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D92A1C>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05em" | ※ 가나다 순으로 항목 정렬 | ||
야생 절멸 (EW) | |||
브루그만시아[1] · 칼리만탄망고 · 프랭클리니아 · 우드소철 | |||
위급 (CR) | |||
세인트 헬레나 흑단 · 네펜데스 아텐보로기 · 사라세니아 오레오필라 · 감송 · 암매 · 그란데박쥐란 · 덕구리난 · 유포르비아 파키포디오이데스 · 유포르비아 툴레아렌시스 · 타히나야자 · 파피오페딜룸 델레나티 · 알로에 알비플로라 · 알로카시아 산데리아나 · 알로카시아 시누아타 · 파라나소나무 · 해파리나무 · 페리에바오밥 · 필런시 알로에 | |||
위기 (EN) | |||
구상나무 · 은행나무· 거삼나무 · 광릉요강꽃 · 메타세쿼이아 · 미선나무 · 코코드메르 · 바닐라 · 벌레먹이말 · 별목련 · 칠레소나무 · 분비나무 · 홍콩동백나무 · 아라비카 커피 · 알로이덴드론 라모시시뭄 · 유포르비아 아브델쿠리 · 유포르비아 아리스타타 · 유포르비아 데카리 · 유포르비아 디디에레오이데스 · 유포르비아 귈라우미니아나 · 유포르비아 헤디오토이데스 · 포우테리아 암파넨시스 · 쿠바 마호가니 · 후추껍질나무 · 파키포디움 바로니 · 만리화 · 네펜데스 트루카타 · 네펜데스 벨리아이 · 네펜데스 라자 · 네펜데스 테누이스 · 사라세니아 존네시 · 개느삼 · 환락선인장 · 금호선인장 · 히어리 · 크리눔 타이아눔 · 안스리움 쿠투쿠엔세 · 안스리움 스플렌디덤 · 게바다말 · 황제사포테 · 자이언트바오밥 · 수아레즈바오밥 | |||
취약 (VU) | |||
땅귀개 · 금송 · 금새우난초 · 노퍽소나무 · 레바논시다 · 눈측백 · 산개나리 · 새양버들 · 풍란 · 잎갈나무 · 티코덴드론 · 천마 · 파리지옥 · 두리오 쿠테젠시스 · 두리오 그라비올렌스 · 브라질너트 · 귀소각 · 유포르비아 모라티 · 유포르비아 암보봄벤시스 · 코요 아보카도 · 시어나무 · 인도네시아흑단 · 산톨 · 멕시코마호가니 · 온두라스마호가니 · 영국 팥배나무 · 아프리카체리 · 세팔로투스 · 네펜데스 캄파눌라타 · 네펜데스 로위 · 네펜데스 시부야넨시스 · 네펜데스 에드워시아나 · 사라세니아 류코필라 · 보르네오티크 · 투구선인장 · 로포포라 · 게발선인장 · 낚싯바늘선인장 · 검은붓꽃 · 안스리움 슈퍼붐 · 밤방안 | }}}}}}}}} |
[1] '천사의 나팔꽃'으로 알려져 있음
구상나무 Korean fir | ||
학명: Abies koreana | ||
분류 | ||
<colbgcolor=#d7ffce,#0f4a02> 계 | 식물계(Plantae) | |
분류군 |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 |
겉씨식물군(Gymnospermae) | ||
문 | 구과식물문 (Pinophyta) | |
강 | 구과식물강 (Pinopsida) | |
목 | 구과목(Pinales) | |
과 | 소나무과(Pinaceae) | |
속 | 전나무속(Abies) | |
종 | 구상나무(A. koreana) | |
멸종위기등급 | ||
[clearfix]
1. 개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 전나무[1]와 사촌지간이다.2. 상세
구상나무 꽃 |
한국 특산종으로 해발고도 500~2000m인 한라산, 지리산, 무등산, 덕유산 등에서 자생한다. 나무의 높이는 10~18m정도까지 자라며, 회갈색의 수피는 거칠다. 잎은 선형이고 가지나 줄기에 돌려나며, 어린가지에 난 잎은 끝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다. 5~6월에 잎 끝에 솔방울 같은 꽃이 피는데 빛깔이 노란색·분홍색·자주색·검은색 등 갖가지 색을 나타내며, 가을에 익는 열매도 여러 가지 색이다. 암수한그루이며, 꽃의 색이 자주빛인 것은 구상나무, 검은빛이 강한 것은 검구상, 붉은빛이 도는 것은 붉은구상, 녹색인 것은 푸른구상이라고도 부른다. 열매는 원통형의 구과이고 9~10월에 성숙한다.
구상나무는 제주도 방언인 성게를 뜻하는 '쿠살'과 나무를 뜻하는 '낭'의 합성어로 잎이 성게가시처럼 생겼다고 해서 쿠살낭(성게나무)이라고 부르던 것을 정태현 외 3인(1937)이 조선식물향명집에 '구상나무'로 옮겼다.
꽃말은 '기개'.
3. 외국으로의 반출 및 개량
구상나무는 한국 고유종이다. 구상나무가 알려지게 된 것은 가톨릭 신부이자 식물학자 에밀 조제프 타케(Émile Joseph Taquet, 1873 ~ 1952)가 1907년에 프랑스 가톨릭 신부이자 식물학자인 위르뱅 장 포리(Urbain Jean Faurie, 1847 ~ 1915) 신부와 함께 한라산에서 채집한 뒤[2][3]에 미국 하버드대에 있는 아널드 식물원에 보냈다. 1915년에 영국 출신 식물학자 어니스트 윌슨이 기존의 분비나무와 다른 것으로 보고 새로운 종으로 구분하여 '아비스 코리아나(Abies Koreana)라고 명명하였다. 구상나무의 '모식표본'은 현재 미국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이후 구상나무는 유럽에서 종자를 개량하여, 서구권에 고급 크리스마스트리로 보급되면서 알려졌다. 서구에서는 '크리스마스 트리'로 소나무과의 전나무류와 가문비류를 주로 활용하는데, 구상나무는 키가 1~2m에 불과한 어린 나무에서도 원추형의 멋진 모양을 보여주고 있어서, 실내에 놓아 장식을 달기에 딱 좋기 때문이다.
4. 지구 온난화로 인한 멸종 위기
구상나무는 연중 강수량이 일정해야 잘 자라는데,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겨울철 강수량의 급감으로 인해 집단으로 고사하여 멸종위기에 처했다. # 한라산에서는 해발 1700m에서 1800m까지에 있는 구상나무의 80% 이상이 고사했다.# 지리산에 있는 1만 5천 그루의 구상나무 군락도 기후변화로 인해 점차 말라가고 있어서 대책이 시급하다고 한다. #
2021년부터 구상나무 복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광양 백운산, 소백산 등의 자생지에서 기후 스트레스를 덜 받고 상대적으로 건강한 구상나무의 열매를 수집·채취해서 6년 동안 양묘장에서 기른 다음, 건강한 묘목으로 자란 구상나무는 경남 금원산과 월봉산, 전북 민주지산 등에 심어져 복원되고 있다. #
5. 여담
- 기후변화로 인한 구상나무 숲의 파괴에 대한 다큐도 종종 나온다. 아래 방송은 여진구가 나레이션하고 KBS에서 방영한 다큐.
[1] 구상나무는 같은 전나무 섹션에 속하는 분비나무와 매우 닮았다.[2] 근거1: https://ko.wikipedia.org/wiki/%EC%97%90%EB%B0%80_%ED%83%80%EC%BC%80[3] 근거2: https://www.youtube.com/watch?v=lUMedJO0IxY&list=PLpB9z9SOeZQde_LrQybfYuNBmmtxZvSaT&index=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