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31 00:31:09

근심할 단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c1d1f>
, 11획
총 획수
<colbgcolor=#fff,#1c1d1f>
14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タン
일본어 훈독
-
𰑁 (⿰忄专)
표준 중국어
tuá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慱은 '근심할 단'이라는 한자로, '근심하다'를 뜻한다.

2. 상세

뜻을 나타내는 (마음 심)과 소리를 나타내는 (오로지 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617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PJII(心十戈戈)로 입력한다.

인명용 한자에 등록되어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근심할 감)
  • //𡞦[⿰女㝁]/𢞚[⿱耿心](근심할 경)
  • /(근심할 관)
  • 𢞏[⿰忄宮]/𢖸[⿰忄弓](근심할 궁)
  • /(근심할 근)
  • 𢞤[⿱䘐心](근심할 녁)
  • /𢞔[⿱弱心](근심할 닉)
  • (근심할 도)
  • (근심할 돈)
  • (근심할 동)
  • 𢣻[⿰忄閭](근심할 려)
  • /(근심할 렬)
  • (근심할/아름다울 류)
  • //𢟤[⿱⿰未攵⿸厂心]/𢛮[⿱牧心](근심할 리)
  • (근심할 린)
  • /(근심할 민)
  • /𢣑[⿱辡心](근심할 변)
  • (근심할 병)
  • (근심할 상)
  • (근심할 석)
  • 𢞜[⿰忄屑](근심할 설)
  • (근심 수)
  • /𢗋[⿰忄勻](근심할 순)
  • 𢘊[⿰忄申](근심할 신)
  • (병/근심할 양)
  • 𢢓[⿰忄雍](근심할 옹)
  • (근심 우)
  • (근심할 우)
  • (근심할 운)
  • /(근심할 유)
  • /𤶛[⿸疒邑](근심할 읍)
  • (근심할 잠)
  • /(근심할 조)
  • /(근심할 주)
  • (근심할 줄)
  • 𢣿[⿰忄慮](근심할 처)
  • //𨲞[⿰镸剔]/(근심할 척)
  • (근심할 철)
  • /(근심할 초)
  • 𠇘[⿰亻戉](근심할 촉)
  • 𣢰[⿰尗欠](근심할 축)
  • /𢥞[⿰忄蟲](근심할 충)
  • (근심할 홀)
  • (근심 환)
  • /(근심할 흔)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명주 견)
  • (경단 단)[1]
  • 𪅘[⿰鳥專](꼬리짧은새 단)[2]
  • (둥글/상여 단)
  • (뭉칠 단)
  • (이슬많을 단)
  • (쇳덩이 단)
  • 𧐕[⿰虫專](전어 단)
  • 𤍿[⿰火專](말릴 박)[3]
  • (움직일 선)
  • 𡦕[⿰子專](부을 이)
  • (같을 전)
  • (구를 전)
  • (나라이름 전)
  • (벽돌 전)
  • (벽돌 전, 사람이름 단)
  • (오로지 전)[4]
  • (옥이름 전)
  • 𡭍[⿰⿸𠂆巴專](작은잔 전)
  • 𡭐[⿰巵專](작은잔 전/추)
  • (저민고기/녹로대 전)
  • (전어 전)
  • (전할 전)
  • (해움직일 전)
  • 𨄔[⿰𧾷專](장딴지 천)[5]
  • 𪩍[⿰山專](전)
  • 𫧤[⿰十專]
  • 𪫖[⿰彳專]
  • 𭉾[⿰口專]
  • 𣩘[⿰歹專]
  • 𭷰[⿰牛專]
  • 𥛥[⿰示專]
  • 𥡵[⿰禾專]
  • 𮪴[⿰骨專]

[1] (경단 단)의 동자[2] (꼬리짧은새 단)의 동자[3] (말릴 박)의 동자[4] (오로지 전)의 동자[5] (장딴지 천)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