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22:44:23

Stone Story RPG/스크립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Stone Story RPG|Stone Story RPG]]

파일:Stone_story_logo.jpg
'''플레이어 | 지역 | 등장인물 | 아이템'''


1. 개요2. 예제3. 스크립트 가이드
3.1. 심화
4. 키워드 모음
4.1. 자주 쓰는 키워드4.2. 보스
5. 파밍 진행 팁

1. 개요

Stonescript

정신의 돌을 획득하면 작업소에 추가되는 기능이다.
자동적으로 물약을 마시고, 자동으로 아이템을 바꿔낄 수 있는 등 매크로를 제작하는 등, 게임을 개조할 수 있다.[1]
코딩을 할 줄 모른다고 할지라도 괜찮다. 게임에서 사용하는 수준이 기초적인 편이며, 정 안되면 Stonescript 매뉴얼에서 있는 예제를 복붙해서 가져다 쓰면 된다. 이 정도만 해도 메인 스토리를 클리어하는데에는 지장이 없다.

그러나 팩토리오에서 공정을 다듬듯, 매크로를 한 땀 한 땀 개선하는 과정에 재미를 느끼고 제대로 파보고싶다면 가이드를 읽는 편이 좋다.
3.3.2 버전 스크립트 가이드(한국어)
위키 스크립트 가이드(영어)

2. 예제

?loc=rocky
equip shovel
// 바위 고원에서 삽을 장착합니다.

?loc=cave
loadout 1
?foe=bolesh
equip grap
equip hammer *7 D
// 공포의 동굴에서는 작업용 밸트(loadout) 1을 장착합니다. 적이 보스(bolesh)라면, 갈고랑쇠(Grppling Hook)와 7성 전쟁의 망치(War Hammer)를 착용합니다.

?loc=halls
equipL poison wand
equipR vigor wand
?loc.stars > 5
equip vigor staff +13
// 귀신들린 회랑(Haunted Halls)에서는 왼손에는 독(Posion), 오른손에는 용력(Vigor) 두개의 마법봉(Wand)을 지정하여 사용합니다. 그러나, 장소(지역) 난이도가 5성 이상인 경우에는 +13인 용력(Vigor)의 스태프를 사용합니다.

?hp < 10
activate potion
// 체력이 10이하로 떨어지면 물약을 사용합니다.

주의사항: 띄어쓰기
?loc = cave
?hp < 10     //띄어쓰기 안 함
  activate potion
>장소를 무관하고 체력이 10 미만이 되면 물약을 마십니다.

?loc = cave
  ?hp < 10     //2칸 띄어씀
    activate potion
>동굴에서 체력이 10 미만이 되면 물약을 마십니다.

3. 스크립트 가이드

백업
메모장이나 notepad++ 등으로 스크립트를 틈틈히 저장해두는 습관을 기르자.
백업 없이 새 기능 추가하다 설정이 꼬이면 멘탈이 나갈 수 있다.



오프라인
'탐험'했을 때에 상처없이 적을 격파하는데 '오프라인'으로는 몇분 뒤에 사망한다는 통계가 나올 때,
  • 물약이 한 번 사용된 이후 보충되지 않아서 그렇다. 물약 가마솥에서 '자동 보충' 버튼을 활성화시켜뒀는지 확인할 것[2]
  • 물약이 바뀌어도 마찬가지다. 풀피로 클리어하지 않았다면 가마솥에 회복 물약이 채워져 있는 지 확인해보자.

'탐험'으로는 1루프 클리어에 1분 30초가 걸리는데 통계에서 평균:2분 30초 이런식으로 표시될 때,
  • 스크립트가 제대로 작동을 하지않고 있거나, 현재 착용한 장비들을 제대로 반영 못 하고 있는 것이므로 몇 판 직접 '탐험'을 해주면 수치가 정상적으로 변경된다.
  • '오프라인' 1루프 클리어는 평균시간으로 계산되므로, 루프 속도를 높이고싶다면 직접 '탐험'으로 20~100판정도 돌아서 평균 클리어 속도를 갱신해주면 된다.



상황에 맞는 무기 사용하기
  • 초반 잡몹들을 상대로는 사거리와 공격속도가 빠른 마법봉이나 석궁, 자동석궁을 주로 사용한다.
  • 여유가 된다면 빠르게 바디체를 만들고, 꾸준히 강화하는 편이 좋다. 변변찮은 장비가 없을 시절에는 좋은 바디체와 괜찮은 석궁만 챙겨도 한결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 보스몬스터의 체력이 1,000 ~ 2,000 이하일 때는 약점 속성 무기를 억지로 풀세팅하기보다, 가용 자원을 모조리 털어넣어 강력한 바디체or마법봉 하나둘을 제작하는 게 낫다.
    • 제작 난이도: 10성 바디시 >>>>>>>>>> 10성 얼음 속성검
    • 기대 DPS: 10성 바디시 > 10성 얼음 속성검



import
' import '를 입력하여 펫,코스튬,미니게임, HUDUI 등등을 넣어 즐길수도 있다.
아래는 2022년 10월을 기준으로 릴리즈 노트에 작성되어있는 공식적으로 import를 지원하는 목록이다.
원하는 코드를 복사해서 붙여넣으면 된다.
[ 펼치기 · 접기 ]
||<table bgcolor=black> 코드 || 종류 ||

  • 코스튬
[ 펼치기 · 접기 ]
||<table bgcolor=black> 코드 || 종류 ||

  • UI 및 HUD
[ 펼치기 · 접기 ]
||<table bgcolor=black> 코드 || 종류 ||

  • 미니게임
[ 펼치기 · 접기 ]
||<table bgcolor=black> 코드 || 종류 ||

3.1. 심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tone Story RPG/스크립트 심화 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tone Story RPG/스크립트 심화 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tone Story RPG/스크립트 심화 팁#|]][[Stone Story RPG/스크립트 심화 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키워드 모음

스크립트 작성시 자주 사용하는 키워드 모음

Tab
게임 중 언제라도 탭(tab) 버튼을 누르면 현재 화면에 출력된 게임 데이터(적 이름, 거리, 플레이어의 위치, 디버프 유무 등등)를 확인할 수 있다. 주로 시간을 재거나 플레이어의 좌표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4.1. 자주 쓰는 키워드

기본
지역(loc)plateau, deadwood, caves, forest, halls, mine, ridge, temple
보스boss, phase, phase1, phase2, phase3,
"Dysangelos", "Xyloalgia", "Bolesh", "Angry Shroom",
"Pallas", "Bronze Guardian", "Hrímnir", "Nagaraja"
검색 필터(속성)poison, vigor, aether, fire, air, ice
검색 필터(종족)arachnid, serpent, insect, machine, humanoid, elemental
검색 필터(공격유형)spawner, flying, slow, ranged, explode, swarm
검색 필터(방어유형)unpushable, undamageable, magic_resist, magic_vulnerability
검색 필터(면역유형)immune_to_stun, immune_to_ranged, immune_to_debuff_damage, immune_to_physical
자원 수확harvest = boulder, harvest = tree
어빌리티 쿨다운 ID
Item Cooldown ID
Æther Talisman "talisman_aether"
Bardiche "bardiche"
Bashing Shield "bash"
Blade of the Fallen God "blade"
Cinderwisp Devour "cinderwisp"
Cultist Mask "mask"
Dashing Shield "dash"
Fire Talisman "talisman_fire"
Hatchet "hatchet"
Heavy Hammer "heavy_hammer"
Mind Stone "mind"
Quarterstaff "quarterstaff"
Skeleton Arm "skeleton_arm"
Voidweaver Devour "voidweaver"
Calamity Wand "wand_aether"
Explosive Wand "wand_fire"
Frost Wand "wand_ice"
Plague Wand "wand_poison"
Reset Wand "wand_vigor"
Gravity Wand "wand_stone"
Grasping Staff "staff_aether"
Infernal Staff "staff_fire"
Eternity Staff "staff_ice"
Berserker Staff "staff_poison"
Prevention Staff "staff_vigor"
Acrobatic Staff "staff_stone"

4.2. 보스

  • 청동 수호자처럼 변신형 보스는 phase1, phase2 이런식으로 구분 가능하다.
?foe=phase1
?foe.distance > 17
equip repeating

:
equipR poison hammer D
equipL poison hammer dL
:?foe=phase2
equip repeating
//보스 1페이즈일때
//적과의 거리가 17을 초과한다면
//자동석궁을 장착한다.
//
//적과의 거리가 17 이하라면
//오른손에 독속성 망치 D를 장착한다.
//왼손에 독속성 망치 dL을 장착한다.
//보스가 1페이즈가 아니라면
//자동석궁을 장착한다.

  • 보스 몬스터의 상태 이상(디버프)에 따라 장비 바꾸기
?foe=phase1 & foe.distance < 23
?foe.debuffs.string = "debuff_damage:1"
equip bardiche

:
equipR poison wand dP
equipL vigor wand dL
//보스가 1페이즈 '이고' 적과의 거리가 23 미만인 상황에서
//적이 디버프[3]에 걸린 상태라면
//바디시를 장착한다.
//
//적이 디버프에 걸린 상태가 아니라면
//오른손에 독속성 마법봉 dP를 장착한다.
//왼손에 용력속성 마법봉 dL을 장착한다.
주무기는 바디시이고, 적에게 디버프가 없을 때 독봉dP로 디버프를 발라준다.
왼손템 용봉dL은 피흡&짤딜용으로 장착

  • 보스 몬스터의 상태 이상(버프)에 따라 장비 바꾸기
?foe=phase1
?foe.debuffs.string = "debuff_damage:1"
equip bardiche
?foe.buffs.string = "buff_damage:1"
?item.potion!empty
activate potion

:
equipR poison wand dP
?foe.debuffs.string ! "debuff_dot:"
equipL fire wand dF

:
equipL ice wand D
//보스가 1페이즈일때
//적이 디버프[4]에 걸린 상태라면
//바디시를 장착한다.
//적이 디버프에 걸린 상황에서, 스스로에게 버프[5]를 시전할 경우
//물약이 비어있지 않다면
//물약을 사용한다.
//
//적이 디버프에 걸린 상태가 아니라면
//오른손에 독속성 마법봉 dP를 장착한다.
//적이 또 다른 디버프[6]에 걸린 상태가 아니라면
//왼손에 불속성 마법봉 dF를 장착한다.
//
//적이 디버프(debuff_dot)에 걸린 상태가 맞다면
//왼손에 얼음속성 마법봉 dF를 장착한다.

5. 파밍 진행 팁

극초반
1 다음 지역 보스 1회차 클리어를 통해 영혼의 돌 시리즈 획득
2 다음 지역 보스를 클리어할 수 없다면, 협곡/동굴에서 상자 파밍하기
3 협곡 5☆ 클리어 시 거대한 상자를 100% 확률로 얻을 수 있으므로[7], 해당 난이도에서 꾸준히 파밍을 하면 강화 무기를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



파밍 최적화
  • 자원(물약 재료): 자원 파밍에 중요한 것은 던전을 얼마나 빠르게 클리어하느냐이므로, 3☆~5☆ 난이도로 간다.
  • 기본 무기: 검, 방패 등 기본적인 무기 자체가 부족하다면 협곡 5☆로 간다.
  • 마법: 아래의 '시트표'를 참고하여 가장 효율적인 난이도를 고른다. 그 후, 해당 단계를 빠르게 클리어하기위한 옵션으로 최적화해나간다.[8]



기타 자료
좀 더 제대로 DPS, 지역별 루프 효율 등을 알려면 어떤 유저가 만든 시트표가 필요하다.
  • SSRPG Item Factory V.19에 들어간다. 좌상단 '파일'에서 사본 만들기 선택.
  • 사본을 들어간다. 하단 탭에서 'Farm Efficiency' 선택.
  • 표가 세 개가 있는데, 첫번째 것은 무시해도 좋다. 두번째 표에 던전 평균 클리어 시간을 x30(frame)하여 입력한다.
    • ex)숲 13레벨 평균 클리어 타임: 1분 23초 -> 83초. 여기에 x30하여 나온 값 2490 입력.
  • 값을 입력 후 세번째 표에서 목표 마법(Enchant) 수치를 +15로 설정하고 필요 시간을 시간/일에서 시간으로 맞춘다.
  • 세번째 표 M행 32열에 68.40이라는 수치가 적힌다. 1분 23초에 한 번씩 루프를 한다면 +15 마법 장비를 제작하는데 68시간 24분이 소요된다는 의미이다.
  • 세번째 표 색상이 분홍색인 지역이 제일 효율적이며, 그 다음은 초록색이다. 가장 파밍 효율이 나쁜 던전은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1] 외부에서 코딩한 것(텍스트파일)을 게임으로 끌고 올 수도 있다.[2] 확인이 귀찮다면 스크립트에서 brew tar 뒤에 = auto를 추가해두자. 자동으로 버튼이 눌러져있는 것으로 설정된다.[3] 대미지 감소:1단계[4] 대미지 감소[5] 대미지 증가[6] 지속 피해[7] 단, 이 때 기본 아이템만 드롭된다.[8] 예를 들어, 5☆ 무기의 기본적인 대미지만으로도 적이 한 방에 죽는다면 마법부여로 대미지 옵션을 챙길 게 아니라, 공격속도 옵션을 챙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