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작인 [SOUR]에 이어 flavor EP 시리즈의 두번째 작품이자 차붐의 2년만의 신보이다. 한국적 느와르 감성으로 본인만의 이야기와 >메시지를 음악에 담아온 그가 이번에는 [SWEETS & BITTERS] 달콤 쌉싸름한 맛으로 돌아왔다. 전작에서의 앨범을 풀어나가는 >방식이 영화 장르로서의 ‘느와르’와 같았다면 이번 작은 ‘드라마’에 가깝다. 그가 앨범에서 다루는 주제의식과 스토리텔링, >화법은 여전히 이른바 ‘차붐의 방식’대로이지만, 이번 작과 전작의 다른 지점은 그간 곡의 흐름이 자신이 겪은 어떠한 사건과 >이를 통하여 느낀 감정을 듣는 이로 하여금 설명과 설득하는데에 집중해왔다면 이번에는 감정의 표출과 설득을 최대한 자제하고 >음악 그 자체로 풀어내고 있다. 때문에 전작에 비하여 한결 템포는 차분한 분위기이지만 전반적으로 그의 말투는 건조하고 더욱 ?>회의적이다.
이번 [SWEETS & BITTERS] 역시 차붐 앨범의 트레이드 마크라고 볼 수 있는 나레이션이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현상황의 본인의 >감정을 나타낸 인트로 ‘Very Dry Very’ 부터 시작하여 ‘신세계’, ‘단지’, ‘1억원’을 통하여는 한바탕 태풍이 지나간 이후 자신이 ?>삶에 어떻게 대처해왔느냐를 보여주고 있다면 이후 ‘불 나’와 ‘왕’은 오히려 시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표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앨범이 영화 장르로써의 ‘드라마’에 가까운 지점은 그 이후 일곱 번째 트랙에서부터 짙게 나타난다. ‘Aoi Sola’를 >기점으로 앨범의 분위기는 급격하게 변화한다. 한사건을 통하여 그동안의 길게 늘어진 고무줄처럼 긴장되어 있던 끈은 한순간 >끊어지게 되고 이는 차붐을 한도 끝도 없이 추락시킨다. ‘옳은 일’, ‘두둠칫’, 그리고 마지막 트랙인 ‘Au Revoir La-Haut’까지의 >흐름은 어디까지가 차붐의 상상이고 어디까지가 현실인지의 경계를 모호하게 한다. 다만 듣는 즐거움과 집중도는 이 >위험성만큼이나 몇 배로 증폭된다. [SWEETS & BITTERS]는 어떤 의미에서 그의 가장 개인적인 앨범이지 않을까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