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30 13:39:23

고창북고등학교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고창군 CI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강호항공고등학교 고창고등학교 고창북고등학교
자유고등학교 전북인공지능고등학교 해리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colcolor=white> 고창북고등학교
高敞北高等學校
Gochangbuk High School
파일:고창북고등학교.jpg
개교 <colbgcolor=#f5f5f5,#2e2f34> 1972년 3월 2일
유형 일반계
성별 남녀 공학
형태 사립
학교법인 중앙학원
이사장 김미숙
교장 임동균
교훈 자아실현 (自我實現)
근검노작 (勤儉勞作)
창조개척 (創造開拓)
학생 수 272명[기준]
교직원 수 42명[기준]
관할청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흥덕면
선운대로 3714-32 (흥덕리)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소셜 미디어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학교 연혁3. 학교 상징
3.1. 교표3.2. 교가
4. 학교 특징
4.1. 복장
5. 학교 시설
5.1. 본관5.2. 창조관5.3. 국제관5.4. 체육관5.5. 그 외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6.2. 학교 일과6.3. 시간표
7. 운동부8. 출신 인물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9.2. 철도
10. 사건 사고11. 기타12. 둘러보기

1. 개요

1972년 3월 2일 개교한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흥덕면에 위치한 중앙학원 산하의 사립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오래전에는 고창북고등학교는 동일한 학교법인인 중앙학원 산하의 사립학교, 고창북중학교와 같이 있었으나, 1986년 12월 3일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흥덕면으로 신축과 동시에 이전했다.

2. 학교 연혁

1947. 12. 15 부안중학원 설립

3. 학교 상징

3.1. 교표

파일:고창북고등학교.jpg
  • 가운데 자는 사람을 형상화 한 것으로 고창북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을 의미하며, 위쪽의 자는 두 사람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창북고등학교에 재학하는 학생은 두 사람을 능히 짊어지고 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2. 교가

파일:고창북고 교가.jpg

4. 학교 특징

4.1. 복장

* 동복
파일:고창북고동복.jpg
  • 체육복이 없다.[3]
  • 하복 및 동복 착용 시기가 정해져 있다.[4]
  • 교내 실외화 착용 금지이다.[5]
  • 귀가주 금요일[6]과 모의고사, 지필고사 날에는 사복이 하루종일 허용된다.

5. 학교 시설

5.1. 본관

  • 1층[7]
    • 보통교실(2학년), 교무실, 교장실, 보건실, 수학교과실, 음악실, 매점, 여자 화장실
  • 2층[8]
    • 보통교실(3학년), 교무실, 교사휴게실, 과학교과실, 방송실, 남자화장실
  • 3층
    • 보통교실(1, 2학년), 도서관, 학생회실

5.2. 창조관

  • 1층[9]
    • 보통교실(3학년), 미술실, 상담실, 남자 화장실, 여자 화장실
  • 2층
    • 멀티미디어실, 진학실
  • 3층
    • 자습실

5.3. 국제관

  • 1층
    • 다목적홀, 교무실, 남자 화장실, 여자 화장실
  • 2층
    • 글로벌존
  • 3층
    • 중국어교과실

5.4. 체육관

  • 1층
    • 예술놀이터, 교무실, 체육교구실, 남자 화장실, 여자 화장실
  • 2층
    • 강당

5.5. 그 외

  • 기숙사[10]
    • 여자 기숙사(1) , 남자 기숙사(2)
  • 야외
    • 급식실, 야외 화장실[11]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 한중문화제
  • 사부자한마음 축제

6.2. 학교 일과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합니다.

6.3. 시간표

~ 08:10 등교
08:10 ~ 08:40 아침자습시간
08:50 ~ 09:40 1교시
09:50 ~ 10:40 2교시
10:50 ~ 11:40 3교시
11:50 ~ 12:40 4교시
12:40 ~ 13:40 점심시간[12]
13:40 ~ 14:30 5교시
14:40 ~ 15:30 6교시
15:30 ~ 15:50 청소시간
15:50 ~ 16:40 7교시
16:40 ~ 종례 및 하교[13]
16:50 ~ 17:40 방과 후 학교
17:40 ~ 18:40 석식시간
18:40 ~ 20:30 야자 1차시[14][15]
20:40 ~ 21:50 야자 2차시
22:00 ~ 23:00 야자 3차시

7. 운동부

  • 축구부
  • 볼링부
  • 골프부

8. 출신 인물

<colbgcolor=#E9ECEF,#101112>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정류소 명칭 노선 번호[16]
템플릿:버스 정류장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9.2. 철도

10. 사건 사고

제도권 언론 및 계열 브랜드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11. 기타

12. 둘러보기


[기준] 2024학년도 개학일[기준] 2024학년도 개학일[3] 체육 교과가 있는 날에는 전후 1교시까지만 사복 착용이 허용된다.[4] 학교 공식 인스타그램에 항상 공지가 올라온다.[5] 크록스는 끈을 앞으로 하면 실내화, 뒤로 넘기면 스포츠 모드로 규정한다.[6] 금요일이 아니더라도 귀가주의 마지막 날은 항상 사복 착용이 가능하다.[7] 학교로 주문한 택배들은 모두 동문 쪽에 있다.[8] 교무실 옆에 음수대, 남자 화장실 앞에는 정수기가 있다.[9] 미술실 앞에 음수대가 있다.[10] 기숙사 바로 옆에 분리수거장이 존재한다.[11] 온갖 곤충들과 벌레가 꼬인다.[12] 스포츠리그 진행 시, 10분 연장된다.[13] 귀가주 금요일에는 기숙사생들도 하교한다.[14] 이때 야간 특강이 있는 학생들의 경우, 야간 특강 수업을 하는 시간이다.[15] 자습실 c실 학생들의 경우, 야자 1차시가 끝나면 기숙사로 복귀한다.[16] 나무위키 내 해당 정류소에 정차하는 버스 노선 문서와 연결. 예를 들어 대구서부고등학교 앞에는 524를 추가하듯 각 지자체 버스 노선에 맞게 버스 노선 문서의 링크를 거시면 됩니다.[17] 직접 들고 다녀야 한다.[18] 예외적으로 최근 국제관에 휴지가 생긴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