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22:47:10

중화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국 공산당의 군대에 대한 내용은 중국 인민해방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중화민국의 군대에 대한 내용은 중화민국군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인민위
사리원시
송림시 }}}
곡산군 금천군 린산군 봉산군 상원군
서흥군 수안군 승호군 신계군 신평군
연산군 연탄군 은파군 중화군 토산군
평산군 황주군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황해북도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f2023>
중화군
中和郡 | Junghwa County
}}}
<colbgcolor=#e40001><colcolor=#fff> 구역 소재지 중화읍
광역행정구역 황해북도
하위 행정구역 1 16
면적 232.4㎢
인구 77,367명[1]
인구 밀도 332.90명/㎢
최고인민회의

파일:조선로동당 로고타입.svg
2석[2]


1. 개요2. 역사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3.1. 구 중화군 지역3.2. 구 상원군 지역
4.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평양시 남쪽에 있는 군. 북한 행정구역상으로는 황해북도지만, 광복 당시(이북 5도) 행정구역상으로는 평안남도다. 북한 치하에서 오랫동안 평양시 산하에 있다가 2010년에서야 황북으로 들어갔다.

평양황해도를 잇는 길목에 있다. 읍에는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으로 잠시 이름을 바꾸었던 조선인민군 공군의 지휘부가 있다.

2. 역사

삼국시대고구려에 복속되었고 가화압(加火押, 지금의 당정면), 부사파의현(夫斯波衣縣, 지금의 해압면)을 설치했다.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한 후 신라 헌덕왕이 가화압을 당악현(唐嶽縣), 부사파의현을 송현현(松峴縣)으로 고쳤다. 일단 삼국사기 지리지의 기록상으로는 신라 9주 5소경한주에 속했는데, 신라 후기에 한주와 구분되는 특수 행정구역 패강진을 신라 서북면에 설치하였는데 이 곳도 위치상 패강진 관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두 현은 고려초기에 촌()으로 격하되었으며 1227년에 서경천도운동이 무야되고 지금 명칭인 중화현(中和縣)으로 통폐합됐다. 이후 고려말기인 1371년에 '후삼국 통일' 공신인 김락)金樂)과 김철(金哲)의 내향(內鄕)이라며 중화군으로 승격되었다.

경신대기근 때에 운석이 떨어졌다.

1914년에 인근 상원군을 통합하였다. 1읍 16리로 구성되어 있고, 군청 소재지는 중화읍이다.

1947년 대동군 청룡면, 율리면, 용연면, 남곶면을 편입하였고, 동시에 청룡면과 풍동면을 강동군으로 편입하였다,

동서로 긴 형상을 하고 있는데, 북한 치하에서 3분되어 서쪽은 강남군, 동쪽은 상원군이 되었다. 최근까지는 평양시 관할이었다가 2010년경 황해북도로 이관되었다. 구글 지도에는 여전히 평양 소속인 것으로 나온다.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d914b>
파일:평안남도 휘장(이북5도위원회)_wih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파일:평안남도 평양시 휘장.svg
평양시
파일:진남포시 상징.png
진남포시
파일:평안남도 대동군 휘장.svg
대동군
파일:순천군 상징.png
순천군
파일:맹산군 상징.png
맹산군
파일:양덕군 상징.png
양덕군
파일:덕천군 상징.png
덕천군
파일:성천군 상징.png
성천군
강동군 파일:중화군 상징.png
중화군
파일:용강군 상징.png
용강군
영원군
파일:강서군 상징.png
강서군
파일:평원군 상징.png
평원군
파일:안주군 상징.png
안주군
파일:개천군 상징.png
개천군
명목상 도청소재지 : 평양시 }}}}}}}}}
평안남도미수복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중화군 상징.png
중화군
中和郡
Junghwa County
}}}
<colbgcolor=#107885><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중화면 낙민리
상위 행정구역 평안남도
하위 행정구역 11
면적 909㎢
인구 95,150명 (1944년 인구총조사)
인구밀도 104.68/㎢
명예군수 김남처
명예읍·면장 11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중화군 소개

파일:중화군기.png

파일:중화군.jpg

면적 909㎢. 북한 행정구역상 중화군은 중화면·동두면, 강남군은 당정면·신흥면·양정면·해압면, 상원군은 간동면·상원면·수산면·천곡면·풍동면에 해당한다.

3.1. 구 중화군 지역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중화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 중화면(中和面)
    • 관할 리 : 낙민(樂民), 갈매(葛梅), 강로(江老), 관(館), 금수정(金水井), 당밀(唐密), 독산(獨山), 묵성(墨成), 빙장(氷莊), 사룡(寺龍), 산개(山開), 석박(石礡), 신우(新牛), 신유(新楡), 어부산(魚鳧山), 운봉(雲峰), 장산(長山), 장원(長院), 정척(正陟), 진율(眞栗), 청학(靑鶴), 초현(草峴), 추당(楸唐), 충의(忠義), 치산(峙山), 하명월(下明月), 회유(回楡)
    • 읍소재지와 군청소재지는 낙민리. 경의선 철도가 지나간다. 1939년에 고생양면(古生陽面) 묵성리·빙장리·사룡리·어부산리·장원리·충의리를 편입하였다. 고생양면은 중화면과 동두면에 분할 편입되어 사라졌다. 석박리는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때 금수정리·치산리와 함께 금산리가 신설되어 폐지되었다.[3]
    • 읍의 진산인 청량산(淸涼山, 188m)에는 길상사라는 절이 있었다. 분단 전에는 군내의 한약재 집산지로, 중화역에서 서울·대전·대구 등 주로 남한 각지로 연간 6만 톤이나 출하되었다고 한다. #
  • 간동면(看東面)
    • 관할 리 : 상하(上下), 간동장(看東場), 간지정(干支井), 광제원(廣濟院), 내동(內洞), 노년(老年), 명구(名區), 부원(府院), 사기(沙器), 수재(秀才), 오리(梧梨), 유(柳), 일연(日淵), 조치(棗峙), 중(中), 지석(支石)
    • 1929년 배화면을 흡수하였다(내동리·명구리·부원리·오리리·일연리·중리). 배화면은 구 상원군 지역이었다.
  • 당정면(唐井面)
    • 관할 리 : 당곡(唐谷), 간(間), 건산교(乾山橋), 검암(儉巖), 당촌(唐村), 동산(東山), 두정(斗井), 석교(石橋), 송오(松塢), 수구(水龜), 양라(陽羅), 애간(艾間), 적선(積善), 화문(和文), 후장교(後長橋)
    • 곤양강을 경계로 대동군과 맞닿는다.
  • 동두면(東頭面)
    • 관할 리 : 협계(峽溪), 고정(古井), 다기장(多奇障), 대류(大柳), 대선(大仙), 무진장(戊辰場), 서가(書加) 서옥(書玉), 설매(雪梅), 신봉(新鳳), 용산(龍山), 장룡(張龍), 조양(朝陽), 죽월(竹月), 진파(眞坡), 채송(蔡松), 흑(黑)
    • 1939년 고생양면(古生陽面)의 다기장리·대류리·서가리·서옥리·조양리를 편입하였다.
    • 정릉사동명왕릉이 진파리에 있다.
  • 신흥면(新興面)
    • 관할 리 : 상삼(上三), 경목(鏡睦), 고산(古山), 광산(廣山), 대기암(大奇巖), 백리(百梨), 삼응(三鷹), 성천(城川), 신포(新浦), 신한(新寒), 심방(沈防), 심촌(沈村), 용하(龍下), 용흥(龍興), 운산(雲山), 윤산(潤山), 윤암(尹巖), 진산(眞山), 칭우(秤隅), 칭정(秤井)
  • 양정면(楊井面)
    • 관할 리 : 석양(石陽), 간성(澗星), 고잔(古棧), 당정(唐井), 대내(大內), 문정(文井), 삼합(三合), 석정(石井), 성현(城峴), 신대(新大), 신리(新梨), 신허(新許), 양지(陽地), 용해(龍海), 음양(陰陽), 입석(立石), 정암(亭巖), 한교(寒橋)
    • 1914년 양무대면(楊武垈面)과 신제면(新濟面), 동정면(東井面)을 병합하여 만들어졌다.
    • 북쪽 곤양강을 경계로 대동군과 맞닿고, 면 북서쪽 끄트머리의 삼합리는 대동강에 접한다. 북한 행정구역 상 강남군 소재지.
  • 해압면(海鴨面)
    • 관할 리 : 요포(瑤浦), 간곡(間谷), 광석(廣石), 광성(廣城), 동곡(東谷), 동천(東川), 매현(梅峴), 목제(睦濟), 삼가(三街), 삼성(三姓), 상신흥(上新興), 성하련(城下蓮), 신갈(新葛), 신안포(新安浦), 안현(鞍峴), 애곡(崖谷), 영삼(永三), 용산(龍山), 유양(柳陽), 이안(二安), 인암(印巖), 죽산(竹山), 포류(浦柳), 하석담(下石潭), 하신흥(下新興), 화호(花虎), 황산(黃山), 황촌(黃村), 흥문(興文)
    • 서쪽으로 대동강을 접하고 있다. 부근에서는 손꼽히게 높은 해압산(332m)이 솟아있다.

3.2. 구 상원군 지역

  • 상원면(祥原面)
    • 관할 리 : 신읍(新邑), 구거비(求去非), 금충(金忠), 내입암(內立巖), 대정(大井), 덕령(德嶺), 문산(文山), 법화(法樺), 상귀동(上貴洞), 성산(城山), 외입암(外立巖), 장전(長田), 장항(獐項), 중귀동(中貴洞), 직현(直峴), 초귀동(初貴洞), 화봉(樺峰), 흑우(黑隅), 흥천(興天)
    • 1929년 하도면을 흡수하였다(금충리·대정리·문산리·법화리·성산리·장전리·흥천리).
    • 북한 행정구역상 상원군 소재지. 면소재지에서 3km 떨어진 흑우리에 검은모루동굴 구석기 유적지가 있다.
  • 수산면(水山面)
    • 관할 리 : 노전(蘆田), 건천(乾川), 다목(多木), 동구(洞口), 병운(竝雲), 성재(成才), 용천(龍泉), 은구(銀口), 화전(花田)
  • 천곡면(天谷面)
    • 관할 리 : 용곡(龍谷), 각금(覺今), 개금(開金), 귀일(貴逸), 대흥(大興), 덕현(德峴), 번동(繁洞), 이봉(二峰), 이암(鯉巖), 전산(錢山), 초봉(草峰), 토교(土橋), 화암(禾巖), 휴암(鵂巖)
  • 풍동면(楓洞面)
    • 관할 리 : 능성(綾城), 가수(佳水), 가암(加巖), 고령(高靈), 고암(古巖), 구읍(舊邑), 남양(南陽), 내동(內洞), 노동(蘆洞), 대동(大同), 덕동(德洞), 덕암(德巖), 벽하(碧下), 복정(福井), 영천(靈泉), 용강(龍江), 이현(泥峴), 지동(智洞), 풍정(楓井)
    • 1929년 상도면을 편입하였다(가수리·고암리·구읍리·내동리·대동리·덕수리·벽하리·용강리·이현리·지동리).

4. 출신 인물



[1] 2008년 기준 북한 인구조사인구주택총조사 통계[2] 423호 중화선거구 한응수, 24호 채송선거구 리종혁[3] 참고로 석박리의 박(礡)은 널리 덮힐 박이라는 벽자로, 한글 윈도의 확장한자에서도 한참을 검색해야 겨우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