 수록 앨범 intimate
발매 1991년 5월 15일
레이블 파일:포니캐년 구 로고.png
최고 순위 1위
연간 순위 83위
작사, 작곡 미우라 요시코, 고토 츠구토시
판매량 191,290장

1. 개요2. 수상 경력3. 여담4. 가사5. 관련 영상

1. 개요

1991년 5월 15일에 발매된 쿠도 시즈카의 13번째 싱글이다. B면은 <真夏の蜃気楼> (한여름의 신기루).

2. 수상 경력

  • 오리콘 1991년도 연간 83위

3. 여담

4. 가사

공식 뮤직 비디오
[ Please 가사 - 펼치기/접기 ]


[ruby(月, ruby=つき)]が[ruby(欠, ruby=か)]けてくように
[1]끼가 카께떼쿠 요오니
달이 조금씩 이지러지 듯이

[ruby(私, ruby=わたし)]の[ruby(愛, ruby=あい)][ruby(消, ruby=き)]えて[ruby(消, ruby=き)]えてゆく…
와따시/노 아이 키에테 끼에떼 유쿠…
내 사랑도 사라지고 사라져 가네…


[ruby(何, ruby=なに)]を[ruby(言, ruby=い)]ってるのよ [ruby(同, ruby=お)]なじセリフ
나니오 잇떼루노요 오나지 세/리후
뭐라고 하는 거야, 늘 같은 대사

さよならしたいなんて [ruby(一度, ruby=いちど)]でいいわ
사요나라 시따이/난떼 이찌/도데 이이와
이별하고 싶다니, 한 번이면 충분해

どうせ[ruby(今, ruby=いま)]だけ [ruby(今, ruby=いま)]だけなの
도오세 이마다케 이마다케 나노
어차피 지금뿐, 지금뿐인 거야

[ruby(今, ruby=いま)]だけよければいいの
이마다케 요께레바 이이노
지금만 좋으면 그만이야

[ruby(千年, ruby=せんねん)][ruby(後, ruby=あと)] あなたも[ruby(愛, ruby=あい)]も[ruby(失, ruby=な)]い この[ruby(世界, ruby=せかい)]よ…
세음네음 아또 아나따모 아이모 나이 꼬노 세까이요…
천년 후에는 당신도, 사랑도 없는, 이 세상이여…


[ruby(明日, ruby=あした)] [ruby(誰, ruby=だれ)]かに[ruby(逢, ruby=あ)]えるわ
아시따 다레카/니 아에루와
내일 누군가를 만날 수 있을 거야

[ruby(甘, ruby=あま)]いチャンスを ありがとう
아마이 짠스오 아리가또오
달콤한 기회를, 고마워

ドアを[ruby(閉, ruby=し)]めた[ruby(星空, ruby=ほしぞら)]
도아오 시메따 호시조라
문을 닫은 별이 가득한[2] 하늘

[ruby(私, ruby=わたし)]の[ruby(未来, ruby=みらい)]を[ruby(呼, ruby=よ)]ぶ
와따시/노 미라이오 요부
나의 미래를 부르네

tu ru tu ru tu ru tu ya tu ya tu tu ya
투루 투루 투루 투야 투야 투투야
투루 투루 투루 투야 투야 투투야

[ruby(次, ruby=つぎ)]の[ruby(扉, ruby=とびら)] oh please
츠기노 또비라 오 푸리이즈
다음 문을 오! 제발


[ruby(開, ruby=あ)]けましょう
아케/마쇼오
열어봐요


やさしかった[ruby(頃, ruby=ころ)]を ビデオみたいに
야사시/깟따 코로오 비데오 미타이니
다정했던 그 시절을 비디오처럼

この[ruby(胸, ruby=むね)]のスクリーン [ruby(巻, ruby=ま)]き[ruby(戻, ruby=もど)]すから…
꼬노 무네노 스쿠/리인 마키/모도스카라…
이 가슴 속 스크린에 되감아 볼 테니…


どうせ[ruby(今, ruby=いま)]だけ [ruby(今, ruby=いま)]だけなの
도오세 이마다케 이마다케 나노
어차피 지금뿐, 지금뿐인 거야

[ruby(今, ruby=いま)]だけよければいいの
이마다케 요께레바 이이노
지금만 좋으면 그만이야

ため[ruby(息, ruby=いき)]つくプリーツ
타메이키 쯔쿠 푸리이츠
한숨 짓는 치마 주름[3]

なびかせて[ruby(踊, ruby=おど)]りましょう
나비카세테 오도리마쇼오
흩날리며 춤을 춰보자

[ruby(2人, ruby=ふたり)][ruby(竜巻, ruby=たつまき)]になって
후타리 타쯔마키니 나앗떼
둘이서 회오리가 되어

[ruby(髪, ruby=かみ)]を[ruby(絡, ruby=から)]ませた あの[ruby(夜, ruby=よる)]
까미오 까라마세타 아노 요루
머리칼을 얽어매던 그날 밤

[ruby(遠, ruby=とお)]い [ruby(砂漠, ruby=さばく)]を[ruby(見, ruby=み)]たわ
또오이 사바쿠/오 미타와
멀리 사막을 봤어

[ruby(見, ruby=み)]えるはずのない[ruby(夢, ruby=ゆめ)]
미에루 하즈노 나이 유메
보일리 없는 꿈을


[ruby(明日, ruby=あした)] [ruby(誰, ruby=だれ)]かに[ruby(逢, ruby=あ)]えるわ
아시따 다레카/니 아에루와
내일 누군가를 만날 수 있을 거야

[ruby(甘, ruby=あま)]いチャンスを ありがとう
아마이 짠스오 아리가또오
달콤한 기회를, 고마워

ドアを[ruby(閉, ruby=し)]めた[ruby(星空, ruby=ほしぞら)]
도아오 시메따 호시조라
문을 닫은 별이 가득한 하늘

[ruby(私, ruby=わたし)]の[ruby(未来, ruby=みらい)]を[ruby(呼, ruby=よ)]ぶ
와따시/노 미라이오 요부
나의 미래를 부르네

tu ru tu ru tu ru tu ya tu ya tu tu ya

[ruby(次, ruby=つぎ)]の[ruby(風, ruby=かぜ)]を oh please
츠기노 까제오 오 푸리이즈
다음 바람을 오! 제발


[ruby(待, ruby=ま)]ちましょう
마찌/마쇼오
기다려봐요

Azure OpenAI (GPT4-Turbo) 기반 재번역[4]
[1] 'つ'의 한국어 발음은 일반적으로 '츠'로 표시하나 실제 '쯔'와 '츠'의 중간 정도이며, 곡에서 들리는 음 중 최대한 가까운 것을 선택, (か(카/까), ぱ(파/빠)행도 동일)[2] 총총한, 빛나는[3] 플리츠[4] 일반 번역기로는 상상할 수 없는 수준의 뛰어난 번역 품질을 제공하지만, LLM의 특성상 동일한 내용의 번역 요청에 대해서도 매 번 결과가 다르므로 여러 번 반복 수행하여 취합/정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아무리 도구가 좋아도 사용자의 해석/작문 능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이야기이며, LLM에게 요청하는 프롬프트도 잘 활용해야 한다.(시처럼 번역해줘, 직역해줘, 다듬어줘 등등)
[ 한여름의 신기루 가사 - 펼치기/접기 ]


[ruby(胸, ruby=むね)]の[ruby(鼓動, ruby=こどう)]が [ruby(波, ruby=なみ)]おこすから
무네/노 코/도오가 나미 오꼬[1]/스까라
가슴의 고동이 파도를 일으키니까

[ruby(貴方, ruby=あなた)]のそばには [ruby(二度, ruby=にど)]ともう[ruby(戻, ruby=もど)]らない
아나/따노 소바니와 니도토 모오 모도라 나이
당신 곁에는 다시는 돌아가지 않아

[ruby(真夏, ruby=まなつ)]の[ruby(恋, ruby=こい)] [ruby(蜃気楼, ruby=しんきろう)]
마나/쯔노 코이 시음키로오
한여름의 사랑, 신기루


カンビール[ruby(飲, ruby=の)]みほし
까음 비/이루 노미호시
캔 맥주를 다 마시고

[ruby(彼女, ruby=かのじょ)] まぶい なんて ほら また[ruby(言, ruby=い)]ってる
카노죠 마부이 나음떼 호라 마따 이잇떼루
그녀가 눈부시다니, 거봐, 또 말하고 있어

ちょっと[ruby(聞, ruby=き)]く うわさじゃ
쬬옷또 끼꾸 우/와사쟈
조금 들은 소문에 의하면

[ruby(渚, ruby=なぎさ)]の[ruby(風, ruby=かぜ)] [ruby(誰, ruby=だれ)]の[ruby(事, ruby=こと)] [ruby(風, ruby=かぜ)]も[ruby(泣, ruby=な)]くわ
나기사노 까제 다레노 꼬또 까제모 나꾸와
해변의 바람, 누구 일인지 바람도 울고 있어

you, [ruby(私, ruby=わたし)]だけ you, [ruby(見, ruby=み)]ていて
you, 와따시다케 you, 미테이떼
you, 나만을 you, 바라봐줘

そんな[ruby(事, ruby=こと)] [ruby(無理, ruby=むり)]だよね
소음나 꼬또 무리다요네
그런 건 무리겠지[2]

[ruby(誰, ruby=だれ)]も [ruby(彼, ruby=かれ)]も みんな [ruby(浮, ruby=う)]かれて
다레모 까레모 미음나 우까레떼
누구나 그도 모두가 들떠 있어

[ruby(小麦, ruby=こむぎ)][ruby(色, ruby=いろ)][ruby(素肌, ruby=すはだ)] さめた[ruby(頃, ruby=ころ)]は
코무/기이로/스하다 사메/따 꼬/로-와
밀색 피부가 식을 때는

よそ[ruby(見, ruby=み)]しないで [ruby(背中, ruby=せなか)] [ruby(抱, ruby=だ)]きしめてよ
요소/미시/나-이데 세나까 다끼시메떼요
한 눈 팔지[3] 말고 등을 꼭 안아줘

[ruby(浮気, ruby=うわき)]な [ruby(風, ruby=かぜ)]に[ruby(吹, ruby=ふ)]かれて
우와/끼나 까제니 후까레떼
변덕스러운[4] 바람에 날려


[ruby(去年, ruby=きょねん)]の[ruby(今日, ruby=きょう)] バースデイ まちがえてた
쿄네음/노 쿄 바아스데 마치가/에테따
작년 오늘 생일 착각했었어

[ruby(誰, ruby=だれ)]のため [ruby(花, ruby=はな)] [ruby(買, ruby=か)]ったの?
다레노 따메 하나 까앗따노?
누구를 위해 꽃을 샀던 거지?

よく[ruby(聞, ruby=き)]く インフォメーション
요꾸 키/꾸- 인/포메이숀
자주 듣는 인포메이션

[ruby(約束, ruby=やくそく)]の[ruby(日, ruby=ひ)] ほっとけない [ruby(彼, ruby=かれ)]の[ruby(週末, ruby=しゅうまつ)]
야꾸소쿠노 히 호옷또케나 까레노 슈우마쯔
약속한 날은 내버려 둘 수 없는 그의 주말

hey [ruby(好, ruby=す)]きだよと why [ruby(一言, ruby=ひとこと)]
hey 스키다요토 why 히또코또
hey "좋아해"라는 why 한 마디

これだもの まいるよね
꼬레다 모노 마이루요네
이렇게 되니 당황스럽네[5]

こんな[ruby(私, ruby=わたし)]までが [ruby(浮, ruby=う)]かれて
꼬음나 와따시 마데가 우까레떼
이런 나조차 들뜨게 만들어서

[ruby(照, ruby=て)]り[ruby(返, ruby=かえ)]す [ruby(日, ruby=ひ)]ざし まどわせないで
떼리/까에스 히자시 마도/와세/나이데
반사되는 햇살에 현혹되지 말아줘

[ruby(髪, ruby=かみ)]の[ruby(重, ruby=おも)]たさが いつか[ruby(失, ruby=な)]くなりそう
카미/노 오/모따사가 이쯔까 나꾸나리소오
머리카락의 무게가 언젠가 사라질 것 같아

[ruby(弱気, ruby=よわき)]な [ruby(風, ruby=かぜ)]に[ruby(吹, ruby=ふ)]かれて
요와/키나 카제니 후카레떼
소심한 바람에 날려


[ruby(胸, ruby=むね)]の[ruby(鼓動, ruby=こどう)]が [ruby(波, ruby=なみ)] おこすから
무네/노 꼬/도오가 나미 오꼬/스카라
가슴의 고동이 파도를 일으키니까

[ruby(貴方, ruby=あなた)]の[ruby(思, ruby=おも)]い[ruby(出, ruby=で)] [ruby(二度, ruby=にど)]と もう[ruby(語, ruby=かた)]らない
아나/따노 오모이데 니도또 모오 카따라 나이
당신의 추억 다시는 이야기하지 않아

[ruby(渚, ruby=なぎさ)]の[ruby(風, ruby=かぜ)] [ruby(蜃気楼, ruby=しんきろう)]
나기/사노 까제 시음끼로오
해변의 바람, 신기루

Azure OpenAI (GPT4-Turbo) 기반 번역[6]
[1] 'こ'의 한국어 발음은 일반적으로 '코'로 표시하나 실제 '꼬'와 '코'의 중간 정도이며, 곡에서 들리는 음 중 최대한 가까운 것을 선택, (た(타/따), ぱ(파/빠)행도 동일)[2] 불가능하겠지[3] 딴 곳 보지[4] 바람기 많은[5] ‘이성에게 마음을 빼앗기다의 의미’도 있음[6] 일반 번역기로는 상상할 수 없는 수준의 뛰어난 번역 품질을 제공하지만, LLM의 특성상 동일한 내용의 번역 요청에 대해서도 매 번 결과가 다르므로 여러 번 반복 수행하여 취합/정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아무리 도구가 좋아도 사용자의 해석/작문 능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이야기이며, LLM에게 요청하는 프롬프트도 잘 활용해야 한다.(시처럼 번역해줘, 직역해줘, 다듬어줘 등등)

5. 관련 영상

TV 출연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