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Economic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d0,#333><colcolor=#000,#fff> 미시경제학 | 소비자이론 · 생산자이론 · 산업조직론 · 후생경제학 · 공공경제학 · 정보경제학 · 행동경제학 · 금융경제학 |
거시경제학 | 국민소득 · 인플레이션 · 노동시장론 · 금융경제학 · 화폐금융론 · 경기변동론 · 경제성장론 · 경제정책론 | |
국제경제학 | 국제무역론 · 국제금융론 | |
경제방법론 | 수리경제학(경제수학) · 경제정보처리 · 계량경제학(경제통계학) | |
경제사 | 경제사 · 경제학사 | |
응용경제학 | 농업경제학 · 자원경제학 · 환경경제학 · 개발경제학 · 보건경제학 · 노동경제학 · 도시경제학 · 경제지리학 · 법경제학 · 약물경제학 · 정치경제학ㆍ문화경제학 | |
비주류경제학 | 마르크스경제학 · 오스트리아학파 | }}}}}}}}} |
1. 개요
Gross National Income, GNI / 국민총소득(國民總所得)명목 GDP에 (명목)해외순수취요소소득을 합한 것을 명목 GNP 혹은 명목 GNI라고 한다. 일국 경제활동의 지표로서 GDP가 GNP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GNP는 국민의 소득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남게 되었다. 더 나아가 GNP에 교역조건 변동에 따른 소득변동을 추가로 감안하여 GNI를 구성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93 SNA에서는 소득을 나타내는 GNI를 작성함으로써 실질 GNP를 대체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1995년 기준 국민소득 통계로부터 GNI가 작성되고 있다. 그러나 명목 GNP는 생산물량 뿐만 아니라 임금, 기업채산성, 교역조건 등이 포함되어 있는 소득지표이므로, 현행 명목 GNP를 명칭만 명목 GNI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를 요약하여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실질 GDI = 실질 GDP + 교역조건[1]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2]
* (수입량/ 수출량) = (수출가격/수입가격) = (Px / Pm)
* 실질 GNI = 실질 GDI + 해외순수취요소소득[3]
* 실질 GNI = 실질 GNP + 교역조건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
* 실질 GNI = 실질 GDP + 해외순수취요소소득 + 교역조건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
* 명목 GNI = 명목 GNP = 명목 GDP + (명목)해외순수취요소소득
실질 GNI는 국민이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지만, 명목 GNI는 명목총소득을 나타내는 지표라는 차이가 있다.
GDP가 한 국가의 생산규모를 파악하는 데 좋다면 GNI는 한 국가의 국민들의 전반적인 소득수준을 파악하는 데 좋다. 이는 GDP에서 외국에 사는 비거주자가 생산한 부분은 제외되고, 내국 거주자가 외국에서 벌어 온 부분은 포함되기 때문이다.
GDP와 동일하게 국민전체가 아닌 지역내총소득에 대한 수치인 GRI가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1인당 GDP를 국민소득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2. 관련 문서
[1] 수출물량 한 단위로 구입할 수 있는 수입물량 단위[2]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 무역손익’은 국가 간 거래에서 교역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발생하는 실질소득의 국외유출 또는 국내유입을 의미[3] 해외순수취요소소득 = 거주자 해외수취요소소득 - 비거주자 국내수취요소소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