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00:52:44

REALITY APP

<colbgcolor=#242533> REALITY APP(리얼리티)
<colcolor=#ffffff> 개발 REALTY,Inc
플랫폼 버추얼
ESD Google Play
장르 버추얼
출시 2020년 12월 7일
링크 Google Play , App Store
최초운영국가 일본
운영국 모든국가 (공산국가제외)
1. 개요2. 서문3. 리얼리티 기본 시스템
3.1. 재화3.2. 아바타 아이템3.3. ROOM(룸)
4. 방송 시스템
4.1. 여러 시스템4.2. 랭크 시스템4.3. 선물 시스템(후원)4.4. 명령어
5. 앱 평가

[clearfix]

1. 개요

2020년 12월 7일에 출시[1]버츄얼 아바타 방송 앱.

2. 서문

글을 서술하기에 앞서 버튜버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실존 인물로서 방송하는 것이 아닌 가상의 캐릭터를 사이에 두고 방송하는 방송인을 말한다. [2]
그러나 버튜버의 특징상 캐릭터를 내세워 방송을 하기에, 버츄얼 아바타가 방송인의 매력에 한 축을 담당하기도 하고 버츄얼 캐릭터를 보고 입덕했다, 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버츄얼 아바타는 생각보다 방송인에게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죽하면 버츄얼 아바타 제작에 적지 않은 돈을 쓰는 사람도 있을 정도. 하지만, 문제는 비용.
버츄얼 아바타의 경우 최소 150 만원부터 시작하여 기본 300~400만원을 가뿐히 넘어간다. 그만큼 버튜버를 시작하는 것에 대한 진입 장벽이 꽤 있는 편.[3] 게다가 기본적인 방송 장비까지 필요하다는 것을 생각하면 버튜버를 처음 시작하려는 방송인에게는 부담이 갈 수밖에 없다.
그러나 리얼리티 앱은 이런 비용 면에서의 진입 장벽을 어느 정도 부쉈다고 볼 수 있는데, 기본 150이 넘어가는 버츄얼 아바타를 무료로 제공하며, [4] 다른 버츄얼 제작 앱과는 달리 버츄얼 제작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갖고 있지 않아도 버츄얼 아바타를 만들 수 있다. 버츄얼을 만들기 위한 엄청난 작업량과 작동 코드를 하나하나 입력하지 않아도 충분히 버츄얼 아바타를 만들 수 있다는 의미. 정말 말 그대로 버츄얼에 대한 진입 장벽이 거의 없다시피한 버츄얼 어플이라 볼 수 있다.
게다가 단순 버츄얼 아바타만 제공하는 것이 아닌, 방송 배경과 간단한 손동작(손을 흔들거나 화이팅 포즈펀치를 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손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3. 리얼리티 기본 시스템

리얼리티 기본 시스템. 자세한 내용은 하단 참조.

3.1. 재화

  1. 코인 시스템
    코인샵에서 현질이나 광고, 이벤트, 또는 일정 미션을 깨면 얻을 수 있는 리얼리티 내의 재화. 코인으로 갸챠를 돌려 아바타 아이템을 얻거나 스트리머에게 후원할 수 있다. [5]
2. 포인트 시스템 [6]코인이 다소 무과금러에게는 얻기 힘든 재화이다 보니, 리얼리티에서는 포인트라는 시스템을 운영했었다. 포인트를 부르는 다른 말로는 시청 포인트라는 말이 있는데, 이 말 그대로 방송을 시청하다 보면 얻을 수 있는 재화. 최대 3,000포인트까지 얻을 수 있었으며,[7] 한 방송을 보는 것 당 100포인트씩 얻을 수 있는 식. 그리고 다른 후원 아이템과는 다르게 포인트를 이용해 쏠 수 있는 포인트 전용 후원 아이템이 있었다. 무과금러에게는 정말 축복과도 같은 시스템 [8]
3. 아바타 포인트 시스템가챠를 돌렸을 때 중복이 나올 경우, 중복이 나온 아이템 한 개당 500 아바타 포인트를 얻을 수 있는 식이다. 또한 가챠에 따라 10회 뽑기를 하면 500 아바타 포인트를 주기도 한다. 지금은 2,500 아바타 포인트당 다른 사람에게 가챠 티켓(1장)을 선물해 줄 수 있다. 가챠 티켓을 선물하는 것 외에는 딱히 쓸 용도가 없다
4. 라이브 포인트 시스템방송 내에서 후원받은 코인[9]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재화. 방송 내에서 시청자에게 코인을 많이 받을수록 스트리머가 받을 수 있는 라이브 포인트가 많아지며, 이렇게 얻은 라이브 포인트는 코인과 1 : 1로 교환하거나 현금으로 교환할 수 있다. [10]

3.2. 아바타 아이템

리얼리티는 버츄얼 아바타를 이용하여 방송하는 만큼, 버츄얼으로 방송을 시작하기 전 기본으로 제공해 주는 아바타 아이템이나 이벤트용 행사 아이템도 있지만, 그런 사소한 예를 제외하고는 거의 코인 이라는 재화를 통해 아이템을 얻어야 한다.
  1. 가챠 : 대부분의 리얼리티 아바타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시스템. 코인을 통해 가챠를 돌릴 수 있으며, 가챠의 할인율에 따라 가챠를 돌리는 데 사용되는 코인의 개수가 다르다. 할인을 받지 않으면 가챠에 사용되는 코인의 개수는 500코인으로 늘어나며, 할인을 받을 경우 사용되는 코인의 개수가 많이 줄어든다. 할인을 할 경우 50% ~ 90% 정도로 할인하며, 가챠를 뽑을수록 이 할인률이 점점 내려가는 식이다. [11] 그러나 가챠에서의 아이템은 단 한 가지의 색상만 나오며 그 외의 여러 가지 색상을 뽑기 위해서는 가챠를 더 돌려야 하거나, 가챠에 천장이 없어 원하는 아이템을 얻기 위해서는 계속 가챠를 돌려야 하는 아쉬움이 있다.
2. 아바탸샵 : 코인을 통해 아바타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 가챠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모션이나 아이템 등 여러 아바타 아이템을 코인으로 구매할 수 있다.

3.3. ROOM(룸)

비교적 최신에 나온 꾸미기 시스템이다. 기존 시스템은 단순히 아바타와 배경 꾸미기밖에 할 수 없었다면, 이 ROOM(룸) 시스템은 말 그대로 방 안을 꾸밀 수 있다. 기본으로 제공하는 꾸미기 아이템이나 룸 전용 가챠에서 뽑은 꾸미기 아이템으로 룸 내부를 꾸밀 수 있으며, 룸 안에서는 조금 더 자유로운 버츄얼 아바타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12]

4. 방송 시스템

아무래도 리얼리티 앱의 본질은 버츄얼 방송 어플인 만큼, 보다 버츄얼 스트리머가 방송을 시작함에 있어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시스템이 여러개 있다.

4.1. 여러 시스템

  1. 콜라보 시스템
    다른 방송인과의 콜라보를 할 수 있다. 랜덤으로 콜라보를 받을 수 있으며, 특정한 사람만 콜라보를 받을 수 있도록 콜라보에 비번을 걸어놓을 수도 있다(4자리) . 또는 콜라보 기능을 on / off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사람과 콜라보를 할 때는 반드시 이어폰을 착용해야 하며, 이어폰을 착용하지 않으면 오디오가 2번 연속으로 메아리치는 등의 문제가 있다.

2. 배경음악 지원리얼리티가 치지직이나 아프리카만큼 국내 이용자 수가 많지 않다 보니, 자주 오디오가 비기 십상이다. 방송을 키는 스트리머 입장에서, 그 누구도 정적 속을 배경으로 방송을 키고 싶지는 않을 것. 그러다 보니 배경음악은 생각보다 중요한 요소인데, 문제는 저작권. [14] 그리고 어떤 배경음악을 틀어야 할 지 모르겠다, 라는 고민 때문에 아예 배경음악을 틀지 않고 방송하기도 한다.
그러나 리얼리티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차선책을 내놓았는데, 그건 바로 리얼리티 방송을 키면서 쓸 수 있는 BGM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부분 가사 없이 멜로디만 있는 음악이나, 그 수가 꽤 된다. 그 말인 즉슨 방송 분위기에 맞는 배경음악을 골라 틀 수 있다는 뜻. [15]


3. 게임방송 내에서 여러 가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 게임은 리얼리티에서 제공하는 게임들로만 할 수 있는데, 예시로는 2048, 쥬얼(가로세로 동일한 블럭을 3개 이상 맞추어 파괴하는 게임.), 대부호, 피라미드(테트리스와 비슷하다), Let's draw(그림판) 등이 있다. 몇몇 게임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콜라보를 통해 다른 사람과 같이 플레이할 수 있으며, 승자와 패자를 나눌 수도 있다.[게임실행방법]

4. 유튜브 지원 기능리얼리티에서는 유튜브를 볼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를 통해 리얼리티 내에 있지 않은 게임을 유튜브 스트리밍에서 실시간으로 플레이하며 스트리머가 시청자에게 게임 화면을 공유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시청자에게 보여주고 싶은 유튜브 영상을 같이 볼 수 있으며, 유튜브로 배경음악을 틀 수도 있다. [17] [18]

5. 스티커 메모 기능
방송을 켠 후 오른쪽 맨 아래 점 세 개를 클릭하여, '스티커'라는 곳에 특정 단어를 메모하면 메모한 특정 단어를 방송 화면에 계속 노출시킬 수 있다. 쓰는 것은 스트리머만 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ROOM 업데이트로 '화이트 보드'라는 아이템이 추가되면서 룸 전용 스티커 메모 기능이 나오기도 했다.

4.2. 랭크 시스템

방송자의 성장 지표를 나타내주는 시스템.
랭크는 A ~ E [19]까지 있으며, 매일의 방송 결과에 따라 부여되는 랭크 포인트를 기준으로 랭크를 올릴 수 있고, 혹은 유지하거나 내려갈 수 있다.
랭크 포인트는 방송을 킨 해당 날에 획득한 응원 스코어[21] 를 통해, 같은 랭크의 다른 스트리머와 비교하여 더 많은 응원 스코어를 얻었을수록 더 많은 랭크 포인트를 얻는 식이다. 방송을 키기만 해도 1 랭크 포인트를 얻을 수 있으며, 하루에 최대 6 랭크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7일 이내에 획득한 랭크 포인트가 18 이상이라면, 현재의 랭크에서 한 단계 위로 랭크를 올릴 수 있다. 그러나 12 ~ 17인 경우 랭크가 유지되며,획득한 랭크 포인트가 0~11일 경우 랭크가 한 단계 아래로 내려간다.[22]
가장 높은 랭크인 A 랭크가 되면, 핸드 트래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4.3. 선물 시스템(후원)

시청자가 스트리머에게 후원해 줄 수 있는 시스템. 지금은 코인으로밖에 후원할 수 없다.

[후원방법]

시청자가 코인을 후원하게 되면 후원할 때 클릭한 선물 아이템에 따라 그 아이템이 방송 화면에 뜨게 되는데, 선물 아이템으로는 떨어지는 아이템, 음식, 폭죽, 화관 등등 생각보다 다양한 선물 아이템이 있다. 기념일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 나타나는 선물 아이템도 있으며, 최대 10개씩 한번에 보낼 수 있다. 선물을 보내게 되면 채팅창에 붉은색 댓글로 표시되어 나타난다.

4.4. 명령어

방송에서, 또는 다른 방송에서 콜라보를 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명령어. 채팅창에 입력하여 쓸 수 있다. 설명 뒤에 1이 써져있는 명령어는 스트리머만이 쓸 수 있다. (2가 써져있는 명령어는 스트리머와 콜라보 중인 스트리머도 사용할 수 있다.)
/uptime : 지금까지 몇 시간 몇 분 방송했는지 알려준다. ( ex. 58m 27s ) 1
/title : 방송 제목을 확인하거나, 방송 제목을 변경할 수 있다. /title 만 치면 방송 제목을 확인할 수 있으며, /title 뒤에 바꾸고 싶은 방송 제목을 적으면 해당 방송 제목으로 바뀐다. 1
/dice : 1에서 10까지의 숫자 중 랜덤한 숫자를 골라준다. 말 그대로 dice(주사위) 기능. 그 외에도 /dice 뒤에 최대 1,000까지의 숫자를 입력하여 랜덤한 값을 얻을 수 있다. 그 이상의 숫자를 입력하면, 랜덤한 값을 얻을 수 없다.
/look (숫자) & /slot (숫자) : 자신이 불러오고 싶은 아바타 슬롯의 숫자를 (숫자) 칸에 입력하면, 바로 해당 슬롯에 있는 아바타로 변경할 수 있다. 2
/omikuji : 오늘의 운세를 별점 형태로 알아볼 수 있다. 운세의 종류는 연애운, 공부운, 금전운 이 세 가지가 있다. 별점 형태로 나타나며, 별점 1개~5개 사이로 운에 대한 점수를 매겨준다. [24] 1
/tarot : /omikuji 와 비슷하긴 하나 명령어 이름 그대로 타로 느낌의 명령어로, 약간의 짧은 타로를 볼 수 있게 해주는 명령어이다. 1
/janken : 가위바위보를 할 수 있는 명령어. 채팅에 치면 ROCK, SCISSORS, PAPER 이 세 가지 중 하나가 랜덤으로 나온다. [25]
/translate (국가) : 번역을 할 수 있는 명령어. 만약 한국어로 채팅을 치면 (국가)의 언어로 번역해주며 해당 채팅 밑에 번역본이 나온다. 명령어 뒤에 en(영어) , ja(일본어) 를 치는 등으로 여러 국가의 언어로 번역할 수 있다. [26] 기능을 끄고 싶을 땐 /translate off를 치면 된다. 1
/uptime game : 리얼리티 게임 내에서 얼마나 시간을 보냈는지 알 수 있는 명령어이다. 이와 비슷하게 /uptime world는 (~world 가 붙은)리얼리티 게임 내에서 얼마나 시간을 보냈는지 알 수 있다. 1
/world camera fix : 월드맵에서 카메라를 고정할 수 있다. 카메라 고정 해제는 /world camera reset 를 입력하면 해제할 수 있다. 1
/cointoss : 직역하면 동전 던지기. 동물의 랜덤한 부위가 나온다. [27]

5. 앱 평가

버츄얼 아바타 자체는 퀄리티가 좋은 편이며, 무료로 제공해주는 아이템으로만 해도 충분히 나쁘지 않은 퀄리티의 버츄얼 아바타를 만들어낼 수 있다. 또한 이 앱이 버츄얼 아바타로 방송하는 앱인 만큼, 버튜버 입문용으로도 나쁘지 않다. 다른 버츄얼 아바타 어플 치고는 조작이 쉬운 편이며, 심지어 무료라는 점도 이 앱의 장점에 한몫한다.
그리고 리얼리티 어플이 꽤나 글로벌한 어플이다 보니 자주 일본이나 미국 쪽 시청자와 만나게 될 때가 있다. 그래서인지 외국어를 배울 때 해당 국가로 서버를 옮겨 방송하기도 하고, 외국 친구를 사귈 수도 있어 외국어 공부할 때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어플. [28]
그러나 과금 유도가 생각보다 꽤 있는 편이며, 발열 문제,[29] [관련일화] 가끔씩 튕기거나 갑작스럽게 방송이 종료되는 등의 오류가 있다. 방송을 보던 중 갑자기 화면이 검은색이 되거나 하얀색이 되기도 하며, 화면이 멈추기도 한다.[31] 앱 내 오류나 렉이 은근히 있는 편이며, 최근에는 영문도 모른 채 계정이 사라지는 문제도 있는 듯.
그리고, 리얼리티 내에 있는 게임들로 내기를 할 수 있다 보니 단순히 다른 사람들과 게임을 즐기기 위해 방송을 키는 사람들도 있다. 방송 어플이라고는 하지만 한국 서버에서는 친목 쪽에 더 가까운 어플.

[1] 한섭 기준[2] 우리나라에서 다소 인지도가 있는 버튜버의 예시로는 홀로라이브 소속 가우르 구라, 호쇼 마린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이세계아이돌, RE:Revolution등이 있다.[3] 그러나 비용이 비싼 것도 이해가 되는게, 버츄얼 작업 모습을 보면 정말 작업 난이도가 상상을 초월하며, 배우는 것만 해도 기본이 10년이다, 라는 말이 있을 만큼 배울 양도 많다.[4] 버츄얼 아바타 자체를 무료로 만들어주는 것은 아니며, 유저 스스로가 앱에서 제공해 주는 아이템에 따라 아바타를 꾸며 방송해야 하는 시스템이다.[5] 스트리밍 15분 보기 등과 같은 미션, 그리고 광고를 통해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광고를 보면 10코인을 벌 수 있는 광고 탭이 하루에 최대 1회로 정해져 있는 등 무과금러 입장에서는 꽤 얻기 어려운 아이템이다.[6] 지금은 아쉽게도 사라진 시스템이다[7] 이벤트 참여를 통해 포인트를 더 많이 얻을 수 있었으나, 기본적으로는 3,000포인트가 최대였다.[8] ...이었으나, 앞서 설명했듯 지금은 사라진 시스템이다. 이와 관련하여 유저들의 불만이 많았는데, 오죽하면 포인트 시스템에 장례를 치뤄줄 정도. 포인트가 사라짐에 따라 몇몇의 포인트 전용 후원 아이템이 사라지거나, 코인으로 후원할 수 있도록 바뀌었다. 포인트가 사라짐에 따라 사라진 포인트 전용 후원 아이템 중에서는 Eye Mask나, Full Power Ring 등 여러 유저가 애착을 갖고 있던 시스템이 있었다. 여러모로 사라져서 아쉬운 시스템. 다시 생겼으면 좋겠다[9] 미션이나 광고로 얻은 코인을 통한 후원으로는 라이브 포인트를 얻을 수 없으며, 오직 코인샵에서 유료로 구매한 코인만이 라이브 포인트에 집계되어 계산된다. 그러나 정확히 어떤 식으로 라이브 포인트가 계산되는 지는 불명.[10] 라이브 포인트 내역 창을 클릭 후, 우측 상단의 ? 표시를 누르면 라이브 포인트를 현금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여러 내용이 적힌 안내문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현금으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Payoneer에 링크를 연결해야 하며, 수수료가 꽤 있는 등 여러모로 복잡하다.[11] 가챠확률 : 어느 뽑기에서 뽑느냐에 따라 확률이 조금씩 달라질 때도 있지만, 보통은 2성 약 70%, 3성 약 27%, 4성이 약 3% 정도 된다.[12] 그렇다고 해서 손 인식이나 사람 몸 인식은 되지 않는다. 방 안을 이리저리 움직이거나, 약간의 춤 모션을 사용할 수 있는 정도.[방송키는방법] 우선, 앱을 접속하면 자신의 프로필이 보일 텐데, 화면 맨 아래를 보면 핑크색과 푸른색이 섞인 동그라미가 있을 것이다. 그 동그라미를 클릭한 후 왼쪽의 LIVE라고 적힌 붉은색 버튼을 클릭하자. 그다음 (콜라보를 받을 것인지 / 어디에서 방송을 켤 것인지 / 연령 제한을 걸 것인지...) 등등을 선택한 다음 방송 제목을 적어본다. 방송 제목을 적은 후 방송 시작 버튼을 누르면, 방송을 켤 수 있다.[14] 배경음악을 트는 방송인 중, 저작권 없는 무료 음악이 아닌, 누가 봐도 저작권이 있는 음악을 틀고 방송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배경음악으로 멜론차트를 튼다거나, 최근 유행하고 있는 아이돌의 음악을 트는 등. 그만큼 리얼리티에서는 음악에 관련된 저작권 의식이 터무니없이 낮다. 충격적인 사실은 5,000팔이 넘는, 흔히 리얼리티 내에서 '머기업'인 사람들도 저작권이 있는 음악을 틀고 방송한다는 것.[15] BGM을 제공해주긴 하나 제한적인 것은 사실이다. 이에 리얼리티는 차선책을 내놓았는데, 프로필 우측 상단에 점 세 개를 클릭하여, 곡의 코드를 넣어 악곡 신청을 하면 원하는 BGM을 추가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신청하는 방법이 복잡하고, 한국 서버 기준이 아닌 앱을 만든 일본 서버 기준으로 되어있어 잘 쓰이지 않는다.[게임실행방법] 이 또한 생각보다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을 모르는 분들이 많아 이 곳에 서술해본다... 우선, 방송을 킨 후 오른쪽 맨 아래에 있는 점 세 개를 누른다. 그럼 지구본 모양의 아이콘 아래 world라고 적혀있는 게 보일 텐데, 그걸 클릭한다. 그러면 수많은 게임들이 보일 텐데, 그 중에서 하고 싶은 게임을 클릭하여 플레이할 수 있다.[17] 저작권 문제로 틀 수 없는 영상도 존재한다.[18] 간혹 유튜브 기능이 실행이 되지 않거나 로딩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는 듯.[19] A - B - C3, C2, C1 - D3, D2, D1 - E 순으로, A 랭크로 갈 수록 점점 랭크가 높아지는 식이다.[랭크활성화방법] 자신의 프로필 화면을 클릭한 후, 우측 상단에 있는 점 세 개 표시를 클릭하여, 랭크 활성화 버튼을 클릭하면 랭크를 활성화할 수 있다. 반대로, 랭크를 비활성화 하려면 자신의 프로필에 있는 랭크를 클릭하여 랭크 비활성화 버튼을 눌러 주면 된다.[21] 방송에서 시청자로부터 받은 선물이나 댓글의 양, 선물이나 댓글을 보낸 시청자의 수에 따라 얻을 수 있다. 정확히 어떻게 계산되는지는 불명.[22] 응원 스코어와 랭크 포인트는 0시부터 23시 59분까지 더해지는 식.[후원방법] 방송을 보게 되면 오른쪽 맨 아래, 붉은색 선물 상자가 보일 거다. 그 선물 상자를 클릭 후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코인 수에 따라 선물을 보내면 된다.[24] 그러나 한국어 패치가 안되어 일본어로만 나오는 아쉬움이 있다.[25] 그러나 /omikuji와 마찬가지로 아직 한국어 패치가 안되어있다.[26] 그러나 한국어로 번역은 안해준다. 한국어 지원 좀 해 줘라 릴티[27] ex) tails, heads[28] 실제로, 방송을 보러 다니다 보면 한국어를 배우는 일본인이나 일본어를 배우는 한국인을 볼 수 있기도 하다.[29] 버츄얼 아바타가 고퀄인지라 발열 문제는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며 넘어갈 수 있지만, 문제는 방송을 하다 보면 폰이 정말 거의 핫팩마냥 뜨거워진다는 것 .[관련일화] 방송하던 도중 폰이 너무 뜨거워져, 폰을 냉장고에 넣거나(?) 장갑을 끼고 방송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31] 최근 이런 문제가 만우절 기념 업데이트로 인해 더욱 심해진 듯 하다. 제발 이런 오류 좀 고쳐줘라 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