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9 14:43:02

과학을 보다(콘텐츠)

<colbgcolor=#289dd5><colcolor=#fff> BODA 보다
파일:과학을 보다로고.jpg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 |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2]
1. 개요2. 역사3. 주요 콘텐츠4. 특징5. 출연진 및 제작진6. 반응 및 영향7. 그 외 활동
7.1. 도서7.2. 북콘서트

1. 개요

과학을 보다 채널은 물리학, 천문학, 생물학 등 다양한 과학 분야를 다루며, 대중이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과학적 개념을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영상의 주제는 최신 과학 뉴스, 흥미로운 과학 이론, 실험 등을 포함한다.

2. 역사

  • 2023년 4월 14일: 첫 번째 에피소드
  • 2025년 1월 7일: 백 번째 에피소드에서는 그동안 출연했던 대부분의 과학자 15명이 총출동했다.#[3]

3. 주요 콘텐츠

  • 최신 과학 뉴스: 과학계의 최신 연구 결과와 이슈를 쉽게 정리하여 전달.
  • 흥미로운 과학 이야기: 과거의 위대한 과학자들, 흥미로운 과학적 발견 등을 다룸.
  • 실험 및 탐구: 직접 실험을 수행하거나 과학적 원리를 검증하는 영상 제공.
  • 우주 및 천문학: 우주, 블랙홀, 외계 생명체 등 천문학 관련 주제 탐구.
  • 물리학: 다양한 물리 법칙과 실험을 설명.
  • 생물학: 생명체의 구조와 기능, 생태계에 대한 탐구. 특히 진화생물학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 미생물학: 미생물의 특성과 역할을 연구하고 실험을 통해 설명.
  • 지구과학: 지질학, 화산, 바다, 대기 등 지구과학 전반에 대한 내용.

4. 특징

  • 친절하고 이해하기 쉬운 설명 방식.
  • 시각적인 그래픽과 애니메이션을 활용하여 과학 개념을 쉽게 전달.
  • 과학적 사실을 기반으로 한 정확한 정보 제공.
  • 댓글을 통해 시청자와 활발히 소통.

5. 출연진 및 제작진

각 분야의 과학자 4~6명과 사회자 한 명으로 구성된 토크쇼로 진행된다.
  • 출연진
    • 진행: 정영진(정프로)
    • 고정 출연자
    • 게스트
      • 이대한: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9]
      • 서균렬: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명예교수[10]
      • 김기범: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교수
      • 갈로아: 곤충 전문 작가
      • 김백민: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교수
      • 이정모: 펭귄각종과학관 관장, 과학 커뮤니케이터
      • 장홍제: 광운대학교 화학과 교수
      • 박숭현: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 해양학자
      • 권석준: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 이독실: 과학 평론가
      • 백인화: 경희대학교 약학과 교수

6. 반응 및 영향

  • 대중적인 과학 콘텐츠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2024년에는 청소년이 뽑은 베스트 유튜브 채널에 보다 채널이 선정되었다.#
  • 학생 및 일반인들에게 과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7. 그 외 활동

7.1. 도서

- 과학을 보다책 1권
- 과학을 보다 2권
- 과학을 보다 3권
- 보다호의 과학탐험 1 - 보다호의 탄생

7.2. 북콘서트

  • 북콘서트 1
  • 북콘서트 2

[1] 보다의 재생목록이다.[2] 보다의 커뮤니티 카페, 여기에 올라온 시청자의 질문을 방송에서 답변해주기도 한다.[3] 원래는 2024년 12월 31일 공개 예정이었으나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의 영향으로 1월 7일로 연기되었다. 그래서 원래 일정대로 업데이트된 101회가 100회보다 더 먼저 공개되었다.[4] 통계물리학 전공.[5] 박사 과정의 대학원생으로 처음 출연하였으며 이후 박사 논문이 2023년 12월 통과되면서 박사가 되었다.[6] "연세대학교 은하진화연구센터 연구원"에서 세종대학교 조교수가 됐다.[7] 게스트가 대신 나와 불참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8] 김응빈의 응생물학이라는 유튜브 채널도 운영하고 있다.[9] 게스트 중 고정에 가까울 정도로 출연이 많은 편이다.[10] 12화까지 고정 출연. 그 이후로는 출연하고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