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14:44:15

토산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인민위
사리원시
송림시 }}}
곡산군 금천군 린산군 봉산군 상원군
서흥군 수안군 승호군 신계군 신평군
연산군 연탄군 은파군 중화군 토산군
평산군 황주군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파일:북한 국기.svg 황해북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fff> 토산군
兎山郡
Thosan County
}}}
읍소재지 토산읍
지역 해서
면적
행정구역 1읍 17리
시간대 UTC+9
인구 62,727명
인구밀도 명/㎢
군당위원장 파일:wpk.jpg 미상
인민위원장 파일:wpk.jpg 미상
1. 개요2. 역사3. 행정구역
3.1. 현행 행정구역3.2. 구한말 행정구역
4.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황해북도 남동부에 있는 군. 동쪽으로 강원도 철원군에, 서쪽으로 금천군에, 남쪽으로 장풍군에, 북쪽으로 신계군에 접해 있다.

2. 역사

파일:osaham.png

고구려시대 때에 오사함달현(烏斯含達縣, 삼국사기), 오사합달현(烏斯蛤達縣) 또는 조사함달현(鳥斯含達縣, 삼국사절요)이라고 불렸다. 고대 한국어에서 토끼를 '烏斯含(오사함)[1]'이라 표기하였으며, 달은 산을 뜻하는 고구려어로 보고 있다. 달(達)은 고구려에서 높다··고귀하다 등의 뜻을 가지는 말이었다 제주도에 있는 에 많이 붙는 이름인 '달·ᄃᆞᆯ'도 높다 또는 산이라는 뜻의 고대 한국어 달(達)과 같은 계열의 말로 추정된다. 현대 한국어의 양달, 응달의 달이 이에 해당한다. 오사함달을 한자로 훈차한 것이 토산(兎山)이다. 이 '오사함'이라는 말은 다른 몇몇 고대 한국어 어휘와 마찬가지로 일본어로 토끼를 의미하는 '우사기(ウサギ)'와 음운이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어-일본어 동계론이나 반도일본어설의 근거로도 제시된다. 다만 오사함의 오(烏)자가 조(鳥)자의 오기가 맞다면 당대 두시거머[tusikəmə]로 읽혔을 가능성도 있으며,[2][3] 이 경우 '우사기'와는 음운이 달라진다. 오히려 중세 한국어 *투ᄭᅵ〮 톳〮기〮와 더 가깝다.

신라가 차지한 후 신라 경덕왕 때인 757년에 오사함을 훈차해 지금의 지명인 토산군으로 고쳤다. 의미는 이전과 같이 토끼 산이라는 의미이다.

940년(고려 태조 23년)에 토산현으로 격하되었으며며 991년(고려 성종 10년)에 별호를 '월성(月城)'으로 정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경기 장단현에 속한 현으로, 1062년(고려 문종 16)에 개성부에 속한 현이 되어 1413년까지 이어졌다. 고려말기인 13 년에 경기를 대폭 확장하며 좌·우도로 분도할 때에 경기좌도에 속했다.

조선초기인 1413년에 경기좌·우도를 합친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편입되었다. 이후에 남쪽 경계인 수룡산(秀龍山)에 설치된 백치진(白峙鎭)이 우봉군을 거쳐 개성부에 1787년에 편입되었다. 1895년에 23부제가 시행되며 개성부 토산군으로, 1896년에 13도제가 시행되며 황해도 토산군이 되었다. 1914년에 부군면 통폐합으로 토산군이 금천군에 편입되었고, 읍내면과 다치면(多峙面)이 '월성면(月城面)'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1938년 숙인면(宿仁面)과 통합돼 토산면이 됐다. 이북 5도 체계에서는 금천군의 일부 지역으로 본다.

분단 이후 북한에 속하게 되었고, 1952년에 북한이 행정구역 개편을 하면서 금천군 토산면·외류면·서천면·합탄면·구이면 일대를 분리하여 재설치했다. 다만, 토산면의 임진강 이동 지역은 철원군에 편입되었다.

3. 행정구역

3.1. 현행 행정구역

총 1읍 17리로 이루어져있다.
  • 관할 읍: 토산읍
  • 관할 리: 양사리, 용암리, 월성리, 북포리, 안봉리, 황강리, 매봉리, 하남리, 봉불리, 수합리, 합탄리, 문성리, 미당리, 송세리, 백화리, 송천리, 석봉리

3.2. 구한말 행정구역

4. 출신 인물



[1] 烏가 鳥의 오자일 가능성이 있다. 대표적으로 계림유사에 '兔曰烏子蓋'(토끼를 오사개라고 일컫는다)'라 적혔다.[2] 임병준의 고구려말 어휘 일람(2000)[3] 조(鳥)자의 중고한어 발음은 tewX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