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00:08:42

자손 윤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9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イン
일본어 훈독
たね
-
표준 중국어
yì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

1. 개요

胤은 '자손 윤'이라는 한자로, '자손', '잇다'를 뜻한다. 그래서 '이을 윤'이라고도 한다. 인명에는 종종 들어가지만 단어에 자주 쓰이지는 않는 한자로 후윤(後胤) 정도뿐이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80E4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LVBU(中女月山)로 입력한다.

자형은 대략 (여덟 팔) + (작을 요) + (육달월)로, 초기 금문에서는 幺에 장식하는 선이 몇 개 붙어 있는 형태로 나온다. 설문해자에서는 月은 혈육, 八은 길게 늘어진 모양, 幺(실뭉치)는 거듭 겹쳐진 모양으로 이 셋이 합쳐져 자손이 이어져간다는 의미를 나타낸다고 서술했다.

단어에는 자주 사용되지 않지만 인명용으로는 많이 쓰인다. 근대로 올수록 단어에 잘 안 쓰인 원인으로는 청나라 옹정제의 휘(아이신기오로 인전, 애신각라윤진, 愛新覺羅胤禛)에 쓰여 피휘되었던 점 또한 있다.

3. 용례

3.1. 인명

나무위키에 등재된 사례 이외에도 역사적 인물들의 인명에 셀 수 없이 많이 쓰였다.

4. 유의자

  • 잇다
    • (이을 계)
    • (이을 락)
    • (이을 련, 잇닿을 련)
    • (이을 속)
    • (이을 승)
    • (이을 접)
  • 자손
    • (자손 손)
    • (후손 예)
    • (자손 주)

5. 상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