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1 16:39:03

ULTRAKILL/등장인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ULTRAKILL|ULTRAKILL]]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본 게임에 등장하는 적 몬스터나 보스에 대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ULTRAKILL/몬스터 및 보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ULTRAKILL/몬스터 및 보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ULTRAKILL/몬스터 및 보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본 게임에 등장하는 적 몬스터나 보스에 대한 내용: }}}[[ULTRAKILL/몬스터 및 보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ULTRAKILL/몬스터 및 보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ULTRAKILL/몬스터 및 보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colbgcolor=#ED0102><colcolor=#ffffff><rowcolor=#ffffff> 파일:ultrakill_logo1.png
관련 문서 스테이지 (서막 · 액트 I · 액트 II · 액트 III) · 사이버그라인드 · 무기 · 몬스터 및 보스 · 스타일 · 모드
등장인물 V1 · V2 · 가브리엘 · 미노스 · 시시포스


1. 개요2. 주연3. 천국4. 지옥5. 기타

1. 개요

FPS 게임 ULTRAKILL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일람이다.

2. 주연

2.1. V1

파일:V1.png
V1
본작의 주인공이자 전쟁을 위해 제작된 V 모델. 혈액을 연료로 움직이는 초인적인 전쟁병기로, 전쟁이 끝나 쓸모없어졌지만 그 여파로 인류가 멸망한 결과 연료인 혈액을 찾기 위해 생명체가 있는 지옥으로 내려가게 된다.

2.2. 가브리엘(Gabriel)

천국의 천사들에게 존경받는 대천사이자 심판관. V1이 지옥을 침공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그와 싸우게 된다. 항목 참조.

3. 천국

===# 하느님(The Father) #===
울트라킬 세계의 유일신. 그러나 그 존재가 직접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으며, 애초에 작중 시점에 직접적으로 사라졌다는 언급까지 있기에 존재하는지 조차도 알 수 없다.

자유의지가 있음에도 전쟁과 다툼으로 생을 허비하는 인간들을 바라보며 지옥을 창조하고 자유의지가 박탈된 인간들이 그곳에서 벌을 받게끔 하는 일종의 "실험"에 착수한 것으로 보이지만, 모든 시도가 번번이 좌초되고 실험의 방향성에 대해 고뇌하다가 상심한 나머지 천상에서 모습을 감춘 뒤, 이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터미널 데이터와 시크릿 스테이지 말미에 나오는 유언들에서 암시되어 있지만, 7-S의 유언 V를 보면[1] 죽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 루시퍼(Lucifer) #===
유언 IV에서 언급되는 천사. 지옥을 만든 하느님에게 지나치게 잔인한 처사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했고, 그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없었던 하느님에 의해 지옥으로 던져졌다고.

본작의 모티브인 신곡 지옥편에서 루시퍼는 지옥의 제9층 맨 밑바닥에 있으므로 본작에서도 마찬가지로 제9층의 최종보스로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 평의회(The Council) #===
하느님의 뜻을 받드는 천사들의 모임으로, 대천사인 가브리엘에게 명령을 하달할 정도의 지고한 권위를 가진 천국의 실세이다. 엄숙한 신앙을 기반으로 독단에 의해 정국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인류가 멸망하고 하느님이 자취를 감춘 지 오랜 세월이 지난 시점에는 하느님을 대신해 이들이 천국을 통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며 하느님의 뜻을 좋을 대로 왜곡하면서 철저히 부패하고 있었다. 가브리엘이 미노스와 시시포스를 잔인하게 죽여 버리고, 인류 멸망 이후 지옥에 온 망자들을 혹독하게 징벌하고 있던 것도 이들의 명령을 맹목적으로 따랐기 때문이었다.

액트 1에서 대천사 가브리엘이 V1에게 패배하자, 이들은 한낱 기계에게 패배하여 하느님의 이름을 더럽혔다는 이유로 가브리엘의 빛을 빼앗고 24시간 이내 죽음에 이르게 하는 극형에 처한다. 그러나 액트 2에서 하느님이 이미 사라졌다는 진실을 깨달은 가브리엘에 의해 몰살당하며, 그중 마지막까지 가브리엘을 설득하려던 의원 한 명의 목은 무참히 잘려나가 천국의 민중들에게 보여져 신이 죽었다는 진실을 천사들에게 널리 알리게 된다.

기본적으로 다수의 최고 등급 천사들의 집단지도체제를 통해 천국의 국정을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평의회의 모든 천사들의 발언권이 동등하지 않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의장이 따로 있는 것으로 보인다.[2]

4. 지옥

울트라킬의 스토리가 펼쳐지는 주 무대. 신곡/지옥편과 같이 9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층마다 각기 다른 죄를 지은 죄인들을 심판하는 장소이다. 인류는 최후의 전쟁으로 피폐해진 문명을 재건하기 위해 지옥을 개발하고 탐사 시설을 건설했으나, 어째선지 지옥 내부에 있던 기계들이 오작동을 일으키고 문이 마음대로 닫히거나 내부의 생명체들이 시설을 이유 없이 통과하는 등의 이상현상에 결국 개발을 중단하였다. 인류가 멸망한 이후 지상의 유기체들이 절멸하자 수많은 기계들이 연료인 혈액을 공급하기 위해 이곳 지옥으로 침략해 오고 있다.

시크릿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나오는 "유언"들에서 지옥의 기원을 알 수 있는데, 자유의지를 낭비하는 인류에게 실망한 신이 자유의지가 없는 인류를 창조하고, 이들을 그 안에서 살아가게 할 요량으로 만든 장소가 바로 지옥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지옥이 만들어지고 자유의지를 결여시키려는 시도가 계속해서 실패하자, 신은 이에 크게 상심하여 천국에서 모습을 감추고 만다.

▶ 스포일러 [ 펼치기 · 접기 ]
파일:hell_itself.webp
<colbgcolor=black>
P-2 ARG 문서 [ 펼치기 · 접기 ]

이제야 알았어. 어째서 생명체들이 우리 시설에 갑작스럽게, 또 탐지 불가능하게 나타나는 것인지를. 어째서 여분의 기계 부품들이 자꾸만 사라지는 것인지를. 어째서 문들이 오작동을 일으키고 갑작스레 닫히는지를 알았어. 이건 시스템 오류 같은 게 아니야. 이건...
I’ve figured it out. I know why the creatures are suddenly and undetectably appearing inside our facilities. I know why spare parts and pieces of machines keep disappearing. I know why the doors seem to malfunction and suddenly lock themselves. it's not a glitch in the system. its...

지옥은 살아 있고, 숨을 쉬고, 사고해. 이 일대는 하나의 거대하고 지적인 초유기체고, 무자비하고 잔혹한 존재야. 단지 우리를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그것은 우리의 시스템과 기계들이 작동하는 방법을 꿰뚫어본 거야. 그것은 우리 기술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불경한 방식으로 재조립해서, 자신이 고문하던 생명체들에 부품을 장착하고 목적 없는 죽음과 파괴의 군대로 만들어냈어. 그것은 이들을 자신의 내부로 순간이동시켜 우리의 보안을 파훼하고 있어. 그리고 문을 잠가 우리를 이들과 함께 가둬 버리지.
Hell is alive. it breathes. it thinks. The entire area is a massive intelligent superorganism, and it is harsh and it is cruel. Just by watching us it has learned how our systems and machines work. it has not only begun to deconstruct our technology but also assemble it in perverse ways, attaching parts to the creatures it tortures, making them into an aimless army of death and destruction. it warps them across itself to get them past our security. it locks our doors to trap us with them.

이건 공격이 아니야. 이건 방어 기제도 아니야. 이건 유희야. 그것 스스로를 위한 죽음과 잔혹함과 고통의 전람이야. 그것은 자신이 가진 것에 질려 버렸고, 우리는 본의 아니게 우리 스스로를 그것의 새로운 놀잇감으로 바쳐버린 거야.
This is not an attack. This is not a defense. This is entertainment. This is an exhibition of death and cruelty and suffering for its own sake. It had grown tired of what it has and we unwillingly just offered ourselves up as new playthings.

톰, 하느님 맙소사, 이 프로젝트를 즉각 취소해야 해. 모든 것을 폐기하고 이곳을 폐쇄해야 해. 기계랑 장비들은 전부 버려야 해. 너무 늦기 전에,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을 내보내야 해.
Tom, please for the love of god cancel this project immediately, we have to abandon everything and seal this place away. Leave the machines and tools behind. Evacuate as many as we can, before it is too late.

그것이 이 암호화된 메시지를 읽는 법을 익히고 가로채기 전에 메시지가 전송되기를 바랄 뿐이야. 무슨 일이 있더라도, 이 존재가 나가는 길을 찾아서 지상에 퍼지게 둬서는 안돼. 이제 우리ㄴ
I can only hope this encrypted message is received before the organism learns to read it and intercept it. Whatever happens, we can not let this being find a way out and spread to the surface. We ha

다 른 죽 음 . 더 가 져 와 . 나 굶 주 리 다 .
a n o t h e r d i e s . b r i n g m e m o r e . i h u n g e r.
사실 지옥은 살아 있는 하나의 거대한 초유기체였다. 죽어서 지옥에 부활한 영혼들은 지옥이 원하는 대로 그 형태가 뒤틀리면서 갖가지 방법의 고문을 받고 있었다.[3] 그러다 최후의 전쟁이 끝나고 인류의 지옥 개발이 시작되면서 지옥에 기계들과 같은 신문물이 유입되기 시작하자, 자신이 먹어치운 죄인들을 고문하는 데 질린 지옥은 지상에 있던 인류로 화살을 돌린다. 기계 부품을 이용해 개조된 허스크들이 출현하고, 시설이 마음대로 오작동하거나, 지옥의 생명체들이 난데없이 나타나 사람들을 습격하는 등 지옥에 온 인류에게 벌어진 이상현상 역시 전부 지옥의 소행이었다. 이를 깨달은 인류가 지옥 개발을 중단하려 했으나 끝내는 지옥의 침범을 막지 못하고 지상마저 침공당해 멸망한 것으로 보인다.[4]

게임 내에서도 지옥이 플레이어에게 주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일부 터미널이나 문서의 텍스트가 붉은색과 띄엄띄엄 성긴 간격으로 표현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러한 지옥의 유일한 행동 원리는 순수한 유흥으로, 오로지 재미를 위해서 죄인들을 괴롭히는 것으로도 모자라 지상에 있던 인류마저 멸망시켜 자신의 놀잇감으로 삼아 버렸다.[5]

이러한 탓에 현재 ULTRAKILL 세계관의 만악의 근원으로 지목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혈액으로 움직이는 기계들을 설계하도록 부추겨 인류를 멸망에 치닫게 한 흑막이 바로 지옥이라거나, 어쩌면 V1이 맞서야 할 최후의 적이 될지도 모른다는 추측까지 나오고 있다.[6]

4.1. 터미널 (Terminal)

지옥 곳곳에 배치되어 있는 노란색의 키오스크. 상점과 도감, 무기 설정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다가갈 때마다 Take Care라는 재즈 음악이 흘러나온다.[7] 과거 인류가 지옥 탐사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물건을 순간이동을 이용해 전송하기 위한 단말로 시험되었다.

4.2. V2

전쟁 종결 이후 신평화(The New Peace)의 시대가 찾아오자, 치안을 위해 V1의 후계 기종으로 제작되었다. 인류 멸망 이후 부족해진 혈액을 얻기 위해 지옥을 침략했으며, 마찬가지로 혈액을 찾아 지옥을 탐험하는 V1과 수 번에 걸쳐 격돌한다.

4.3. 미노스(Minos)

지옥의 2층인 색욕(Lust)의 왕이자 옛 지옥의 심판관. 고통받던 죄인들을 위해 색욕의 층에 르네상스를 일으켰으나 가브리엘에게 처형당하였다.

4.4. 시시포스(Sisyphus)

지옥의 4층인 탐욕(Greed)의 전 왕. 천국에 대한 반란을 일으키려 했으나 실패했다.

5. 기타

이하는 개그성으로 등장하는 이스터 에그의 등장인물들이다.
  • 하키타 (Hakita)
    이 게임의 디렉터인 하키타의 자캐(인형)이다. 언더테일짜증나는 개처 마냥 게임 구석구석에 등장하는 이스터 에그성 캐릭터로 일반적으로 들어갈 수 없는 곳을 노클립으로 뚫고 들어왔을때 여기 들어오면 안된다며 통로를 가로막고 있거나, 7-2의 폭탄 내부에서 애니메이션을 청취하고 있는 등 여러모로 엉뚱한 짓을 많이 하는 개그 캐릭터.


    5-2에서는 쟈키토(Jakito)라는 뒤틀린 황천의 하키타가 등장하는데, 철창 안에 갇혀 있는 쟈키토 앞에 있는 제단에 햄스터 플롭(Florp)을 바치면 세상을 그대로 멸망시켜 버리고, 게임은 크래시가 난다.
  • KITR
    게임의 제작진 가운데 한 명인 PITR가 키우는 고양이를 모티브로 한 생명체. 로우 폴리곤 모델링의 회색 고양이 모습을 하고 있다. 개발자 박물관 맵에서 정원으로 가는 계단 밑에서 찾을 수 있으며, 닿으면 플레이어를 따라다니게 되며 치트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포너 암으로 소환할 수 있게 된다.

    PITR의 말에 따르면 종은 메인쿤이고, KITR이라는 이름은 별 생각 없이 지었다고 한다.

    치트로 소환해서 다른 몹과 싸움을 붙이면 떠있는 적이 아닌 이상 출혈 디버프와 함께 강력한 데미지를 지속적으로 넣으며 여러마리가 몰릴 경우 아무리 강력한 적이더라도 순삭시키는 괴이한 상황을 연출한다.
  • 플롭 (Florp)
    뭉개진 햄스터의 형상을 하고 있는 작은 생명체. 4-4에서 벽화로 등장, 이후 5-2에서 뱃사공의 배 굴뚝 위로 올라가면 햄스터임에도 불구하고 둥지에서 알을 품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키 아이템인 해골과 비슷한 취급이라 손에 쥔 채 들고 다닐수도 있다. 제단 위에 올려놓거나 소환해서 집어들고 던지는 것 외에는 별다른 상호작용이 없는 개그성 캐릭터.

    개발자 박물관에서도 등장하는데, 화장실의 잠긴 칸들 중 하나에서 그것도 하필이면 휴지가 다 떨어진 칸에서 볼일을 보고 있다.

[1] 이제는 나의 삶에 끝을 내고자 하였다. 하지만 내가 심연을 들여다보았을 때... 심연은 그 눈길을 돌렸다.[2] 가브리엘을 문초하던 액트 1의 에필로그에서, 평의회의 천사들이 가브리엘을 입을 모아 질책하던 도중 천사 한 명이 정숙을 선언하고 가브리엘에게 판결을 내리는 묘사를 보면 이를 알 수 있다. 대개 팬덤에서는 최후에 가브리엘에게 참수된 천사를 의장으로 여긴다.[3] 대표적인 것이 최후의 전쟁에 처음 출현한 전쟁병기인 거터맨에게서 영감을 받아 악마 마네킹을 창조한 것.[4] 게임에서 방을 이동할 때마다 갑자기 문이 폐쇄되고 적들이 허공에서 소환되는 것도 전부 지옥의 의지로 이루어졌던 일들인 것. 더구나 이렇게 소환된 적들은 천사건 악마건 기계건 일제히 V1만을 노려서 공격하는 기이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 역시 지옥이 이 존재들을 장기말처럼 부리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5] 지옥의 행동 원리 자체는 유흥이나 행동 방식은 인류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으로 보인다. 상술했듯이 마네킹부터가 인류의 거터맨을 지옥의 방식으로 재해석한 결과물이며, 기술력을 통하여 목적 없는 싸움을 반복하는 군대를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목적조차 망각한 채 자멸에 가까운 최후의 전쟁을 벌이던 인류와 매우 유사하다. 또한 지옥의 시점에서 서술된 것으로 보이는 7-4의 로어에서는 어스무버와 어스무버를 만들어낸 인류의 무의미한 전쟁에 대한 묘한 동경마저 느껴진다.[6] V1이 사망할 때 특유의 동공이 2개인 눈이 나타나는 것을 보면 지옥이 V1의 여정을 지켜보고 있는 것은 확실하다. 작중 V1이 한 번도 죽지 않았다는 내용은 딱히 없는데, 어쩌면 V1에게 흥미를 느낀 지옥이 V1을 계속 살려내는 것일 수도 있다.[7] 원곡은 1938년 연주된 Were You Foolin'이라는 러스 모건 오케스트라의 재즈 곡이다. 인게임에서는 가수의 노랫소리가 나오는 소절 없이 오직 반주 부분만 재생되는데, 인류도 이런 터미널의 특이한 동작의 원인을 이해할 수 없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