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5 09:13:21

에서 넘어옴
짐실을 타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3획
미배정
일본어 음독
ダ,
일본어 훈독
の-せる
표준 중국어
duò, tuó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馱는 '짐실을 타'라는 한자로, '짐을 싣다'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99B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SFK(尸火大)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말 마)와 소리를 나타내는 (큰 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일본의 경우 (큰 대)가 아닌 (클 태)를 써서 오히려 획수가 하나 더 많은 駄를 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3.7. 일본어

  • 일본어 - 일본어권에서 뭔가 싣는다는 의미 외에 '변변치 않은'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접두어로도 쓰인다. 그래서 일본어에서 이 한자가 들어가는 낱말은 부정적인 경우가 많다. 한국어의 접두사 '개-'와 비슷한 뉘앙스라고 보면 된다.
    • 駄作 - 졸작이라는 뜻이다.
    • 無駄 - 소용없다, 어림없다라는 뜻. 무다무다가 여기서 유래되었다.
    • 駄目 - '안돼'라는 뜻. 어원은 바둑의 공배. 보통은 가타카나 ダメ로 표현한다.
    • 駄菓子 - 막과자.
    • 下駄 - 일본식 나막신.

4. 유의자

  • (실을 재)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𪐝[⿰黑大](검을 대)
  • 𡚻[⿰女大](누이 대)
  • 𠯈[⿰口大](머금을 대)
  • (새이름 대/제/태)
  • (섬이름 대)
  • (일 대/태)
  • (줏대 대)
  • (견줄 비)[1]
  • 𣧂(고달플 체)
  • (나무우뚝설 체, 키 타)
  • (차꼬/없앨 체, 비녀장 대)
  • 𥝛[⿰禾大](가을 추)[2]
  • 𦨐[⿰舟大](배다닐 태)
  • (사치할 태, 익숙해질 세)
  • 𢁖[⿰巾大](굵은베 패)
  • 𢪂[⿰扌大](더듬어찾을 해)
  • (대)
  • 𫥰[⿰刀大]
  • 𡉑[⿰土大]
  • 𫸥[⿰弓大]
  • 𫔺[⿰⻖大]
  • 𭖯[⿰岳大]
  • 𫻨[⿰戈大]
  • 𬌚[⿰牛大]
  • 𭥏[⿰日大]
  • 𪼳[⿰瓜大]
  • 𭾚[⿰目大]
  • 𮀋[⿰石大]
  • 𮕨[⿰衤大]
  • 𬚓[⿰耳大]
  • 𮌙[⿰肩大]
  • 𮗹[⿰言大]
  • 𬵃[⿰魚大]

[1] (견줄 비)의 고자[2] (가을 추)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