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0:02:58

그린스보로

노스캐롤라이나주도시
Greensboro
그린스보로
파일:gso_flag.gif 파일:gso_seal.gif
시기(市旗) 시장(市章)
<colbgcolor=#cc0000><colcolor=#fff> 국가
[[미국|]][[틀:국기|]][[틀:국기|]]
노스캐롤라이나
카운티 길포드 카운티 (Guilford County)
별명 Gate City
면적 1136.65 sq mi (353.92 km2)
좌표 북위 36° 05′ 42″ 서경 79° 49′ 33″
시간대 UTC-5 (서머타임 준수) / ET
인구 도시 302,296명
광역 789,842명
인구 밀도 878.61/km2
시장

낸시 본
(Nancy B. Vaughan)
지역번호 334
FIPS 37-28000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gso_downtown.png
그린스보로 다운타운

1. 개요2. 표기법3. 역사4. 인구 특징5. 경제6. 교통7. 물가 및 생활비용8. 교육9. 스포츠10. 한인

[clearfix]

1. 개요

노스캐롤라이나 주에 위치한 그린스보로는 길퍼드 카운티의 군청소재지로, 윈스턴-세일럼, 하이 포인트와 함께 Piedmont Triad 지역을 형성한다. 그린스보로는 제조업, 교통, 그리고 물류의 중심지로서 노스캐롤라이나 주 경제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교통의 요충지로서의 기능 외에도 교육 및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대학교와 연구 기관이 위치해 있어 노스캐롤라이나 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2023년 US News에서 조사한 미국에서 살기 좋은 곳으로 23위에 선정되었다. 그린스보로는 비교적 조용하고 안정된 도시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교육 기관과 문화 시설이 위치해 있어 교육 및 문화적으로도 활발한 도시이다.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 우수한 교육 시설, 그리고 활발한 지역 커뮤니티 활동으로 가족 단위 주민에게 매력적인 도시로 인식되어 오고 있다.

2. 표기법

대한민국 외교부는 공식적으로 그린스보로라고 표기한다. 그린즈버러 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3. 역사

그린스보로는 1808년에 공식적으로 설립된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도시이다. 이 도시는 원래 1807년 길포드 카운티의 카운티 행정 중심지로 결정되면서 설립이 추진되었고, 미국 독립전쟁에서 활약한 Nathanael Greene 장군을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따 그린스보로라 명명되었다. 그린스보로는 빠르게 성장하여 중요한 상업 및 법률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으며, 철도망 확장으로 19세기 중반에는 더욱 번영하게 된다.

그린스보로는 또한 미국 시민권 운동의 중요한 장소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다. 1960년, 그린스보로의 울워스 매장에서 네 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대학생이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싯인 운동(Sit-Ins) 을 시작했고, 이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상업시설의 인종 분리 정책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그린스보로를 시민권 운동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4. 인구 특징

2023년 추산으로 그린스보로의 인구는 30만 정도라고 한다. 윈스턴-세일럼 그리고 하이 포인트와 함께 형성하는 Piedmont Triad 권역 기준으로 인구는 약 170만 정도이다. 그린스보로는 다양한 경제기회와 풍족한 교육 자원 덕분에 지속적으로 인구가 유입되고 있는 도시이다. 2020년 기준 그린스보로의 평균 나이는 약 35세로 젊은 세대의 유입이 두드러 지게 나타나는데, 젊은 전문가의 지역 대학과 산업의로의 편입에 기인한다.

그린스보로는 최근에 큰 경제 개발 프로젝트 중 하나인 메가사이트(Greensboro-Randolph Megasite)를 통해 지역 경제를 더욱 활성화하고 있다. 특히 도요타는 이 메가사이트에 27억 달러를 투자하여 2025년까지 전기차 배터리 생산공장을 지어 5000명 이상의 전문 인력을 고용하기로 발표했다. 이와 더불어 국제공항인 Piedmont Triad International Airport (PTI) 주변의 첨단 항공 산업단지를 성장시키는 한편 꾸준한 대학 교육 투자로 지속적인 인구 유입이 기대된다.

인종 비율은 2020년 전미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백인이 38.60%, 흑인이 41.42%, 히스패닉이 10.17%, 아시아계가 5.04%로, 다인종 도시임을 나타내며, 그린스보로의 동/남쪽은 주로 흑인이, 북/서쪽은 백인과 아시아인이 주로 거주하는 인종 거주 분포를 보인다.

5. 경제

그린스보로와 인근 지역의 경제는 전통적으로 섬유, 담배, 가구 산업에 중심을 두었다. 그린스보로는 노스캐롤라이나 주 중앙에 위치해 있어 물류 중심지가 되어 왔다. 특히 페덱스가 도시에서 지역 운영을 기반으로 하면서 물류 허브로서의 역할이 강화되었다. 2021년 12월 부터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인 도요타의 자회사인 Toyota Motor North America가 그린스보로에 27억 달러 규모의 배터리 공장을 메가사이트(Greensboro-Randolph Megasite)에 투자하고 있으며 5,000명 이상의 고용 창출이 예상된다.

또한 그린스보로는 Piedmont Triad International Airport (PTI)를 중심으로 한 항공 산업이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 지역은 첨단 항공 산업의 중요한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PTI 주변에는 Honda Aircraft Company와 HAECO Americas와 같은 항공 관련 주요 기업들이 본사를 두고 있어, 항공기 설계, 제조, 유지보수 및 개조 작업이 이루어진다. 2023년 1월 26일에는 미국의 초음속 여객기 개발사인 붐 테크놀로지가 동사가 개발 중인 초음속 여객기 오버추어(Overture)의 제조시설 오버추어 슈퍼팩토리 건설지를 PTI 공항 인근으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2024년 생산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400명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이 외 그린스보로에 본사를 둔 주요 기업으로는 HAECO Americas, ITG Brands, Kayser-Roth, Mack Trucks, Cone Health, Volvo Trucks of North America, Qorvo, International Textile Group, The Fresh Market, Cook Out, Ham's, Biscuitville, Fusion3, Wrangler, Kontoor Brands, Columbia Forest Products 등이 있다. 또한, 그린스보로는 보험회사 Lincoln Financial Group의 운영 중심지로도 알려져 있다.

같은 트라이어드 지역 내의 하이 포인트 시는 가구 산업으로 유명한데, 매년 봄/가을에 세계 최대의 가구 박람회가 열린다.

6. 교통

그린스보로는 다양한 교통 옵션으로 잘 연결되어 있는 도시로, PTI 공항, 여러 Amtrak 기차 노선, 그리고 포괄적인 도시 대중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Piedmont Triad International (PTI) 공항은 그린스보로를 비롯하여 윈스턴-세일럼하이 포인트, 그리고 주변 피드몬트 광역 지역을 서비스한다. PTI 공항은 하루 평균 280회의 이착륙을 기록하며, Allegiant Air, American Airlines, American Eagle, Delta Air Lines, United Express 등 주요 항공사들이 운항한다. 또한, FedEx Express의 허브로도 기능한다.

Amtrak의 Crescent, Carolinian, Piedmont 기차는 그린스보로를 뉴욕, 필라델피아, 볼티모어, 워싱턴 D.C., 리치먼드, 롤리, 샬롯, 애틀랜타, 버밍햄, 뉴올리언스와 연결한다. Amtrak 열차, 택시, 지역 및 장거리 버스는 1920년대 초에 지어진 후 2004년에 리노베이션된 J. Douglas Galyon Depot, 즉 그린스보로 역에서 출발하고 도착한다.

Greensboro Transit Authority는 그린스보로 전역에서 대중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며, Higher Education Area Transit (HEAT)는 다운타운의 명소들을 지역 대학 및 대학교와 연결한다. Piedmont Area Regional Transportation (PART)은 메트로폴리탄 지역 전체의 지역 대중 교통을 조정한다. 또한 그린스보로는 도심을 둘러싼 자전거 도로인 Greensboro Greenway를 건설 중이며, 이는 다른 트레일들과 연결되어 Bur-Mil Park 지역 및 그 이상으로 이어질 계획이다.

도시를 둘러싸는 Greensboro Urban Loop 고속도로는 Interstate 73과 Interstate 85로 구성되어 있으며, U.S. Highway 29는 도시의 남부, 동부 및 북부를 관통하며 그린스보로의 도심과 중심 지역으로의 고속도로 접근을 제공한다. Interstate 40과 과거에는 Interstate 85 Business가 공유하던 고속도로 구간은 "Death Valley"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주요 연방 및 주간 고속도로가 하나의 고속도로 시설로 합쳐지는 혼잡하고 사고가 잦은 구간이다.

7. 물가 및 생활비용

주거 비용이 매우 매우 저렴하다. 같은 주의 저렴한 생활비로 유명한 샬럿랄리에 비해서도 저렴하다. 특히, COVID-19 팬데믹 이후 원격 근무가 보편화되면서, 생활비가 저렴한 그린스보로를 찾는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 지역의 단독 주택 평균 가격은 약 20만 달러에서 25만 달러 사이이며, 아파트의 평균 월세는 약 1,100달러이다. 평균 재산세율은 약 1.2%로, 노스캐롤라이나 주 평균보다 낮으며, 기름값은 또 한 평균적으로 갤런당 약 $2.50으로 주 내에서도 비교적 저렴한 편이다.

8. 교육

그린스보로는 노스캐롤라이나 A&T 주립 대학(North Carolina A&T State University)과 노스캐롤라이나 그린스보로 대학(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UNCG)을 포함하여 여러 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또한, 베넷 대학교(Bennett College)와 길퍼드 칼리지(Guilford College) 같은 사립 대학들도 그린스보로에 자리 잡고 있다. 피드몬트 트라이어드(Piedmont Triad) 지역으로 범위를 넓히면 윈스턴-세일럼에 위치한 명문 사립 대학인 웨이크 포레스트 대학교, 하이 포인트에 위치한 사립대학인 하이포인트 대학 (High Point University) 등이 있다.

초등 및 중고등 교육 측면에서 그린스보로는 길퍼드 카운티 학교 시스템에 속해 있으며, 이는 다양한 공립학교와 전문화된 마그넷 스쿨, 차터 스쿨을 포함하고 있다. 2023년 US News에서 공립학교 전미랭킹 1등을 차지한 The Early College at Guilford (ECG) 고등학교가 유명하다. 사립학교로는 Oak Ridge 라는 교외에 위치한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군사학교 중 하나인 Oak Ridge Military Academy 고등학교가 대표적이다.

9. 스포츠

그린스보로는 프로 스포츠팀은 없지만, 골프 애호가들에게 매력적인 도시로서 인식된다. 매년 PGA 투어의 Wyndham Championship이 Sedgefield Country Club에서 열린다. 이 대회는 1938년에 시작된 Greater Greensboro Open으로, PGA 투어에서 가장 오래된 이벤트 중 하나이다. FedEx Cup 플레이오프 전 마지막 PGA 투어 이벤트로서, 매년 골프 선수와 팬들을 그린스보로로 끌어들이는 주요 이벤트다. 이외에도 그린스보로는 다양한 스포츠 토너먼트를 개최하는 'Tournament Town'으로 알려져 있다. ACC 남자 농구 토너먼트와 NCAA 농구 경기를 비롯해 ACC 야구 토너먼트와 미국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등 굵직한 스포츠 이벤트가 이곳에서 열려왔다.

10. 한인

그린스보로와 피드몬트 트라이어드(Piedmont Triad)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의 수는 생각보다 많은 약 5천 명 정도라고 추정되는데, Super G Mart와 같은 큰 한인 마트의 존재와 그린스보로 내 한인식당 그리고 교회의 수를 생각하면 납득이 된다 남부지역 답게 교회는 정말 많다. 노스캐롤라이나 그린스보로 대학(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UNCG)과 윈스턴-세일럼에 위치한 웨이크 포레스트 대학교는 한국에서 온 연구 교수와 학생들이 꽤 있다. 트라이어드 지역은 규모가 큰 병원으로도 유명한데, 상당수의 한인이 의료계에 종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