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289dd5><colcolor=#fff> BODA 보다 | |
| |
링크 |
1. 개요
과학을 보다 채널은 물리학, 천문학, 생물학 등 다양한 과학 분야를 다루며, 대중이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과학적 개념을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영상의 주제는 최신 과학 뉴스, 흥미로운 과학 이론, 실험 등을 포함한다.2. 역사
3. 주요 콘텐츠
- 최신 과학 뉴스: 과학계의 최신 연구 결과와 이슈를 쉽게 정리하여 전달.
- 흥미로운 과학 이야기: 과거의 위대한 과학자들, 흥미로운 과학적 발견 등을 다룸.
- 실험 및 탐구: 직접 실험을 수행하거나 과학적 원리를 검증하는 영상 제공.
- 우주 및 천문학: 우주, 블랙홀, 외계 생명체 등 천문학 관련 주제 탐구.
- 물리학: 다양한 물리 법칙과 실험을 설명.
- 생물학: 생명체의 구조와 기능, 생태계에 대한 탐구. 특히 진화생물학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 미생물학: 미생물의 특성과 역할을 연구하고 실험을 통해 설명.
- 지구과학: 지질학, 화산, 바다, 대기 등 지구과학 전반에 대한 내용.
4. 특징
- 친절하고 이해하기 쉬운 설명 방식.
- 시각적인 그래픽과 애니메이션을 활용하여 과학 개념을 쉽게 전달.
- 과학적 사실을 기반으로 한 정확한 정보 제공.
- 댓글을 통해 시청자와 활발히 소통.
5. 출연진 및 제작진
각 분야의 과학자 4~6명과 사회자 한 명으로 구성된 토크쇼로 진행된다.- 출연진
- 진행: 정영진(정프로)
- 고정 출연자
- 게스트
6. 반응 및 영향
- 대중적인 과학 콘텐츠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2024년에는 청소년이 뽑은 베스트 유튜브 채널에 보다 채널이 선정되었다.#
- 학생 및 일반인들에게 과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7. 그 외 활동
7.1. 도서
- 과학을 보다책 1권- 과학을 보다 2권
- 과학을 보다 3권
- 보다호의 과학탐험 1 - 보다호의 탄생
7.2. 북콘서트
- 북콘서트 1
- 북콘서트 2
[1] 보다의 재생목록이다.[2] 보다의 커뮤니티 카페, 여기에 올라온 시청자의 질문을 방송에서 답변해주기도 한다.[3] 원래는 2024년 12월 31일 공개 예정이었으나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의 영향으로 1월 7일로 연기되었다. 그래서 원래 일정대로 업데이트된 101회가 100회보다 더 먼저 공개되었다.[4] 통계물리학 전공.[5] 박사 과정의 대학원생으로 처음 출연하였으며 이후 박사 논문이 2023년 12월 통과되면서 박사가 되었다.[6] "연세대학교 은하진화연구센터 연구원"에서 세종대학교 조교수가 됐다.[7] 게스트가 대신 나와 불참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8] 김응빈의 응생물학이라는 유튜브 채널도 운영하고 있다.[9] 게스트 중 고정에 가까울 정도로 출연이 많은 편이다.[10] 12화까지 고정 출연. 그 이후로는 출연하고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