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8-08 08:05:28

눈부릅뜰 우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8획
미배정
특급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이체자5. 유의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

盱는 '눈부릅뜰 우'라는 한자로, '눈을 부릅뜨다', '쳐다보다'를 뜻한다. 그래서 '쳐다볼 우'라고도 한다.

2. 상세

뜻을 나타내는 (입 구)와 소리를 나타내는 (어조사 우)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76F1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BUMD(月山一木)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이체자

  • 𥃳[⿰目亐](U+250F3)
  • 𥅚[⿰目夸](U+2515A)

5. 유의자

  • 눈을 부릅뜨다
    • 𥅄[⿱奴目](눈부릅뜰 노)
    • (눈부릅뜰 옥)
  • 쳐다보다
    • (쳐다볼 망)
    • (쳐다볼 삼)
    • (쳐다볼 앙)
    • (쳐다볼 천)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걸터앉을 오/우, 가랑이 고)
  • (더러울 오)
  • (활겨눌 오)
  • (가죽 우/후)
  • (그리마 우)
  • 𢖳[⿰忄于](근심스러울 우)
  • (당길/지휘할 우)
  • (두레박 우)[1]
  • (마실 우)
  • (바리때 우)
  • (사발 우)
  • (소매큰옷 우)
  • (속일 우)
  • (얽힐 우)
  • (예로써사귈 우)
  • (오목할 우)
  • (옥돌 우)
  • (울대뼈 우)
  • (이삭패지않을 우)
  • (탄식할 우)
  • (해뜰 우)
  • (선비 유)[2]
  • (마을이름 후)
  • 𣦿[⿰歹于](썩을 후)
  • 𫡚[⿰𠂤于]
  • 𫤿[⿰冫于]
  • 𫧙[⿰⿷匚烏于]
  • 𭖂[⿰山于]
  • 𫯣[⿰夺于]
  • 𰑇[⿰必于]
  • 𰖨[⿰智于]
  • 𤿍[⿰皮于]
  • 𨊱[⿰車于]
  • 𫎏[⿰貝于]
  • 𱃡[⿰𩙿于]
  • 𬹥[⿰鼎于]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𦰲[⿱艹盱](뱀도랏 후)

[1] 𦈣(두레박 우)의 동자[2] (선비 유)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