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가짜 노동(Pseudowork)이란 의전, 불필요한 결재, 양식 꾸밈, 서류 작업 및 회의 등의 허례허식, 허송세월, 일하는 척 등의 노동처럼 보이지만 의미 없는 행위로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말한다. 데니스 뇌르마르크, 아네르스 포그 옌센이 저술한 『가짜 노동: 스스로 만드는 번아웃의 세계』에서 제안된 개념이다.해당 출처에 따르면 가짜 노동은 쓸모가 없고 의미가 없는 노동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현대인의 대부분이 가짜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가짜 노동이 양산되는 원인은 돈과 권력은 모을수록 돈과 권력을 더더욱 끌어당기는 힘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비합리적이고 비효율적인 조직이라도 규모의 경제로 없던 효율과 힘이 생겨나고, 보조금을 빨아먹는 등 비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는 원동력이 생겨난다. #
다만 가짜 노동과 진짜 노동의 경계는 생각보다 불분명하다. 또한 특정 업무에 대해 이해가 미비한 사람들이 해당 업무에 대해 부적절하게 가짜 노동으로 규정짓는 경우도 존재한다. #
파킨슨의 법칙에 따르면 공무원의 수는 본질적인 업무량과 관계 없이 꾸준히 증가한다. 신입이 늘어날수록 본질적 업무와는 관계가 없는 조직 관리 업무, 즉 부하에 대해 지시하고 통제하고 업무를 보고받는 등의 업무가 늘어나 전체 업무량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2. 사례
2.1.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직장인은 2024년 기준 하루 평균 두 시간 반을 가짜 노동으로 허비하고 있다. #
- 점심시간이 실제 근무 시간 대비 불필요하게 긴 조직들이 많다. #
- 대한민국 공직사회는 가짜 노동으로 악명 높다.[출처필요] 관료주의, 구조적 비효율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며, 이로 인해 공직을 관두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
3. 해결 방안
- 화장실을 갈 때 시간을 체크하는 등 근무 시간 도중에 엉뚱한 짓을 하지 않도록 철저한 근태 관리를 실시한다. #
- 직장인이 외부 음식점으로 이동하고, 메뉴를 고르고, 음식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며 점심시간에 시간과 돈을 낭비하지 않도록 영양균형이 좋은 사내식당 식단 혹은 도시락, 식사대용품 등을 지급한다.
- 회사 내부용 프레젠테이션의 꾸미기에 과도한 시간과 노력을 할애하지 않는다. 공용 템플릿을 활용한다.
- 상명하복적이고 관료적인 사내 문화를 개선하여 비효율적이고 불합리한 관행을 타파하는 동시에, 효율성이라는 미명 하에 조직원들의 최소한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지 끊임없이 반성 및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