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1 00:46:50

경북고등학교/시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북고등학교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1. 경상 감영(1899~1907)2. 대구향교(1907~1916)3. 대봉동 교사(1917~1954, 1959~1984)4. 대명동 교사(1954~1958)5. 황금동 교사(1985~현재)
5.1. 교문5.2. 2.28 기념 공원과 호국 동산5.3. 역사관5.4. 동창회관5.5. 강당(체육관)5.6. 교사
5.6.1. 본관5.6.2. 남관5.6.3. 북관5.6.4. 교육공학관
5.7. 도서관(청운재)5.8. 고청원5.9. 운동장5.10. 야구장5.11. 양궁장

1. 경상 감영(1899~1907)

경상 감영 북문 안 관아터에 달성학교를 설립했다.

2. 대구향교(1907~1916)

파일:1916년 대구향교 명륜당.jpg
파일:대구향교 명륜당.jpg
현 대구향교 명륜당. 대구고보가 사용했던 건물과 위치는 다르다.

협성학교 9년, 대구고보 1년동안 대구향교 명륜당을 교사로 삼았다. 현재 향교가 소재하고 있는 남산동으로 이건하기 전 교동에 향교가 있던 시절에 사용했다. 참고로 향교는 1932년 일제에 의해 남산동으로 이건된다.

3. 대봉동 교사(1917~1954, 1959~1984)

파일:경북고 대봉동 신축교사.jpg
1917년 신축 당시의 모습.
파일:경북고 대봉동 교사 수영장.jpg
파일:경북고 대봉동 본관.jpg
광복 후 대봉동 교사
파일:대봉도서관.jpg

68년동안 경북중고등학교가 있던 교사. 현재는 본관자리에는 대구광역시립 대봉도서관, 나머지 건물을 허문 곳과 운동장 자리에는 청운맨션이 자리하고 있다.[1]

4. 대명동 교사(1954~1958)

파일:1956-04-00.01cape.jpg
1956년 舊 대명동 교사.
파일:3PiPEeO.jpg
대구고등학교가 사용할 때 교사

1954년부터 경북고등학교가 사용하였으나 1958년 개교한 대구고등학교가 1959년 대명동 교사로 들어옴으로써 경북고등학교는 다시 대봉동 교사로 돌아가게 된다.

5. 황금동 교사(1985~현재)

파일:d1236148-f96e-4f.jpg
1985년 황금동 교사 전경
파일:1564578-1.jpg
2006년 황금동 교사 전경
파일:경북고 평면도.png
평면도

학교 규모가 꽤 크다. 대구광역시 내에서 경북고등학교보다 학교 부지가 넓은 고등학교는 대륜고등학교대구자연과학고등학교 뿐인데, 대륜고는 중고등학교가 붙어있고 대자고는 농업특성화고 특성상 논밭이 매우 넓다는 점을 감안하면, 고등학교 단일 부지로는 가장 넓다고 봐도 무방하다. 일반계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최고 수준이다. 2010년대 초ㆍ중반까지 인근 대구성동초등학교에서 매년 봄 체육대회를 경북고등학교 운동장을 빌려쓸 정도로 넓었다. 당시 대구성동초등학교의 총 학생 수가 무려 1,500여 명을 넘었던 걸 생각해 보면 정말 어마무시하다.(학부모들 수까지 고려하면 2,000여 명은 족히 뛰어넘는다.)[2] 다만 동창회관을 개보수하여 교육청이 쓰고있고, 테니스장을 없앤 자리에 황금유치원을 지었으며, 학교 담벼락을 허물고 공원화하면서, 과거에 비해선 좁아진 편이다.

그리고 건물과 학교 부대 시설도 나쁘지 않다.[3] 1990년대까지는 매우 좋은 편에 속했으며, 예로 들어 그 당시 대부분의 공립학교들이 선풍기만 갖추고 있을 때, 이 학교는 교실에 에어컨을 비치해 두고 있었다.[4]

지은 지 약 30년 정도(2016년 기준) 밖에 되지 않아 그렇게 낡지는 않았지만, 석면 천장, 냉난방, 화장실 변기 등의 노후설비가 남아 있다. 다만 이에 대한 개선 공사에 관련하여 대구교육청에서 공고를 냈다. 이에 석면을 제거했고, 노후화된 화장실 개선공사를 완성했다.

5.1. 교문

파일:521929.jpg
구 정문(1985~2012). 현재는 헐었다.
파일:Screenshot_2016-10-16-13-53-01-1.png
2016년 1월 정문.
파일:Kb22.jpg
2023년 6월 정문.

원래 2012년까지는 크고 아름다운 교문이 있었으나, 담장 허물기 사업 및 공원화의 일환으로 교문, 담장, 그리고 경비실을 허물었다. 그 후 교문이 있던 자리에 교명비를 세웠고, 경비실은 교명비 옆에 새로 지었다. 2016년 5월, 개교 117주년 (대구고보 기준 100주년) 기념비[5]를 교명비 뒤에 세우고 그 뒤에 소나무를 심었다.

교문이 있었을 당시 담벼락이 높아서 학주의 단속을 피해 타고 넘어가는 학생들이 있었다.

2023년 공사를 통해 운동장과 인도 사이에 울타리를 설치하였다

5.2. 2.28 기념 공원과 호국 동산

파일:경북고 기념공원.jpg

파일:경북고 2•28기념공원.jpg

파일:경북고 기념공원2.jpg

세 번째 사진(가장 아래)은 6.25 추모비 사진이다.

2012년 원래 있던 담장을 허물고 2.28 기념 공원이라는 작은 공원을 만들었다. 그 전까지 학교 구석에 방치되어 있던 2.28 기념비와 기념조형물을 그 곳에 비치하고, 돌로 만든 의자와 탁자를 두었다.

그 후 2016년에는 2.28 기념비 왼쪽에 높은 나무를 하나 더 심었다. 또한 우측으로 2.28 기념 공원과 같은 사이즈와 모양의 공원을 만들어 6.25 전몰 학도병 추모비를 세우고, 의자와 탁자를 추가로 두었다. 이름은 6.25 전몰 학도병 추모 공원으로 하였다. 그리고 공원 뒤로 작은 잔디언덕을 만들었는데, 이름을 호국 동산으로 하였다.

졸업식 하는 날이면 친구들 혹은 교사나 가족들이 모여 이 곳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 사람도 볼 수 있고, 평상시에도 야자 끝나고 버스를 기다리면서 이 공원에서 노는 학생들도 있다. 밤에는 조명도 켜두고 있다.

5.3. 역사관

파일:경북고 역사관.jpg
경북고 출신 건설사 사장이 기부했으며, 2003년에 완공했다. 건물모양이 매우 특이하지만 학교 분위기와 잘 어울리는 편이다. 역사관 안에는 모든 졸업생의 이름[6]과 유명동문을 소개하는 글이 있으며, 연도별 역사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야구, 검도, 양궁대회에서 딴 트로피가 보관되어 있다. 학교 역사관치고 상당히 잘 되어 있다. 옛날 교복의 디자인이나 2•28 민주화운동, 전 졸업생의 명단까지 한 번씩 볼 만한 장소이다. 옛날에는 신입생을 데리고 한 번씩 꼭 가서 구경을 시켰지만, 현재는 학생들끼리 자발적으로 가서 구경을 하고 있다. 물론 졸업할 때까지 한 번도 안 가본 학생들도 있고.

또한 역사관 안에는 경북고 출신인 노태우 前 대통령을 기념하기 위한 공간이 별도로 조성되어 있다. 지금은 고인이 된 노 전 대통령의 학생 시절 모습과 군 시절 사진, 임기 중의 연설 장면 등을 모아놓았다.

5.4. 동창회관

파일:경북고등학교 동창회관.png
개보수 전 동창회관(1985~2015)
파일:d82sj19q.png
개보수 후 교육청이 사용하는 중이다.

재학생들에게는 가장 존재감 없는 건물이다. 존재감도 없고 방치되어 있어 을씨년스러운 분위기를 풍기다가 2015년 개보수하여 교육청에서 사용하고 있다. 현재는 역사관이 동창회관 역할도 같이 하고 있다.
이곳과 통하는 뒷길은 현재 막혀있다.[7]

5.5. 강당(체육관)

파일:kbhsgd.jpg

파일:Kb17.jpg

파일:Kb2.jpg

교문 입구에 있으며, 강당이 꽤 넓은 편이다. 강당이 상당히 넓은 축에 속하는 정화여고대륜고와 비교하면 넓지 않지만, 오성고경신고를 생각해 보면 꽤 넓다.

1층은 검도 연습실, 댄스부 연습실 등이 있다. 2층에는 다용도 체육시설, 탁구장이 있으며, 3층에는 방송시설, 관중석,[8] XIST 연습실이 위치한다[9]. 당연하지만 입학식, 경맥제(재학생), 졸업식 등과 같은 큰 행사 대부분은 강당에서 열린다. 2000년에 개최했던 도전 골든벨도 경북고 강당에서 열렸다.

경북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도 강당을 많이 활용하는데, 대통령•지방자치단체장•국회의원 및 지역의원 선거개표를 이 곳에서 한다. 덕분에 선거방송 할 때 심심찮게 강당이 방송을 타기도 한다. 이외에도 저녁에 배드민턴 동호회가 이 곳에서 배드민턴을 치며, 동도중 가요제가 이 곳에서 열린다.

각종 대회(특히 검도대회)도 이 곳에서 개최될 때가 잦은데, 특히 2003년 대구 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 종목 중 일부가 여기서 열렸다.

5.6. 교사

파일:경북고 평면도 확대.png
크게 본관, 남관, 북관, 그리고 교육공학관, 도서관, 체육관으로 총 6개의 건물로 나뉘어져 있다. 가장 남쪽에 가로로 길게 위치한 건물이 남관이고, 남관의 북서쪽에 본관이 붙어 있다. 그리고 남관의 북쪽에는 북관이, 북관의 북쪽에는 교육공학관이 위치하고 있다. 교육공학관 옆으로 내려가면 도서관 그 밑으로 더 내려가면 체육관(강당)이 있다.

참고로 북관과 교육공학관 사이의 길은 [10] 경사가 상당하다. 3학년 건물인 북관 2층 출입문으로 연결되는데 북관 1층의 높이가 남관 기준 2~3층에 해당하니 강당에서 출발한다고 가정하면 출발점과 도착점의 높이 차이가 아파트 5층 정도에 해당한다.

남관-북관-교육공학관은 서로 별개의 건물이긴 하지만 서로 통로를 통해 이어져 있어 王자 모양을 이루고 있는데, 심지어 이 통로들은 1층이 텅 비어 있는 구름다리 형태이다. 한편 본관과 남관은 모든 층이 복도로 연결되어 있어 사실상 하나의 건물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5.6.1. 본관

파일:Kb1.jpg

본관은 4층까지 있으며, 행정실, 교장실[11], 교무실(부장교사나 비담임 교사들이 근무), 보건실, 체육실(보통 체육실은 강당에 있지만, 경북고는 특이하게 체육실이 덕화중처럼 본관 내부에 있다.), 회의실, 교과교실[12] 등이 있다.

5.6.2. 남관

파일:경북고 남관 정면.jpg
5층까지 있으며 1 · 2학년 교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 외에도 1ㆍ2학년 교무실, 시청각실, 상담부실, wee class 등이 있다.

5.6.3. 북관

4층까지 있으며, 3학년 교실과 3학년 교무실, 매점이 있었다[13]. 즉, 3학년 전용 건물. 야자 시간만 되면 복도에 나와 공부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하지만 건물을 지을 당시엔 3학년 전용 건물로 쓸려고 만든 것이 아니었기에, 본래 목적과는 다르게 사용하면서 생기는 문제점들이 있다. 예를 들자면, 1층은 반지하에 가까워 일광량이 부족해 고통받게 되고, 겨울에 히터를 틀어도 춥다. 심지어 4층 가장 동쪽에 위치한 교실은 계단식 형태로 되어 있다. (2002년까지는 음악실이었다.)

파일:경북고 교실1.jpg
위 사진은 북관 1층 3학년 1반 교실이며, 남관의 1~2학년 교실도 이러한 형태로 같다.

5.6.4. 교육공학관

음악실, 미술실, 영어교실, 컴퓨터실 등이 있다. 리모델링을 한 덕분에 대체로 시설이 좋은 편이다.

5.7. 도서관(청운재)

파일:521968.jpg

파일:Kb19.jpg
본관 북쪽에 위치한 도서관. 3층까지 있으며, 1층은 도서관과 1학년 영재반, 2층은 1,2학년 자습실, 3층은 아무도 사용하지 않는 상태이다.[14] 도서관의 경우 고등학교 도서관 치고는 구색이 잘 갖춰져 있고 책의 질도 괜찮다. 자습실은 칸막이 책상들로 채워져 있다. 여담으로 과거 눈병이 유행하던 시절에는 등교하기 싫어서 일부러 눈병에 걸리는 놈들이 많았는데 당시 교사들의 주도로 눈병 걸린 학생들을 전부 도서관에 붙들어 놓은 역사가 있다. 그리고 그날부터 교내에 눈병 전염사례가 완전히 사라졌다. 교내에 매점이 없어진 이후 입구에 자판기가 생겼다

5.8. 고청원

파일:경북고등학교 고청원.jpg
북관 북동쪽에 있는 연못. 분위기가 좋아 여유로움을 느끼기 좋다. 과거에는 수질이 나빠 황소 개구리와 올챙이로 가득 차 있었으나, 점점 수질 개선이 되었는지 2016년 여름엔 붕어가 발견되었다. 자주 많은 학생들과 교사들이 이 곳에 위치한 정자에서 이야기를 나누기도 하고, 매점이 있었을 때 이 곳이 위치도 가깝고 좋아서 여기로 빵과 음료수, 과자를 가져와서 먹기도 했다. 교육공학관에 갈 때 한 번씩 이 곳을 거쳐가기도 한다.

5.9. 운동장

파일:경북고 운동장.jpg
파일:경북고등학교 운동장(농구장).jpg
매우 넓은 편으로, 운동장 둘레가 인근 동도중의 트랙 둘레의 약 2배는 된다. 운동장이 넓은 덕에 축구장 뒤쪽에 남는 공간이 넓어 그 곳에서 축구 대신 풋살을 하는 학생들도 많다. 2013년까지 인근 대구성동초등학교에서 학생수 대비 좁은 운동장으로 인해 도저히 대형행사를 열 여건이 되지 않아 이 운동장을 매년 봄 체육대회 때마다 대절했다. 당시 성동초 학생 수는 대략 1,800여 명을 넘었고, 동행한 학부모와 교사, 기타 구경하러 온 인원 수까지 고려하면 2,000여 명을 아득히 뛰어넘는 인원을 수용할 수 있었다. 운동장 북쪽엔 우레탄 바닥으로 된 농구장도 있다. 최근에 농구장 바닥을 전부 교체하였다. 2021년에 운동장 모래를 교체하는 공사를 했다. 덕분에 운동장에 맨발걷기를 하는 주민들을 쉽게 볼 수 있다

5.10. 야구장

파일:kbhsbbpg.jpg

정규 규격의 야구장 크기이며, 담장형태는 중 · 고등학교 야구장 중에서는 흔치 않게 쿠키커터형이다.[15] 주중에는 야구부가, 주말에는 사회인야구리그가 사용한다. 2012년에 전국체전 야구 고등부가 경북고에서 열리게 되면서 야구장에 인조잔디를 깔았다. 좋은 시설 때문인지 대구로 원정 오는 프로팀들이 경북고에서 연습하고 가기도 한다[16] 한편 일반학생들도 점심시간에 야구장 외야를 사용할 수 있으며, 캐치볼이나 원바운드를 하는 학생을 자주 볼 수 있다.

5.11. 양궁장

학교 쓰레기 처리장 뒤에 있으며, 일반 학생은 존재를 모르는 경우도 많다. 학생들은 거의 안 쓰며 선생님들은 화살에 맞을 수도 있으니 호기심에라도 들어가지 말라고 한다. 사실 양궁장은 경북고등학교 부지는 아니며, 빈 땅을 사용하고 있다.
[1] 경북중•경북고 분립 이후에도 경북중(1950~1972), 경운중(1970~1976)이 대봉동 교사를 사용함.[2] 2014년경부터 새로 지은 트랙 운동장에서 열기 시작했다.[3] 졸업생들이 빵빵하다 보니 학교에 신경을 많이 써줬다.[4] 3학년 교실은 1997년, 1, 2학년 교실은 1999년에 에어컨을 설치했는데, 이는 인근의 사립학교에 비하면 늦은 편이다.[5] 파일:2016-10-16 08.24.53.jpg[6] 미닫이문 형식으로 되어있는 판이 있는데, 그 판을 밖으로 빼면 이름들이 빽빽하게 적혀있다.[7] 파일:Kb31.jpg[8] 관중석이 의외로 넓고 수용 인원이 많은 편이다. 3학년도 수용할 수 있고, 졸업식 등의 행사에서 학부모나 관계자들이 모여도 좁다는 느낌 없이 무난하게 행사를 진행할 수 있을 정도.[9] 현재는 사용 흔적만 남은 채 방치되어 있다.[10] 파일:Kb8.jpg[11] 진짜 넓다. 반 하나 정도의 넓이다. 물론 넓기만 하지 시설이 좋거나 화려하진 않다.[12] 물론 대부분의 교과교실은 교육공학관에 위치하지만, 본관에도 교과교실이 몇 개 있다. 수학교실이 그 예이다.[13] 지금은 없어졌다[14] 원래는 3층에 도서관이 있고 1층과 2층을 자습실로 사용하는 구조였으나, 하중 부담이 커져 2012년에 1층으로 책들을 옮겼다.[15] 대부분 학교는 운동장이 좁아서 다른 학교와 운동장을 같이 쓰는데, 그 덕에 펜스 모양이 가지각색이다. 경북고 같이 전용 야구장을 잘 갖춘 야구부가 전국에 많지 않다.[16] 2015년 한화 이글스가 경북고에서 특타를 했으며 이 때 최충연박세진김성근과 찍은 사진이 기사에 뜨기도 했다.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