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행정원 정부 기구 | |||
내정부 | 외교부 | 국방부 | 재정부 |
교육부 | 법무부 | 경제부 | 교통부 |
노동부 | 농업부 | 위생복리부 | 환경부 |
문화부 | 수위발전부 |
1. 개요
오권분립에 따라 중화민국의 국가행정조직은 모두 행정원 관할로 되어 있다.2. 조직 기구
중화민국 행정원은 다음과 같은 부서 및 위원회를 관할한다.- 부(部)
- 내정부: 한국의 행정안전부에 해당.
- 경정서: 대한민국 경찰청에 해당.[1]
- 소방서: 한국의 소방청에 해당.
- 이민서: 한국의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에 해당
- 국토관리서: 구 영건서. 한국의 국토교통부 건설 분야에 해당.
- 국가공원서
역정서: 한국의 병무청에 해당. 원래는 외청격인 서였으나 2023년부터 내정부 내의 국서급인 역정사(司)가 되었다.- 외교부
- 국방부
- 전민방위동원
- 재정부: 한국의 기획재정부의 조직 일부에 해당.
- 국고서
- 국유재산서
- 부세서
- 관무서
- 교육부
- 국민급학전교육서
- 청년발전서
- 체육서
- 법무부
- 최고검찰서
- 대만고등검찰서
- 복건고등검찰서 금문검찰분서
- 염정서
- 행정집행서
- 교정서
- 경제부: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에 해당.
- 상업발전서
- 산업발전서
- 국제무역서
- 능원서(能源署)
- 중소급신창기업서
- 수리서
- 교통부: 한국의 국토교통부 교통 분야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 및 우정 분야에 해당.
- 관광서
- 중앙기상서
- 노동부: 한국의 고용노동부에 해당.
- 노동력발전서
- 직업안전위생서
- 농업부: 한국의 농림축산식품부에 해당.
- 농량서(農糧署)
- 어업서
- 동식물방역검역서
- 임업급자연보육서
- 농촌발전급수토보지서
- 농전수리서(農田水利署)
- 농업금융서
- 위생복리부: 한국의 보건복지부에 해당.
- 환경부: 한국의 환경부에 해당.
- 기후변천서
- 자원순환서
- 화학물질관리서
- 환경관리서
- 문화부: 한국의 문화체육관광부에 해당.
- 수위발전부: 한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대응하는 기관.
- 위원회
- 국가발전위원회: 2014년 경제건설위원회와 연구발전고핵(考核)위원회가 통합하여 출범했다.
- 국가과학및기술위원회: 한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과학기술 분야에 해당. 위원회였다가 부(部)인 과기부가 되었다가 다시 위원회로 변경되었다.
- 대륙위원회: 한국의 통일부에 해당.
몽장위원회: 청조 이번부(理藩部)의 후신으로 몽골과 티베트 관련 사무를 담당했다. 몽골이 들어간 이유는 중화민국이 명분상 몽골의 영유권을 주장해왔기 때문이다. 2017년을 끝으로 결국 폐지되고 관련 업무는 외교부, 대륙위원회, 문화부로 이관했다.- 금융감독관리위원회: 한국의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에 해당.
- 해양위원회: 한국의 해양수산부 해양 업무 분야에 해당.
- 해순서: 한국의 해양경찰청에 해당. 원래는 독립적인 '해안순방서'였으나 2018년부터 해양위원회 해순서로 개편되었다. '해순서'는 약칭이 아닌 정식명칭.
- 교무(僑務)위원회: 한국의 외교부 재외동포 업무 분야에 해당.
- 국군퇴제역관병보도위원회: 한국의 국가보훈처에 해당.
- 원주민족위원회
- 객가위원회
공공공정위원회: 한국의 국토교통부 건설 분야에 해당. 국가발전위원회와 내정부 국토관리서로 업무 이전되었다.원자능위원회: 원자력 관련 사무를 담당한다. 2023년 기존의 행정원 소속 원자능위원회에서 3급[2] 독립기관인 핵능안전위원회로 개편되었다.
3. 역대 중화민국 정부
3.1. 임시정부
- 난징 임시정부 내각
- 임시약법 체제
- 제1차 탕사오이 내각
- 제1차 루정샹 내각
- 자오빙쥔 내각
- 돤치루이 임시내각
- 슝시링 내각
3.2. 북양정부
- 임시약법 체제
- 슝시링 내각
- 쑨바오치 임시내각
- 신약법 체제
- 제1차 쉬스창 내각
- 제2차 루정샹 내각
- 제2차 쉬스창 내각
- 제1차 돤치루이 내각
- 임시약법 체제
- 제1차 돤치루이 개조내각
- 우팅팡 임시내각
- 강조종 임시내각
- 리징시 내각
- 안복국회
- 제2차 돤치루이 내각
- 왕스전 내각
- 제3차 돤치루이 내각
- 첸넝쉰 임시내각
- 첸넝쉰 내각
- 궁신잔 임시내각
- 진윈펑 임시내각
- 제1차 진윈펑 내각
- 싸전빙 임시내각
- 제2차 진윈펑 내각
- 제3차 진윈펑 내각
- 량스이 내각
- 옌후이칭 임시내각
- 저우쯔치 임시내각
- 임시약법 체제
- 제1차 옌후이칭 내각
- 제2차 탕사오이 내각
- 왕충후이 내각
- 왕다셰 내각
- 왕정팅 임시내각
- 장소증 내각
- 고릉위 섭정내각
- 고릉위 임시내각
- 차오쿤 헌법 체제
- 쑨바오치 내각
- 구웨이쥔 임시내각
- 제2차 옌후이칭 내각
- 황푸 섭정내각
- 임시집정 정부
- 임시집정 내각
- 허세영 내각
- 자더야오 내각
- 후웨이더 임시섭정내각
- 옌후이칭 섭정내각
- 두시구이 임시섭정내각
- 구웨이쥔 임시섭정내각
- 구웨이쥔 섭정내각
- 대원수 정부
- 판푸 내각
3.3. 국민정부
- 난징 국민정부
- 탄옌카이 내각
- 제1차 장제스 내각
- 제1차 쑨커 내각
- 왕징웨이 내각
- 제2차 장제스 내각
- 쿵샹시 내각
- 제3차 장제스 내각
- 쑹쯔원 내각
- 장췬 내각
3.4. 중화민국 정부
- 장제스 정부
- 웡원하오 내각
- 제2차 쑨커 내각
- 허잉친 내각
- 옌시산 내각
3.5. 중화민국 정부(국부천대 이후)
- 장제스 정부
- 옌시산 내각
- 제1차 천청 내각
- 위훙쥔 내각
- 제2차 천청 내각
- 옌자간 내각
- 장징궈 내각
- 옌자간 정부
- 장징궈 내각
- 장징궈 정부
- 쑨윈쉬안 내각
- 위궈화 내각
- 리덩후이 정부
- 위궈화 내각
- 리환 내각
- 하오보춘 내각
- 렌잔 내각
- 샤오완창 내각
- 천수이볜 정부
- 탕페이 내각
- 제1차 장준슝 내각
- 유시쿤 내각
- 셰창팅 내각
- 제1차 쑤전창 내각
- 제2차 장순슝 내각
- 마잉주 정부
- 류자오쉬안 내각
- 우둔이 내각
- 천중 내각
- 장이화 내각
- 마오즈궈 내각
- 장산정 내각
- 차이잉원 정부
- 린취안 내각
- 라이칭더 내각
- 제2차 쑤전창 내각
- 라이칭더 정부
- 줘룽타이 내각
[1] 한국의 '서'는 지방 관청이다. 그래서 지방경찰청의 하위로 경찰서, 대한민국 소방청 하위로 소방서가 있는 것이다. 담배인삼공사 이전 전매청 시절에도 역시 각 지방에 전매서가 있었다.[2] 부(部)나 본 문단에 기재된 여타 위원회는 2급기관이다. 다른 3급 독립기관으로는 '국가운수안전조사위원회'(한국의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에 해당)와 '부당당산처리위원회'(차이잉원 총통 재임기인 2016년 만들어졌다. 대만 계엄시기부터 축적된 중국국민당과 당시 존재한 우당들의 재산의 조사, 반환, 추징, 권리회복을 위한 기구이다)가 있다.[3] 편의상 본 문단에 기재되어 있으나 행정원 소속이 아닌 총통 직속 국가안전회의(NSC) 소속 기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