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white> | RKB마이니치방송 주식회사 RKB毎日放送株式会社 RKB Mainichi Broadcasting Corporation | }}} | ||
<colbgcolor=#EA5098> 국가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설립 | 1951년 6월 29일 2015년 9월 29일[1] | ||||
링크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 <colbgcolor=#EA5098> 대표자 | <colcolor=#373a3c,#ddd>회장: 나가모리 요시타카(永守 良孝) 사장: 이노우에 료지(井上 良次) | |||
법인형태 | 주식회사 | ||||
법인번호 | 3290001071513[2] | ||||
업종명 | 정보·통신업 | ||||
자본금 | 1000만 엔 (2020년 3월) | ||||
모회사 | RKB마이니치 홀딩스 (100%) | ||||
본사 소재지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사와라구 모모치하마2초메 3-8 |
TV | ||
개국 | 1958년 3월 1일 | |
네트워크망 | 재팬 뉴스 네트워크(JNN) | |
방송지역 | 후쿠오카현 | |
채널 | ||
호출부호 | JOFR-DTV | |
채널번호 | ATV: 후쿠오카 '''|8 '''기타큐슈 '''DTV: 30 후쿠오카, 기타큐슈 |4 '''가상 ''' | |
언어 | 일본어 | |
방송 품질 | 화질 | ATV: DTV: ISDB-T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A509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HD 1080/59.94i)] |
음향 | ATV: DTV: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A509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2 AAC)] | |
라디오 | ||
개국 | 1951년 12월 1일 | |
네트워크망 | 재팬 라디오 네트워크(JRN) | |
방송지역 | 후쿠오카현 | |
채널 | ||
호출부호 | JOFR | |
주파수 | AM 1278KHz|FM 91.0MHz (후쿠오카) | |
언어 | 일본어 | |
방송 품질 | AM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A509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모노럴 사운드)] |
FM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A509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M-AM 파일럿 톤 스테레오)] |
[clearfix]
1. 개요
- MBC경남의 생활교양 프로그램인 '생방송 경남아 사랑해' 특집으로 방송된 영상 중 일부
일본 후쿠오카현의 지역 민영방송 중 하나이다. TV 방송은 TBS 테레비를 주 방송국으로 하는 JNN, 라디오 방송은 TBS 라디오를 주 방송국으로 하는 JRN에 가맹해 있다. 2016년 4월 후쿠오카 지역방송 중에서는 최초로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했다.
2. 사옥
일본 제일의 해변타워라 자랑하는 후쿠오카 타워 인근인 모모치하마에 본사가 있다.
3. 로고
| | |
1세대 로고 (1951년~1969년)[3] | 2세대 로고 (1969년~2007년 6월 30일) | 3세대 로고 (2007년 7월 1일~) |
4. 상세
'RKB마이니치 방송'이라는 이름은 1951년 개국 초기 이름인 라디오 큐슈 (Radio Kyushu Broadcasting)의 약칭인 RKB가 기타큐슈시에 있던 서부 마이니치 TV방송을 합병 후 두 방송의 약칭을 이어붙인 것이다. RKB 마이니치방송이 아니라 RKB마이니치 방송이다. '마이니치 방송'이라 할 경우 일반적으로는 MBS를 의미하는데, RKB마이니치 홀딩스의 대주주가 MBS 미디어 홀딩스다.대한민국의 경인방송과 제휴하고 있었지만 2004년 말 TV방송을 종료하면서 관계가 정리됐다.[4] 요즘에는 MBC경남과 교류하고 있다. 2015년 MBC경남에서 방송한 한-일 공동제작 순서
5. 라디오
AMも、FMも、radikoもRKB
AM도 FM도 라디코 도 RKB
중파방송 1278kHz는 부산, 경남 지역에서 종일 청취 가능하며, 야간에는 한반도 중부지방에서도 들을 수 있지만 규슈 아사히 방송만큼 강하게 들리는 편은 아니다.[5] 와이드FM은 91.0MHz(후쿠오카 기준)로 방송하지만 KNN 러브FM 창원 주파수(90.9MHz)와 인접하기 때문에 부산 해안가에서도 청취가 곤란하다.AM도 FM도 라디코 도 RKB
2021년 12월 6일부터 사가현에서 규슈 아사히 방송과 함께 Radiko로 청취가 가능해졌다.(관련 안내)
규슈 아사히 방송과 함께 AM방송을 일시 중단하는 실증 실험에 부분적으로 참여하면서, 그 일환으로 유쿠하시 중계국의 AM방송을 2024년 2월 5일부터 중단했다. 2028년까지 모든 AM방송을 중단하고 FM방송으로 전환하겠다고 공표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RKB AM 라디오의 미래가 밝지는 않게 되었다.[6]
주쿄 광역권의 CBC 라디오[7]처럼 NRN 계열은 아니지만 '레코멘!'같이 KBC 라디오에서 누락된 일부 NRN 프로그램을 틀어주고 있다.
5.1. 주파수
5.1.1. AM
중계국 | 주파수 | 출력 | |
후쿠오카 | 1278kHz | 50kW | |
기타큐슈 | 1197kHz | 1kW | |
오무타 | 1062kHz | 100W | |
5.1.2. FM
중계국 | 주파수 | 출력 | |
후쿠오카 | 91.0㎒ | 1kW | |
기타큐슈[9] | 91.5㎒ | 250W | |
유쿠하시 | 94.8㎒ | 30W | |
이토시마 | 94.6㎒ | 100W |
6. 같이 보기
[1] 'RKB마이니치 홀딩스'로 분할한 날.[2] 일본국 국세청에서 발행하는 번호이다.[3] 콘서트 광고의 표기에서는 80년대 초까지도 볼 수 있었다.[4] 그로부터 4년 뒤 탄생한 OBS는 NTV와 동양방송-SBS의 제휴 사례를 따라가지 않고 RKB마이니치 홀딩스의 모기업인 MBS가 직접 제휴하게 되었다.[5] 게다가 일부 지역에서는 중국 허베이 뉴스방송과 혼신되기도 한다.[6] 유쿠하시 중계국 송출이 종료되더라도 일단은 주파수를 기타큐슈 1197㎑로 돌려 청취할 수는 있다.[7] 이 쪽은 도카이 라디오에서 누락된 올 나이트 닛폰을 틀어주고 있다. 사실 누락이 아니라 NRN 공동 키스테이션인 분카 방송의 프로를 대신 튼다고 보는 게 맞지만 2024년 4월부터는 다시 자체제작으로 선회했다.[8] 2024년 2월 5일 송출 중단[9] 중계소는 기타큐슈시의 유명 관광지 사라쿠라야마 케이블카 산조역 옆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