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3 16:50:28

죽을 훙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7획
미배정
준특급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し-ぬ, みまか-る, みう-す
-
표준 중국어
hō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8. 여담

[clearfix]

1. 개요

薨은 '죽을 훙'이라는 한자로, '죽다', '훙서(薨逝)' 등을 뜻한다. 그래서 '훙서 훙'이라고도 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85A8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TWLP(廿田中心)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초두머리)와 음을 나타내는 (꿈 몽)의 생략형이 (죽을 사)를 바탕으로 합쳐진 형성자이다.

죽음 중에서도 제후의 죽음을 뜻하는 한자다. 황제의 죽음을 뜻하는 (무너질 붕) 보다 한 단계 격이 낮은 표현이다.
諸侯 曰 薨
제후는 훙이라고 한다.
예기』, 「곡례(曲禮) 하(下)」

훙 자 뒤에 (갈 거)나 (갈 서)를 붙이기도 한다. 그래서 황족의 죽음을 훙거나 훙서라고 쓴다. 간혹 3품 이상의 죽음을 뜻하기도 한다. 만엽집이나 일본서기를 비롯한 일본 고대 문헌에서는 '몸'을 뜻하는 미([ruby(身,ruby=み)])와 '없어지다'를 뜻하는 우스([ruby(失,ruby=う)]す)를 붙여서 미우스([ruby(薨,ruby=みう)]す)라고 훈독하는데 실제로는 활용을 해서 미우세누([ruby(薨,ruby=みうせ)]ぬ)라고 읽는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3.6.1. 훈독

3.6.2. 음독

3.7. 중국어

3.8. 기타

4. 유의자

  • (죽을 경)
  • 𣩰[⿰歹翟](죽을 도)
  • 歿(죽을 몰)
  • 𣨞[⿰歹奉](죽을 봉)
  • (죽을 사)
  • 𣩄[⿰歹盍]/𣩱[⿰歹蓋](죽을 애)
  • (앓을 업, 죽을 엄)
  • (죽을 에)
  • (죽을 운)
  • (죽을 조)
  • 𤯚[⿱不生](죽을 종/충)
  • (죽을 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𥕗[⿳艹罒⿱冖石](돌떨어지는소리 굉)
  • 𧄼[⿳艹罒⿱冖登](어리둥절한모양 등)
  • (힘쓸 망)
  • 𧀧[⿳艹罒⿱冖夌](갓깨어일어날 맹)
  • (용마루/싹 맹)
  • (눈에놀이/업신여길 멸)
  • 𦸑[⿳艹罒⿱冖戈](업신여길 멸)[1]
  • 𧂝(짓무를 멸)[2]
  • /𦴋[⿳艹罒⿱冖又]/𧁌[⿳艹罒⿱冖⿰亻㐁](꿈 몽)
  • 𪅇[⿳艹罒⿱冖鳥](비둘기 몽)
  • (어두울 몽, 먼눈 맹)
  • 𥌱[⿳艹罒⿱冖眠](잠꼬대할 몽)
  • (터덜터덜가는모양 몽)
  • 𧄯[⿳艹罒⿱冖⿰爿吾](잠깰 오)[3]
  • 𦒃[⿳艹罒⿱冖羽](새날 횡)[4]
  • 𧀆[⿳艹罒⿱冖豆](몽)
  • 𣊔[⿳艹罒⿱冖日]
  • 𫉐[⿳艹罒⿱冖方]
  • 𦾋[⿳艹罒⿱冖舛]
  • 𦿛[⿳艹罒⿱冖伯]
  • 𧁣[⿳艹罒⿱冖果]
  • 𱾺[⿳艹罒⿱冖⿰爿未]
  • 𮒽[⿳艹罒⿱冖悟]
  • 𮓏[⿳艹罒⿱冖惺]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𠐿[⿰亻薨](어두울 홍)
  • 𤃫[⿰氵薨](물결소리 횡)
  • 𪈘[⿰薨鳥](물새이름 횡)
  • 𩙛[⿺風薨](큰바람 횡)
  • 𩖎[⿰薨頁](어두울 훙)

8. 여담

음이 '훙'인 한자는 사실상 이 한자가 유일하다. (어두울 훙)이라는 한자도 있지만, 용례를 찾아볼 수가 없다.

[1] (업신여길 멸)의 동자[2] (짓무를 멸)의 와자[3] (잠깰 오)의 동자[4] (새날 횡)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