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164194> | }}} |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4097><colcolor=#fff> 지방공기업 | ||
경기주택도시공사 | 경기관광공사 | 경기평택항만공사 | 경기교통공사 | |||
지방출연기관 | 경기도미래세대재단 |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 경기도수원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 | 경기도농수산진흥원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 경기콘텐츠진흥원 | 경기테크노파크 | 경기대진테크노파크 | 경기복지재단 | 한국도자재단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경기아트센터 | 경기연구원 | 경기신용보증재단 | 경기문화재단 | 경기도의료원 | 경기도일자리재단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 경기도사회서비스원 |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 경기도사회적경제원 | ||
지방출자기관 | 킨텍스 | 코리아경기도 |
재단법인 경기도미래세대재단 Gyeonggi-do Future Generation Foundation | |
| |
<colbgcolor=#00BED6><colcolor=#fff> 설립일 | 2001년 7월 9일 |
기관장 | 김현삼 |
주무부처 | 경기도청 |
기업형태 | 기타출연기관 |
직원수 | 178명[1] 2025년 9월 기준 |
슬로건 | 청소년의 성장, 청년의 기회 |
설립목적 | 청년의 권익증진 및 발전과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 및 역량 개발 |
소재지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1, 경기도청 옛청사 신관 1층 |
|
경기도미래세대재단 홍보영상 |
1. 개요
경기도미래세대재단 설립 및 운영 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청년의 권익증진 및 발전과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 및 역량 개발을 위하여 경기도미래세대재단을 설립하고 그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조(설립) 경기도미래세대재단(이하 “재단”이라 한다)은 「민법」제32조에 따른 재단법인으로 한다. |
2. 연혁
- 2025년 1월 : 경기도미래세대재단 청년본부 공식 출범
- 2024년 12월 : 경기도청소년수련원 8회 연속 청소년수련시설 ‘최우수시설’ 선정
- 2024년 7월 : 「경기도미래세대재단 설립 및 운영 조례」 경기도의회 제376회 임시회 본회의 통과
- 2016년 1월 : 경기도청소년야영장 통합 운영
- 2001년 7월 : 경기도청소년수련원 개원
3. 조직도
- 1실 1본부 1원 14팀 1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2025년 9월 기준
4. 주요사업
경기도의 청년과 청소년 정책을 총괄하며, 역량 강화와 일자리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을 기획·추진하고 있다.4.1. 청년사업
- 경기청년 갭이어 프로그램
- 경기청년 사다리 프로그램
- 미래세대 아카데미
-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 경기도 청년 면접수당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 경기도 청년참여기구
- 청년의 날 행사 운영
- 청년공동체 연구지원
- 경기 청년공간 활성화 사업
- 경기도 고립·은둔청년 지원 사업
- 경계선지능인청년 지원 사업
- 경기도 송파학사 운영[2]
4.2. 청소년사업
- 찾아가는 독도 디지털체험관
- 가족과 함께하는 독도캠프
- 약물 오남용 예방사업
- 청소년시설 종사자캠프
- GG Youth Times
- 청소년 운영위원회
- 청소년 위탁수련활동
- 캠핑장 및 야영장 운영
- 국제교류 : 일본 아이치현, 중국 광둥성, 장쑤성 교류 및 항일 유적지 탐방
- 환경사업 : 생태 전환 교육에 발맞춘 자연 공존, 지속가능한 체험환경 교육 지원
4.2.1. 기관 위탁운영
- 경기도가정밖청소년지원센터
- 경기남부청소년성문화센터
- 경기북부청소년성문화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