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00:12:10

The Firstfruit



파일:마크 The Firstfruit 로고.png
[ 음반 목록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fff><width=25%>
파일:200(마크(NCT)).jpg
||<width=25%>
파일:프락치 (Fraktsiya).jpg
||<width=25%>
파일:+82 Pressin'.jpg
||<width=25%>
파일:The Firstfruit.jp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fef2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0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0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707133;"
[ 참여 음반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fff><width=25%>
파일:우리집에 사는 남자 OST - Part.2.jpg
||<width=25%>
파일:고등래퍼 파이널 앨범.jpg
||<width=25%>
파일:Young-Free-SM-STATION.jpg
||<width=25%>
파일:lemonade love.jp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62a077"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0b3922;"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dedff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4ca8f7;"
파일:오늘의 탐정 OST Part 6.jpg
파일:조선로코 녹두전 OST Part 1.jpg
파일:MARK_Child_Album Art.jpg
파일:스트릿 맨 파이터 (SMF) Original Vol.4.jp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791b0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77a09d;"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698b95"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000"
파일:Brand New.jpg
파일:예성 Sensory Flows 표지.jpg
파일:Golden Hour(마크).jpg
파일:청춘의 포말 (YOUTH).jp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791b0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ffc0cb;"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e32c0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d1eefc"
파일:여름이잖아.jpg
파일:iScreaM Vol.37 프락치 (Fraktsiya) (Feat. 이영지) Remixes.jp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e5c46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000"
[ 관련 문서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0> 음반 ||<width=25%> 직캠 ||<width=25%><nopad> 공연 및 행사 ||<width=25%> 콘텐츠 ||

파일:마크 The Firstfruit 로고.png의 음반 (발매일순)
[[+82 Pressin' (Feat. 해찬)|정규 1집 선공개 싱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 ); font-size: 0.75em; color: #fff; border: px solid ; letter-spacing: -0.2px; word-break: keep-all"
]]
정규 1집
The Firstfruit

2025. 04. 07.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 ); font-size: 0.75em; color: ; border: px solid ; letter-spacing: -0.2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707133><colcolor=#fff> The Firstfruit
The 1st Album
<nopad> 파일:The Firstfruit.jpg
발매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4월 7일
가수 마크
기획사 SM엔터테인먼트
제작 부서 네오 프로덕션
유통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곡 수 13곡
재생 시간 36:15
타이틀곡
#!if 앵커 == null
[[The Firstfruit|{{{#!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7px 2px 9px; border: 0.3px solid #707133; border-radius: 3px 15px; background-color: #707133;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2em; color: #fff; font-weight: bold;"
{{{#!if 제목 == null
The Firstfruit{{{-1 ,,|02,,}}}
}}}{{{#!if 제목 != null
타이틀곡{{{-1 ,,|02,,}}}
}}}
}}}]]
#!if 앵커 != null
[[The Firstfruit#1999|{{{#!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7px 2px 9px; border: 0.3px solid #707133; border-radius: 3px 15px; background-color: #707133;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2em; color: #fff; font-weight: bold;"
{{{#!if 제목 == null
1999{{{-1 ,,|02,,}}}
}}}{{{#!if 제목 != null
타이틀곡{{{-1 ,,|02,,}}}
}}}
}}}]]
링크 파일:Linkfire 아이콘.svg

1. 개요2. 앨범 소개3. 프로모션4. 수록곡
4.1. Toronto's Window4.2. 1999
4.2.1. 뮤직비디오
4.2.1.1. 티저4.2.1.2. 리액션
4.2.2. 레코딩 비하인드4.2.3. 안무 영상
4.3. Flight to NYC4.4. Righteous4.5. 프락치 (Fraktsiya) (Feat. 이영지)4.6. Raincouver 4.7. Loser4.8. Watching TV (Feat. Crush)4.9. +82 Pressin' (Feat. 해찬)4.10. 2004.11. Journey Mecies4.12. Mom’s Interlude4.13. Too Much
5. 앨범 사양6. 성적
6.1. 음원6.2. 음반
6.2.1. 초동 판매량6.2.2. 총 판매량
6.3. 음악 방송 순위
7. 평가8. 콘셉트 티저
8.1. 이미지8.2. 비디오
9. 관련 영상
9.1. REcording MARK
10. 활동
10.1. 리스닝 파티10.2. 리스닝 세션 & 쇼케이스10.3. 음악 방송10.4. 라디오10.5. YouTube
11. 여담

1. 개요

2025년 4월 7일에 발매된 마크의 정규 1집이자, 솔로 데뷔 앨범.

2. 앨범 소개

The Firstfruit
The 1st Album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he Firstfruit | The 1st Album
2025. 04. 07. (월) 18:00 발매
마크의 첫 번째 열매, 솔로 앨범 ‘The Firstfruit’ 발매
}}}}}}}}} ||
마크의 'The Firstfruit' 수확하실 분 (1)999함 ♥[1]

3. 프로모션

〈The Firstfruit〉 프로모션
<col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TIMETABLE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The Firstfruit Schedule.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날짜 시간 내용 링크
03.14 06:10 【The Firstfruit - The 1st Album】 ➫ 2025.04.07 6PM (KST)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3.19 18:00 MARK 【+82 Pressin' (Feat. 해찬)】 Release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3.24 00:00 1999, Toronto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3.25 00:00 'The Firstfruit' - MARK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3.27 00:00 Air : 13 Travel Guideline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3.28 00:00 2006, New York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3.30 00:00 2011, Vancouver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3.31 00:00 Righteou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4.01 07:35 2013, Seoul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20:00 Mark Lee (b. 1999)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4.05 00:00 MV Teaser Image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4.06 00:00 MV Teaser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4.07 18:00 【The Firstfruit】
ALBUM & MV Release
}}}}}}}}} ||

4. 수록곡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07133><tablebgcolor=#fff,#1c1d1f><bgcolor=#707133><color=#fff> The Firstfruit
The 1st Album
||
2025. 04. 07. (월) 18:00 발매
<rowcolor=#fff> 트랙 곡명 프로듀싱
01 Toronto's Window 작사마크
작곡코드 쿤스트, Pick!
편곡코드 쿤스트
<rowcolor=#212529> 02 1999
TITLE
작사마크, dress, Samson
작곡마크, dress, Samson, SINJUN, PAPRIKAA, Jonah Renna, Desmond “DCope” Copeland
편곡dress
03 Flight to NYC 작사마크
작곡 | PixelWave
편곡 | PixelWave
04 Righteous 작사마크, dress, Samson, Raf Sandou, JEFFREY WHITE, MASON HOME
작곡마크, dress, Samson, Desmond “DCope” Copeland, Raf Sandou, JEFFREY WHITE, MASON HOME
편곡dress
05 프락치 (Fraktsiya) (Feat. 이영지)
선공개
작사마크, 이영지, ron, jane, dress, Raf Sandou, JEFFREY WHITE
작곡dress, 마크, ron, Raf Sandou, JEFFREY WHITE
편곡dress
06 Raincouver 작사마크
작곡 | Anders Gukko, Dewain Whitmore Jr., Ebenezer Fabiyi, Tony Ferrari
편곡 | Anders Gukko, Ebenezer Fabiyi
07 Loser 작사마크, dress, ron, jane
작곡마크, dress, Heon Seo
편곡dress
08 Watching TV (Feat. Crush) 작사마크, dress, ron, jane
작곡마크, dress, ron, SINJUN, Desmond “DCope” Copeland, Samson
편곡dress
09 +82 Pressin' (Feat. 해찬)
선공개
작사마크
작곡 | Thomas Brown, Pontus Kalm, Theron Thomas, Courtlin Jabrae Edwards, Andrew Choi
편곡 | Tommy 'TB Hits' Brown, Pontus `Oneye` Kalm
10 200
선공개
작사마크, jane, ron
작곡dress, 마크, Sion, Olmos
편곡dress
11 Journey Mercies 작사마크, Brian mantra
작곡마크, Brian mantra, dress
편곡dress, Brian mantra
12 Mom’s Interlude 작사 | -
작곡마크, 강승혜[2]
편곡 | -
13 Too Much 작사마크, Samson, dress
작곡마크, dress, Samson
편곡dress

4.1. Toronto's Window

'''Toronto's Window
01 1:36


긴 여정의 문을 여는 곡 ‘Toronto’s Window’는 마크가 걸어온 삶을 돌아보면서 이 앨범이 자신에게 얼마나 값진 열매인지 따뜻한 시선으로 풀어냈으며, 미니멀한 기타 선율 위로 담담하게 흐르는 내레이션은 마크의 진심을 고스란히 전한다.'''

[ 가사 보기 ]

I never thought

4.2. 1999

'''1999
02 3:25
TITLE


타이틀곡 ‘1999’는 웅장한 오케스트레이션과 펑키한 사운드의 기타, 브라스 세션, 휘파람 등 다채로운 악기 사운드가 어우러져 경쾌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팝 장르의 곡으로, 타이트한 랩과 가성 사이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가창은 그간 마크에게서 보지 못했던 신선한 매력을 느낄 수 있다. 가사에는 솔로 앨범이라는 첫 열매를 맺는 지금 이 순간이 마치 자신이 태어난 1999년도를 다시 맞이한 것처럼 기쁘다는 의미와 세기의 마지막 해에 태어난 자신이 세기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아티스트가 되겠다는 포부를 표현했다.'''

[ 가사 보기 ]

World, listen to me (uh huh)

4.2.1. 뮤직비디오

1999
Music Video
4.2.1.1. 티저
1999
MV Teaser
4.2.1.2. 리액션
1999
MV Reaction

4.2.2. 레코딩 비하인드

1999
Recording Behind the Scenes

4.2.3. 안무 영상

1999
Dance Practice

4.3. Flight to NYC

'''Flight to NYC
03 1:29


고향 토론토를 떠나 뉴욕으로 향하는 비행기에서 느낀 감정을 녹인 ‘Flight to NYC’는 비행기 앰비언스 사운드와 몽환적이고 낯선 느낌의 비트로 이루어진 Skit 트랙이다. 뉴욕에서의 삶에 중요한 포인트가 되어준 모임 ‘써클 (Circle)’을 읊조리는 인트로 내레이션이 독특한 분위기를 한층 더한다.'''

[ 가사 보기 ]

I think I need a circle

4.4. Righteous

'''Righteous
04 2:58


훌리건들의 거친 챈팅으로 시작하는 ‘Righteous’는 묵직한 킥과 베이스, 귀를 찌르듯 반복되는 하이햇 사운드가 역동적인 에너지를 자아내는 힙합 곡으로, 가사에는 여러 그룹을 대표하며 세계적인 활약을 펼치는 아티스트로서의 존재감과 무대 위에서는 땅을 흔들 정도로 강렬한 모습을 선보인다는 자신감을 담았다.'''

[ 가사 보기 ]

2 Bands that I represent

4.5. 프락치 (Fraktsiya) (Feat. 이영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락치 (Fraktsiya) (Feat. 이영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락치 (Fraktsiya) (Feat. 이영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락치 (Fraktsiya) (Feat. 이영지)#|]][[프락치 (Fraktsiya) (Feat. 이영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프락치 (Fraktsiya) (Feat. 이영지)
05 3:12
선공개


뉴욕 챕터의 마지막 곡 ‘프락치 (Fraktsiya) (Feat. 이영지)’는 하우스 풍의 코드 진행을 기반으로 펼쳐지는 묵직한 808 베이스와 강렬하게 반복되는 신디사이저 사운드가 인상적인 힙합 곡으로, 힙합의 서브 장르인 UK 드릴 요소를 결합하여 그동안 마크가 보여주지 않았던 독특한 매력을 보여주면서도 날카로운 래핑을 통해 리스너들의 귀를 단번에 사로잡는다. 피처링으로 아티스트 이영지가 참여, K-POP과 힙합 신(Scene)을 넘나들며 활약하고 있는 마크와 이영지의 모습을 ‘프락치’에 빗대어 표현, 서로의 영역을 오가는 ‘원톱’ 아티스트로서의 자신감을 담은 가사가 눈길을 끈다.'''

[ 가사 보기 ]

마크 이영지

Uh, You don't know this

4.6. Raincouver

'''Raincouver
06 2:39


밴쿠버 섹션을 시작하는 ‘Raincouver’는 평화롭게 지저귀는 새소리와 섬세한 피아노 리프가 매력적인 팝 장르 곡으로, 하늘에서 내리는 빗방울을 바라보며 떠올린 순수했던 지난날의 자신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밴쿠버에 대한 기억 속에 담아 따뜻하게 노래한다.'''

[ 가사 보기 ]

중학생 때
  • 곡 제목인 ‘Raincouver(레인쿠버)’는 마크가 오랫동안 살며 고향으로 생각하는 도시 밴쿠버의 가장 대표적인 별명으로, 해당 도시가 여름을 제외한 모든 계절, 특히 겨울에 엄청나게 많은 비가 내리는 기후로 유명해서 생긴 별칭이다.[3]
  • 앨범 발매 전 프로모션 기간 중 해당 노래를 일부 선공개했다. #

4.7. Loser

'''Loser
07 2:50


‘Loser’는 빈티지한 질감의 기타 두 대와 베이스만으로 구성된 미니멀한 사운드의 곡으로, 마크의 감미로운 보컬과 쓸쓸한 느낌을 더하는 코러스가 어우러져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사랑에 대한 기억과 상처, 스스로를 담담히 돌아보는 가사를 통해 섬세한 표현력과 진솔한 감정을 전한다.'''

[ 가사 보기 ]

I don’t want a loser oh

4.8. Watching TV (Feat. Crush)

'''Watching TV (Feat. Crush)
08 3:06


90년대 R&B에서 영감을 받은 ‘Watching TV (Feat. Crush)’는 마크가 시나리오 작가가 되어 한 편의 영화를 집필하듯 서사를 풀어가는 가사가 인상적이다. 리듬감 있는 랩이 몽환적인 분위기를 더하는 동시에 피처링으로 참여한 Crush의 풍성하고 감성적인 보컬이 마치 TV 속 영화에 빠져드는 듯한 황홀함을 선사한다.'''

[ 가사 보기 ]

마크 Crush

Crush on you

I don't let them make you up

4.9. +82 Pressin' (Feat. 해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82 Pressin' (Feat. 해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82 Pressin' (Feat. 해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82 Pressin' (Feat. 해찬)#|]][[+82 Pressin' (Feat. 해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2 Pressin‘ (Feat. 해찬)
09 3:22
선공개


서울 섹션의 첫 곡 ‘+82 Pressin’ (Feat. 해찬)’은 반복적으로 울려 퍼지는 휘슬 리프와 VOX 샘플을 활용한 베이스 라인이 매력적인 힙합 곡으로, 마칭 스네어와 탄탄한 킥 드럼, 마크와 해찬의 속도감 있는 가창이 한데 어우러져 역동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대한민국의 국가번호 +82를 활용한 가사는 마크가 직접 작사했으며,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마크와 해찬의 자유롭고 여유 있는 자신감을 경쾌하고 위트 있게 표현했다.'''

[ 가사 보기 ]

마크 해찬

Off the dome 난 고척
(Ladies and gentlemen let's go)

힙한 게 뭔지도 잘
모른 애들이 더해 Ugh (You know)
솔직히 진짜 약간

쟤네는 못해

I can play it
We droppin' with the chorus

지금 여긴

Drum drumming aw yeah
서울 City
서울의 맥박을 느껴 Tempo
서울 City
날 따라 꺼내봐 너만의 Noise
서울 City

Dolphin

너의 이름에 대해 더 알고 싶어

I'm gon' play it

한 손에 잡아
We droppin' with the chorus

지금 여긴
서울 City, mobbin' yeah

Drum drumming aw yeah

힙한 게 뭔지도 잘
모른 애들이 더해 Ugh
서울 City
솔직히 진짜 약간
나 없음 손해 여기

Girl I can be your drummer
I'm lost in your soul tonight

지금 여긴

Drum drumming aw yeah
서울 City
서울의 맥박을 느껴 Tempo
서울 City
날 따라 꺼내봐 너만의 Noise
서울 City
  • 앨범 발매에 앞서 2025년 3월 19일 선공개 됐다. 앨범 수록곡 중 가장 먼저 공개되며, 해당 곡에 춤이 있고 함께 연습하고 있다는 언급으로 인해 두 사람의 음악 방송 출연이 예고 됐고, 같은 날 엠 카운트다운 넥스트 위크(3월 20일) 예고를 통해 해당 곡으로 무대를 하는 것이 확정되었다.[4]
  • +82국제전화를 걸 때 사용하는 대한민국의 국가번호이며, 마크의 생일인 8월 2일을 의미하는 숫자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 피처링에 참여한 해찬에 따르면 2024년 11월부터 해당 곡을 준비했다고 한다.

4.10. 20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0(마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마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마크)#|]][[200(마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0
10 2:44
선공개


‘200’은 록 사운드 기반의 드럼&베이스 장르 곡으로, 2000년대 초반 스타일의 전자 기타 사운드와 서정적인 멜로디의 조화가 매력적이며, 트렌디한 느낌을 자아내는 빠른 BPM의 드럼과 신스 베이스 사운드, 그 위로 더해지는 속도감 있는 랩이 듣는 재미를 더한다. 가사에는 예상치 못한 사랑이 결국 운명적 만남이 되는 이야기를 순수하게 표현했으며, 서로가 서로를 더 빛나게 해주는 존재이자 두 사람이 만나면 더 완벽해지는 관계에 대한 사랑의 의미를 녹였다.'''

[ 가사 보기 ]

First you crashed into

4.11. Journey Mecies

'''Journey Mecies
11 3:45


‘Journey Mercies’는 마크의 R&B 보컬과 빈티지한 질감의 기타, 로파이(Lo-fi) 한 사운드의 신스가 어우러져 감성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곡으로, 지금까지 다양한 장소와 관계를 거쳐 도착한 긴 여정의 끝에서 안녕과 행복을 기원하며, 지난 시간 속에 남겨진 흔적들을 되돌아본다는 가사가 여운을 남긴다.'''

[ 가사 보기 ]

Is there anyplace you wanna go to?

4.12. Mom’s Interlude

'''Mom’s Interlude
12 1:35


어머니가 직접 연주해 주신 피아노 반주곡 ‘Mom’s Interlude’는 아티스트 마크가 아닌 아들 이민형으로서 어머니와 편안하게 나누는 따뜻한 대화가 담겨있다. 이번 앨범이 마크 본인과 본인을 사랑하는 모두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짐작할 수 있는 소중한 트랙이다.'''

4.13. Too Much

'''Too Much
13 3:34


마지막 트랙 ‘Too Much’는 피아노 선율로 시작해 얼터너티브 사운드의 리듬악기를 거쳐 점차 고조되는 가창과 드럼으로 대미를 장식하는 입체적인 구성이 매력적이다. 마크의 믿음과 진심을 담은 가사에는 상대로부터 받는 사랑이 언제나 과분하며 그 힘이 본인을 지탱하는 가장 큰 힘이라는 메시지를 진솔하게 표현했다.'''

[ 가사 보기 ]

I’m so glad you love me

5. 앨범 사양

〈MARK Ve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 ||
〈Stranger Ve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 ||
〈Righteous Ve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 ||
〈Trilogy Ver.〉[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 ||
〈Square Flap Ve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 ||
〈First Juice Ve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 ||

6. 성적

6.1. 음원

1999
주요 음원 차트 최고 순위
<rowcolor=#fff> 음원 서비스 차트 종류 순위
파일:멜론 로고.svg TOP 100 52위
HOT 100 30일 1위
100일 8위
실시간 차트 13위
일간 차트 104위
주간 차트
월간 차트
최신 차트 1주 1위
4주 4위
파일:지니뮤직 로고.svg 실시간 차트 42위
일간 차트
주간 차트
월간 차트
파일:FLO 로고.svg FLO 차트
파일:벅스 로고.svg 실시간 차트 1위
일간 차트 2위
주간 차트
파일:네이버 VIBE 로고.svg파일:네이버 VIBE 로고 화이트.svg 일간 차트
파일:유튜브 뮤직 로고.svg파일:유튜브 뮤직 로고 화이트.svg Global Top 100
Weekly
Global Top Music
Video Weekly
Korea Top 100
Weekly
Korea Top Music
Video Weekly
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 Global Top Song
Daily
Global Top Song
Weekly
Korea Top Song
Daily
Korea Top Song
Weekly
파일:애플 뮤직 로고.svg파일:애플 뮤직 로고 화이트.svg Top 100: 글로벌
Top 100: 대한민국
Top 25: 서울
Top 25: 부산
파일:써클차트 로고.svg파일:써클차트 로고 화이트.svg 디지털 주간 차트
디지털 월간 차트
주요 음원 서비스의 〈1999〉 차트 순위 추이
YouTube의 〈1999〉 차트 순위 추이

6.2. 음반

6.2.1. 초동 판매량

〈The Firstfruit〉 초동 판매량
<rowcolor=#fff> 날짜 일간 판매량 누적 판매량 비고
4월 7일
(1일차)
274,0**장 앨범 발매
20만 장 돌파
4월 8일
(2일차)
82,7**장 356,7**장 30만 장 돌파
4월 9일
(3일차)
77,3**장 434,1**장 40만 장 돌파
4월 10일
(4일차)
3,7**장 437,9**장
4월 11일
(5일차)
44,5**장 482,4**장
4월 12일
(6일차)
1,7**장 484,2**장
4월 13일
(7일차)
60,2**장 544,4**장 50만 장 돌파
초동 판매량 544,4**장 솔로 가수 음반 초동 25위
* 순위 및 기록은 집계 종료일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 포토북 3종 세트로 구성된 Trilogy 버전이 세트 1개당 음반 3장이 아닌 1장으로 집계되는 일이 있었다. 이에 대한 문의가 한터차트에 다수 접수되어, 한터 측에서 집계 데이터를 전량 검수하여 5일차에 누락된 판매량이 정정되었다.
  • 발매 5일차에 NCT 솔로 앨범 초동 1위 및 역대 SM엔터테인먼트 솔로 데뷔 앨범 초동 판매량 1위를 달성했다.

6.2.2. 총 판매량

〈The Firstfruit〉 써클 차트 총 판매량
<rowcolor=#fff> 기간 판매량 누적 판매량
2025년 4월
2025년 연간

6.3. 음악 방송 순위

〈1999〉 음악 방송 순위[활동][1위]
<rowcolor=#fff> 방송명 1주차 2주차
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4.png [컴백]
파일:뮤직뱅크 로고 2023.png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23.png
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19).svg
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22.png [결방]

7. 평가

8. 콘셉트 티저

8.1. 이미지

〈Alternate Album Cover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The Firstfruit Cover 1.jpg 파일:The Firstfruit Cover 2.jpg
}}}}}}}}} ||
〈Profile Image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The Firstfruit 프로필 사진.jpg 파일:The Firstfruit 프로필 배너.jpg
<rowcolor=#000> 프로필 사진 프로필 배너
}}}}}}}}} ||
〈Teaser Image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3월 25일 공개 이미지
파일:The Firstfruit 1.jpg 파일:The Firstfruit 2.jpg 파일:The Firstfruit 3.jpg
파일:The Firstfruit 4.jpg 파일:The Firstfruit 5.jpg 파일:The Firstfruit 6.jpg
파일:The Firstfruit 7.jpg 파일:The Firstfruit 8.jpg 파일:The Firstfruit 9.jpg
파일:The Firstfruit 10.jpg 파일:The Firstfruit 11.jpg 파일:The Firstfruit 12.jpg
||<width=25%><nopad> 파일:The Firstfruit 13.jpg ||<width=25%><nopad> 파일:The Firstfruit 14.jpg ||<width=25%><nopad> 파일:The Firstfruit 15.jpg ||<width=25%><nopad> 파일:The Firstfruit 16.jpg ||

}}}}}}}}} ||

8.2. 비디오

9. 관련 영상

9.1. REcording MARK

<colbgcolor=#707133><colcolor=#fff> MARK LEE
REcording MARK EP.0
<colbgcolor=#707133><colcolor=#fff> PROLOGUE
REcording MARK EP.1
<colbgcolor=#707133><colcolor=#fff> Finding
REcording MARK EP.2
<colbgcolor=#707133><colcolor=#fff> Fraktsiya [1]
REcording MARK EP.3
<colbgcolor=#707133><colcolor=#fff> Fraktsiya [2]
REcording MARK EP.4
<colbgcolor=#707133><colcolor=#fff> +82 Pressin' [1]
REcording MARK EP.5
<colbgcolor=#707133><colcolor=#fff> +82 Pressin' [1]
REcording MARK EP.5

10. 활동

10.1. 리스닝 파티

<colbgcolor=#707133><colcolor=#fff> Listening Party
Mark's Homecoming
파일:Mark's Homecoming 포스터.jpg
일시 2025년 4월 3일 (목)
[ 시간 펼치기 · 접기 ]
참여 인원 총 80명 (회차당 40명)
주최 SM엔터테인먼트
Mark's Homecoming – 캐나다보이의 특별한 초대 🇨🇦

마크의 홈에서 펼쳐지는 단 하나의 홈커밍 파티!
마크가 여러분을 ‘캐나다 멘션 in Seoul'로 초대합니다!

✔️ 마크의 캐나다 최애 간식 & 음료 직접 맛보기
✔️ 마크가 직접 큐레이팅한 파티 플레이리스트
✔️ 마크가 들려주는 ‘The Firstfruit' 앨범 수록곡 이야기
✔️ 깜짝 라이브 스테이지! 수록곡 어쿠스틱 라이브 무대까지

Mark's Homecoming, 함께할 준비 되셨나요?

10.2. 리스닝 세션 & 쇼케이스

<colbgcolor=#707133><colcolor=#fff> Listening Session & Showcase
The Firstfruit Showcase
파일:마크 The Firstfruit 음감회 쇼케이스.jpg
출연 마크
주최 SM엔터테인먼트
LISTENING SESSION
일시 2025년 4월 7일 (월) 오후 4시 (KST)
장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문화예술마당 FB 씨어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상하이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도쿄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방콕
SHOWCASE
일시 2025년 4월 7일 (월) 오후 8시 (KST)
장소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문화예술마당 FB 씨어터
  • 발매 당일인 4월 7일 음감회와 쇼케이스를 개최할 예정이다.
  • 음감회는 한국 시간으로 앨범 발매 2시간 전인 오후 4시에 서울, 도쿄, 상하이, 방콕 아시아 4개 도시에서 동시 진행된다.[10] 앨범의 메인 태마인 ‘도시’에 걸맞게 각 도시에 마련된 특별한 장소에서 실시간으로 마크와 소통하며 리스닝 세션을 함께 즐기는 콘셉트이다.
  • 이 날 현장은 유튜브, 위버스, 틱톡 NCT 채널 등을 통해 생중계 된다.

10.3. 음악 방송

<rowcolor=#fff> 날짜 방송사 프로그램 링크
선공개
03.20 파일:엠넷 로고.svg 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4.png
[스페셜무대]
프락치 (Fraktsiya) (Feat. 이영지)[12]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2 Pressin‘ (Feat. 해찬)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주차
04.10 파일:엠넷 로고.svg 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4.png
[데뷔무대]
[최초공개]
Toronto's Window + Too Much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9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4.11 파일:KBS 2TV 로고.svg 파일:뮤직뱅크 로고 2023.png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23.pn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4.12 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19).svg Too Much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9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주차
04.17 파일:엠넷 로고.svg 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4.png 1999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4.18 파일:KBS 2TV 로고.svg 파일:뮤직뱅크 로고 2023.png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23.pn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4.19 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19).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4.20 파일:SBS 로고.svg 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22.png
[활동종료]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4. 라디오

<rowcolor=#fff>
날짜
방송사 프로그램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5. YouTube

<rowcolor=#fff>
날짜
채널 제목
링크
04. 08 유병재 [틀린그림찾기] 승부욕 없다고 하지 맠 (w. NCT 마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Apple Music MARK of NCT: First Solo Album The Firstfruit - The 1st Album & Writing | on your MARK radio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4. 10 딩고 뮤직 / dingo music 100초로 보는 마크 (MARK) | [100sec] Baggy Jeans, Ay-Yo, Jopping, 버퍼링, +82 Pressin', 1999 | 딩고뮤직 | Dingo Music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4. 11 채널 십오야 헤어지자고? 나 지금 마라탕 끓이는데? | 🧑‍🍳🫧 보글보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아이돌 인간극장 [SUB] 프로데뷔러 마크가 낮잠 자는 귀한 하루😴 | 마이리틀데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K-Pop ON! Spotify MARK’s Most Fruitful Spotify House PartyㅣHighlight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정용화의 엘피룸 LP Room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김동 이동의 먹투유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여담

  • 마크가 전곡 작사, 작곡에 참여했다. 또한 이 앨범이 발매됨에 따라 마크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등록된 곡 수 100개를 달성하게 되었다.[16]
  • 타이틀 곡의 제목인 '1999'는 마크의 출생 연도이다.
  • 앨범은 고향 토론토, 첫 이주지 뉴욕, 학창 시절을 보낸 밴쿠버, 아티스트로서 꿈을 실현하는 서울 등 마크의 단단한 기반이 되어준 네 개의 도시에서 받은 영감을 바탕으로 완성된 앨범으로, 각 도시에서 느꼈던 감정과 분위기에 따라 13곡을 4개의 섹션으로 구성했다.
  • NCT의 멤버들과 피처링에 참여한 타 아티스트들[17], 그리고 타이틀곡 '1999'에 맞게 99년생 연예인들[18]에게 선물 박스를 돌렸다. 예외적으로 ZEROBASEONE 성한빈은 이 3가지 경우 중 해당사항이 없지만 선물을 받게 되었다. NCTzen인 성한빈이 마크에게 박스의 판매 여부를 묻자 마크가 그에게 갖고 싶은지 의사를 물어본 뒤 준비해서 주겠다고 한 것이다.

[1] SMTOWN 신곡 포스트[2] 마크의 어머니.[3] 어원은 를 뜻하는 영단어 Rain밴쿠버(Vancouver)의 합성. 밴쿠버 문서에도 나와 있지만 태평양 북부 바닷가 인접 지역에 위치한 특성 때문이기도 하고 로키산맥과 캐스케이드 산맥의 많은 산들로 인해 겨울철 푄 현상이 두드러지게 일어나기 때문이기도 하다.[4] NCT 127NEO CITY - THE MOMENTUM 투어 일정으로 인해 선공개 곡의 음악 방송은 3월 20일 하루만 진행하게 되었다.[5] 〈MARK Ver.〉 + 〈Stranger Ver.〉 + 〈Righteous Ver.〉 (포토북 3종 SET)[활동] 활동기간 순위 진입 주차까지만 기재.[1위] 1위 혹은 1위 후보였으면 볼드체 표시.[컴백] [결방] [10] 시차를 고려한 해외 시간으로는 도쿄 오후 4시, 상하이 오후 3시, 방콕 오후 2시에 시작된다.[스페셜무대] [12] 함께 출연한 이영지에 따르면 해당 일자에 공개된 프락치 무대는 엠 카운트다운 30주년 기념으로 특별하게 조율된 것이라고 한다.[데뷔무대] [최초공개] [활동종료] [16] 기존의 89(200, 프락치 포함)곡에 신곡 11곡을 더해 100곡을 달성했다. 다만 4월 11일 기준 아직 저작권협회 사이트에서 등록곡을 확인할 수 없다.[17] 이영지, 코드쿤스트, 크러쉬[18] (여자)아이들 우기, , 세븐틴 디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