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21:38:42

계좌번호


1. 개요

은행의 각 계좌에 붙여지는 고유한 번호다. 일반적으로 은행에서 랜덤으로 지정해 주나, 일부 은행은 중간 자리 또는 끝 자리를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계좌번호의 -(하이픈) 표시는 사실 전혀 중요하지 않은 표시다. 하이픈 없이 14자리를 그냥 쭉 붙여 써도 지장이 없으나 가독성 문제가 있을 뿐이다. 예로 중소기업은행, 하나은행의 123-456789-01-001 형식의 계좌라면 12345678901001, 1234567-8901001, 심지어 극단적으로 1-2-3-4-5-6-7-8-9-0-1-0-0-1 이라고 써도, 모두 완전히 같은 의미이다. 숫자의 순서만 같으면 어떻게 끊어 써도 똑같다.

2. 국내 금융기관의 계좌번호 형식

금융결제원 자료실에서 체계가 정리된 서류를 다운받을 수 있다.
한국은 계좌번호의 형식이 10자리~14자리로 금융기관마다 제각각이다. 자릿수가 같아도 하이픈을 넣는 위치는 금융기관 마음대로다. 대부분 지점번호, 계좌종류, 일련번호 사이를 구분하는 위치에 하이픈이 들어간다.

계좌번호 구성은 2023년 8월 1일 기준이다.

아래 설명에서 A는 고객구분, B는 고객(관리)번호, N은 난수, S는 단축코드, T는 계좌구분[1], X는 지점번호, Y는 계좌종류(과목)[2], Z는 일련번호, C는 검증번호이다.

지점번호는 금융결제원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고, 내려받을 수도 있다. 기관코드 + 지점번호 형식으로 찾아보면 어느 은행 어느 지점인지 확인 가능하다. 각 기관별 코드에 대해서는 금융공동망 문서 참고.

2.1. 한국산업은행

구계좌의 경우 11자리로, XXX-YY-ZZZZZC 의 형식이다. 현행 방식은 14자리로, YYY-ZZZZZZZC-XXX 의 형식이다. 검증번호가 없는 YYY-ZZZZZZZZ-XXX 형식도 있는데 평생계좌번호[3]나 정기적금[4] 등 입금만 가능한 가상계좌에서 나타난다.
  • 과목코드(Y)
계좌종류 보통 저축 자유저축 당좌 기업자유
구계좌 13 20 19 11 22
신계좌 013 020 019 011 022

2.2. 중소기업은행

평생계좌의 경우 BBBBBBBB-ZZ (10자리) 또는 AAA-BBBBBBBB (11자리) 의 형식이다. (2012년 11월 12일자로 신규등록 중단된 것으로 추정)

현재는 12자리인 XXX-YY-ZZZZZZC 혹은 14자리인 XXX-BBBBBB-YY-ZZC 형식이다.
  • 과목코드(Y)
보통 저축 가계당좌 당좌 기업자유
01 02,03,13 07 06 04

2.3. KB국민은행

평생계좌번호로 첫자리 9에 고객이 지정하는 10자리를 붙이는 식으로 되어있었다. 현재는 첫자리가 0이다. 체계 상에는 9자리 계좌번호도 올라가 있다.

한국주택은행 계좌는 XXXX-YY-ZZZZZC (당좌) 또는 XXXX-YY-ZZZZZZZC 형식이다.
국민은행 계좌의 경우 XXX-YY-ZZZZ-ZZC 형식이었다.
현행 계좌는 주택은행의 형식을 승게한 XXXXYY-ZZ-ZZZZZC 형식이다. 출금이체가 불가능한 수납전용 가상계좌는 과목코드가 92로 고정되어 있다.
  • 과목코드(Y)
계좌종류 보통 국고 저축 자유저축 가계당좌 당좌 기업자유 연계
국민은행[5] 01 01 02 24 05 04 25 26
구 주택은행 01 01 02 25 06 18 37 90[6]

기타 과목코드
  • 주택청약저축: 07

2.4. 하나은행

입금만 가능한 계좌 형식으로 XXX-YY-ZZZZZ-C와 YYY-ZZZZZZ-ZZC 형식이 존재했다. 이들 계좌는 구 외환은행 계좌이다.

나머지 일반계좌는 XXX-ZZZZZZ-ZZCYY 형식이다.
  • 과목코드(Y)
||<-2> 계좌종류 || 보통 || 국고 || 저축 || 자유저축 || 가계당좌 || 당좌 || 기업자유 || YES || 연계 ||
구 외환 11자리 13,33 18,38 19,39 26 11 22
12자리 611 610[7] 620 600 601 630 621,631
하나은행 05 07 08 02 01 04 94[8]


하나은행 기타 과목코드
  • 가상계좌: 37
  • 외화통장: 32
  • ISA: 60

구 외환은행 계좌들은 아래의 과목코드가 추가로 부여되어 있었다. 두자리 숫자는 11자리 계좌에, 세자리 숫자는 12자리 계좌에 할당된다.
  • 정기적금: 15, 810
  • 자유적립식적금: 811
  • 부금: 23, 817, 818
  • 근로자우대저축: 24, 814
  • 장기주택마련저축: 29, 815
  • 연금신탁: 70
  • 적립식목적신탁: 73
  • 기업금전신탁: 74, 704
  • 가계금전신탁: 75, 705
  • 노후연금신탁: 77, 707
  • 신탁기타: 700, 703, 710~716

2.5. 수협중앙회

기존에는 XXX-YY-ZZZZZ-C 형식이었으나, YYYZ-ZZZZ-ZZZC 형식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맞춤계좌는 0으로 시작하는 12자리, 가상계좌는 XXX-YY-ZZZZZZZZ-C 형식이다.
  • 과목코드(Y)
계좌종류 보통 저축 자유저축 가계당좌 당좌 기업자유
11자리 01 02 06 08
12자리 101,201 102,202,209 103,208 106 108 113,114,206
  • 가상계좌에서 과목코드 40이 발견된다.

2.6. NH농협은행

기본적으로 XXX(X)-YY-ZZZZZC 의 11~12자리 구조이나, YYY-ZZZZ-ZZZZ-CT (13자리) 의 형식인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가상계좌는 구계좌(HMC, 삼성, 미래에셋, 현대, NH, 한화증권)의 경우 XXXXXX-YY-ZZZZZC, 신계좌의 경우 YYY-ZZZZ-ZZZZ-ZZC 형식이다.
  • 과목코드(Y)
보통 저축 자유저축 가계당좌 당좌 기업자유
01 02 12 06 05 17
  • 계좌번호가 13자리인 경우 과목코드 앞에 3을 붙여 3자리로 만든다.
  • 가상계좌는 보통계좌만 있으며, 64, 65, 790, 791을 사용한다.

적금과 신탁은 아래의 과목코드를 따른다. 계좌번호가 13자리인 경우 적금은 과목코드 앞에 3을, 신탁은 과목코드 앞에 0을 붙인다.
  • 적금: 04, 10, 14, 21, 24, 34, 45, 47, 49, 59, 80
  • 신탁: 28, 31, 43, 46, 79, 81, 86, 87, 88

2.7. 농업협동조합(단위농협)

구계좌는 XXXXXX-YY-ZZZZZC (14자리) 형식을, 신계좌는 YYY-ZZZZ-ZZZZ-CT (13자리) 형식을 따른다.

구 가상계좌는 XXXXXX-YY-ZZZZZC 형식을, 신 가상계좌는 YYY-ZZZZ-ZZZZ-ZZC 형식을 따른다.
  • 과목코드(Y)
보통 자립 자유저축 기업자유
51 52 56 55
  • 계좌번호가 13자리인 경우 과목코드 앞에 3을 붙여 3자리로 만든다.
  • 가상계좌는 보통계좌만 있으며, 66, 67, 792를 사용한다.

적금과 신탁은 아래의 과목코드를 따른다.
  • 적금: 354, 360, 384, 394, 398
  • 신탁: 028

2.8. 우리은행

여러 은행이 합쳐진 역사를 가지고 있어 구계좌는 체계가 제각각이다.
  • 과목코드(Y)
계좌종류 보통 국고 저축 자유저축 가계당좌 당좌 기업자유 연계
우리은행 006 007 002 002 004 003 005
구 상업 05 06,07 08 02 01 04
구 한일 01 15 02 12 04 03 13
구 평화 01 21 24 05 04 25 09
  • 연계계좌에서 가상보통예금은 18, 가상당좌예금은 92를 사용한다.

2.9. SC제일은행

XXX-YY-ZZZZZC의 11자리 구성이나, 가상계좌에서 XXX-YY-ZZZZZZZZC 의 14자리 구성이 존재한다.
  • 과목코드(Y)
보통 국고 저축 자유저축 가계당좌 당좌 기업자유 외화
10 10 20 20 30 30 20 85
  • 가상계좌는 15,16을 사용한다.

2.10. 신한은행

계좌번호 형식
  • 신한은행 신계좌: YYY-ZZZ-ZZZZZC
  • 신한은행 신계좌(가상): YYY-TTT-ZZZZZZZC
  • 조흥은행: XXX-YY-ZZZZZC
  • 구 조흥은행(가상): XXX-YY-ZZZZZZZC[11]
  • 신한은행(가상포함): XXX-YY-ZZZZZC
  • 구 신한은행(가상): XXX-YYY-ZZZZZZZC
  • 과목코드(Y)
계좌종류 보통 저축 자유저축 가계당좌 당좌 기업자유
신계좌 100~109,160,161 110~139 155~159 150~154 140~149
구계좌 01 02,11,13 12 03 04 05
구 조흥 01,09,61 04,05 06,08 02 07 03,07

가상계좌 과목코드(보통)
  • 신한 신계좌: 560, 561, 562
  • 신한 구계좌: 99, 901
  • 구 조흥: 81, 82

기타 과목코드
  • 외화예금: 180
  •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 298, 268, 269

평생계좌번호의 경우 0으로 시작하는 10~14자리 숫자로 지정할 수 있다.

2.11. 한국씨티은행

아래와 같은 구성이 존재한다.
  • 통합 씨티은행(개인): XXX-ZZZZZ-YYC-ZZ
  • 통합 씨티은행(기업): T-BBBBBB-CYY-ZZ
  • 한미은행: XXX-ZZZZZ-YYC
  • 구 씨티은행: XX-YY-ZZZZZC, Y-ZZZZZZ-ZZC

씨티은행의 경우 구 한미은행의 과목코드를 그대로 이어받아 쓴다.
  • 과목코드(Y)
|| 계좌종류 || 보통 || 국고 || 저축 || 자유저축 || 가계종합예금 || 당좌 || 기업자유 ||
씨티 신계좌
구 한미
01,11,21,25,31,
42,51,71,81
23 05,06,15,26,29 07,27,55 99 03,13,33,
41,43,53,63
24
씨티 구계좌 20,21,32,34,36~38,
42,46,70,71,73~78,
80,81,83~88,91~96,99
30,33,35,41,
43~45,50~58,63,64
60~69 40,48 00~19 59
  • 기업금융은 25, 41, 24, 18[12]만을 사용한다.

2.12. 대구은행

대구은행은 아래 3가지 패턴이 있다. 현재는 12자리 YYY 패턴으로만 발급되는 중.
  • YY-ZZZZZZZZZZZ (13자리)
  • XXX-YY-ZZZZZZC (12자리)
  • YYY-ZZ-ZZZZZZC (12자리)
  • XXX-YY-ZZZZZZ-ZZZ (14자리)

그 외 일련번호로만 구성된 계좌번호(7~11자리)도 존재한다.
  • 과목코드(Y)
보통 저축 자유저축 가계당좌 당좌 기업자유
05, 91~94, 96 06,07 08 02 01 04
505 508 502 501 504

기타 과목코드
  • 국민주청약예금: 06
  • 신자유저축: 13, 14
  • 근로자우대저축: 19, 519
  • 비과세가계장기저축: 20, 520
  • 가계우대정기적금: 21, 521
  • 재형저축: 524
  • 상호부금: 25, 525
  • 평생저축: 27, 527
  • 장기주택마련적금: 28, 528
  • 가상계좌: 937

2.13. 부산은행

XXX-YY-ZZZZZZC (12자리) 체계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2012년 1월 25일자로 YYY-ZZZZ-ZZZZ-ZC (13자리) 체계가 도입되었다.
  • 과목코드(Y)
보통 저축 자유저축 가계당좌 당좌 기업자유
01 02 12 03 09 13
101 102 112 103 109 113

기타 과목코드
  • 국민주청약 저축예금: 11

2.14. 광주은행

종전 계좌는 XXX-YYY-ZZZZZC (12자리)의 형식이었다. 2016년 11월 7일 이후 ZYYY-ZZZ-ZZZZZZC (13자리) 체계가 도입되었다.
과목코드가 731인 구 계좌의 경우 검증번호(C) 대신 일련번호가 한 자리 더 들어간다.
  • 과목코드(Y)
보통 국고 저축 자유저축 가계당좌 당좌 기업자유
107,108 109 121,123,124 122 103 101 127
107,109 121 121 103 101 127

기타 과목코드
  • ISA: 716

2.15. 새마을금고

(4+4+4+1=13) : 9YYY-ZZZZ-ZZZZ-C
2009년 9월 21일 이전 개설 계좌: XXXX-YY(Y)-ZZZZZZ-C

새마을금고의 지점코드는 금고코드이다.

보통계좌 과목코드
  • 구 13자리: 09, 10, 13, 37(가상)
  • 구 14자리: 801~810, 851~860
  • 현행: 002~004, 072, 090~093

기타 과목코드 (현행)
  • 입금전용: 200, 202, 205, 207~210, 212
  • 기업자유: 005

2.16. 케이뱅크

일반적으로 개인/법인 실계좌인 YYY-YNN-NNZZZZ 형식을 볼 수 있다.
이외에도 계좌 종류에 따라 형식에 차이가 있다.
  • 비대면 실명인증 입금전용계좌: 9-NNNNNNNNN
  • 휴대폰번호 연결서비스: ZZ(Z)[13]-휴대폰번호(3-4-3자리)
  • 간편송금, 안심계좌, 신용카드결제 포인트구매: (7/9)-NNNN-NNN-NNNN
  • 여신가상계좌: 여신계좌번호(12자리)-ZZ

상세 과목코드
  • 입출금: 1002
  • 플러스박스: 1005

2.17. 카카오뱅크

TYYY-ZZ-ZZZZZZZ 형식이다.

앞 4자리는 위처럼 업무구분 + 과목코드 3자리로 구성되어 있는데, 앞 4자리 모두가 과목코드와 같이 쓰인다. 업무구분의 경우 일반계좌가 3, 가상계좌가 7을 쓰고 있다. 자세한 규칙은 확인되지 않았다.
앞 4자리에서 아래의 규칙이 발견된다.
  • 일반계좌 업무구분 및 과목코드 표
업무구분 입출금 정기예금 자유적금 저금통
(세이프박스)
3 333 388 355 310
  • 가상계좌 업무구분 및 과목코드 표
업무구분 mini 모임통장 세금납부
7 777 979
9 101

* 모임통장은 입출금, 저금통, 세이프박스 모두 개설가능하다.

2.18. 토스뱅크

YYYZ-ZZZZ-ZZZC 형식이다. 가상계좌는 (17/19)ZZ-ZZZZ-ZZZZ 형식이다.

금융결제원 체계 상 과목코드는 앞 3자리지만, 일련번호의 첫자리가 토스머니는 8, 나머지는 0으로 고정되어 있어 앞 4자리까지에서 규칙성이 확인된다.
  • 과목코드표
보통 모으기 적금 기업자유 외화
100 106 300 150 700

3. 외국의 사례

3.1. 유럽

유럽권 및 일부 중동 국가 등은 IBAN이라는 표준화된 계좌번호를 사용한다.

3.2. 일본

일본의 모든 금융기관은 계좌번호 구성이 지점번호 3자리 - 계좌번호 7자리다. 유쵸은행은 번호(5자리)-기호(8자리)라는 독특한 사양이지만 타금융기관과의 거래를 위한 3자리-7자리 계좌번호가 별도로 존재한다.

3.3. 중국

유니온페이 직불카드 번호가 계좌번호의 역할을 한다.


[1] 카카오뱅크는 업무구분[2] 케이뱅크, 카카오뱅크는 상품구분[3] 과목코드 010[4] 과목코드 036[5] 구계좌 포함[6] 국민은행과 CMS 제공계약을 체결한 업체가 발행한 계좌에 대해서만 이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예시로는 한국증권금융의 입금용 국민은행 연계계좌가 있다.[7] 09.6.15. 추가[8] 증권[9] 단축코드로 1이 들어간다.[10] 가상계좌로도 쓰인다[11] 또는 Z[12] 적금[13] 01X-3자리 번호 사용자 한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3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3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