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cb749e><colcolor=#63f7e1> 그림 가디언즈: 서번트 오브 더 다크 グリム・ガーディアンズ サーヴァント・オブ・ザ・ダーク Gal Guardians: Servants of the Dark | |
| |
개발 | 인티 크리에이츠 |
유통 | 인티 크리에이츠, PQube |
플랫폼 | 다운로드 Nintendo Switch | PlayStation 4 | PlayStation 5 Xbox One | Xbox Series X|S | Microsoft Windows 패키지 Nintendo Switch | PlayStation 5 |
장르 | 액션 |
출시 | 다운로드 2025년 3월 27일 패키지 2025년 4월 24일 |
한국어 지원 | 지원 |
심의 등급 | |
해외 등급 | |
관련 사이트 | |
상점 페이지 |
1. 개요
프로젝트 시동 공지 영상 |
그림 가디언즈: 데몬 퍼지의 후속작으로서 제작된 액션 게임. 전작과 눈에 띄게 달라진 부분으로는 걸☆건 시리즈에 없던 2명의 신규 캐릭터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는 점, 스테이지 클리어형에서 탐색형 액션으로 확장됐다는 점, 그리고 2명이서 온라인 멀티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2. 시스템 요구 사항
3. 스토리
4. 등장인물
4.1. 주인공
4.1.1. 키리카
<colbgcolor=#c16ea5><colcolor=#fff> 프로필 | |
| |
명칭 | キリカ Kirika |
성별 | 여성 |
성우 | 와카야마 나츠미 |
본작의 두 플레이어블 캐릭터 중 한 명. 마왕 막심을 섬기는 악마 메이드 자매 중 언니이며, 화기의 스페셜리스트로서 전작의 카미조노 시노부처럼 서브머신건을 무기로 사용한다. 사용하는 총은 키리카의 마력을 탄환의 형태로 발사하는 마총 '스테일메이트'로, 형태와 구경이 자유자재로 변화하여 산탄도 쏠 수 있다. 초기 탄수는 스타일을 불문하고 60.
위의 오피셜 아트나 한정판 패키지 일러스트에서는 돌격소총을 들고 있고, 실제로 이를 사용하는 스프라이트까지 제작되었지만 끝내 미사용 데이터로 남았다.
4.1.2. 마샤
<colbgcolor=#8ca699><colcolor=#fff> 프로필 | |
| |
명칭 | マーシャ Masha |
성별 | 여성 |
성우 | 사쿠라카와 마이 |
본작의 두 플레이어블 캐릭터 중 한 명이자 키리카의 여동생. 마계 식물로 만든 채찍 '가르데니아'와 스텝 이동을 동원한 근~중거리전이 특기인 캐릭터이다.
4.1.3. 마왕 막심
<colbgcolor=#323246><colcolor=#ff28eb> 프로필 | |
통칭 | 魔王マクシム Demon Lord Maxim |
풀 네임 | 막심 온슬로트 레믈레이저 르 파울풀 III세 マクシムオンスロート=レルムレイザー・ル・パウルフルIII世 Maxim Onslaught Relmraizer Legrand III |
성별 | 남성 |
성우 | 모리와키 리쿠미 |
키리카와 마샤가 섬기는 마왕. 축보성에서 드라니스와 나눈 대화에 의하면 겁완의 막심(劫腕のマクシム/Maxim the Eternally Supreme)이라고도 불린다. 게임 시작 직후 막심성의 옥좌에서 라이제노그의 공격을 받고 산산조각나지만, 두개골만은 이를 피하여 간신히 살아남는다.
이후 자신의 육체를 되살리고자 키리카와 마샤에게 마계에 흩어진 자신의 뼈를 모으도록 지시하고, 드라이다스를 포함하여 죽다 살아난 가신들을 지휘하며 메이드 자매의 모험을 서포트한다.
4.2. 가신
막심을 따르고 있었지만 게임 시작 시에 몰살당한 가신들. 맵에 흩어진 혼을 회수하여 주인의 사체에 주입하면 한 명씩 되살릴 수 있다. 아래의 명단에서 블로비부터 칼라레스까지는 게임의 진행에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지만, 본작의 도전 과제 중 하나가 가신을 모두 되살리는 것이다.- 드라이다스 - CV: 후지요시 코지
게임 시작 후 막심성에서 가장 먼저 시체로 발견된 가신. 혼이 시체 곁에 남아 있기 때문에 따로 찾지 않고 바로 되살릴 수 있다. 막심성에서 라이사를 격퇴한 뒤에 말을 걸면 튜토리얼을 다시 열람할 수 있다.
- 오를란 - CV: 메구로 호쿠토
드라이다스를 제외하면 제일 먼저 발견할 수 있는 가신. 혼은 마장의 숲에서 찾을 수 있으며, 되살리고 나면 주기적으로 말을 걸어 도시락을 하나씩 받을 수 있다. 카미조노 자매의 레시피를 소지한 상태에서 말을 걸면 해당 레시피를 재현한 회복 아이템도 만들어준다. 양쪽 모두 멀티 플레이 중에는 획득량이 2배로 늘어난다.
- 시클로 · 퀴클로 - CV: 카가노미야 슌시 · 키쿠카와 요시나리
되살리면 온라인 로비가 해금된다. 멀티 플레이 중에 말을 걸면 각 플레이어가 조작할 캐릭터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혼은 축보성에서 찾을 수 있다.
- 독트르드 - CV: 본코바라 코우
되살리고 나면 주기적으로 말을 걸어 각종 포션을 종류별로 하나씩 받을 수 있다. 멀티 플레이 중에는 획득량이 2배로 늘어난다. 혼은 데빌 스트레이트 습득 후에 배신의 강에서 찾을 수 있다.
- 소피스 - CV: 시치노헤 미키호
되살린 후에 말을 걸면 타이틀 화면으로 돌아가지 않고도 스타일의 변경이 가능하다. 마장의 숲에서 처음으로 마왕의 뼈를 드롭하는 보스를 퇴치하면 인접한 장소에서 혼을 찾을 수 있다.
- 아라크나르 - CV: 이와키 나오
서브 웨폰의 합성 · 개량 · 스킬 이동을 담당하는 가신. 또한 정해진 양의 마재목을 전달하면 막심성을 두 단계에 걸쳐 복구해준다. 혼은 복마동굴에서 찾을 수 있다.
- 미믹 - CV: 호시모토 마아야
인벤토리의 아이템 중 일부를 대신 보관해주는 아이템 박스. 혼은 축보성에서 찾을 수 있으며, 막심성의 부활 단계에 따라 박스가 최대 셋으로 늘어난다. 박스 하나의 용량은 인벤토리와 달리 99로 고정되어 있다.
- 알루나 - CV: 시노미야 쿠레하
마샤와 함께 정원을 가꾸는 가신. 혼은 에르그 홍사해에서 찾을 수 있다. 되살린 이후 동일한 스톡 아이템 3개를 소지한 채 말을 걸면, 그 뒤로 해당 아이템을 막심성에서 재배하여 무제한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탐색 중에 구할 수 있는 4종의 씨앗을 전부 하나씩 비축한 경우, 그 상태로 알루나에게 말을 걸어 다섯 번째 스톡 아이템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 니카 - CV: 후지카미 아야메
본명은 테살로니카. 막심을 섬기는 메이드 중 하나로 키리카와 사이가 좋다고 한다. 혼은 시모니아 타락요새에서 찾을 수 있으며, Ver.1.2.0부터는 게임 클리어 후에 같은 장소에서 니카에게 말을 걸어 신규 서브 이벤트인 '투기장'에 도전할 수 있다.
- 카론 - CV: 호시모토 마아야
한국어판에서 칼론으로 오역된 가신. 혼은 복마동굴에서 찾을 수 있고, 소생 후에는 50엔을 내고 다른 카론족이 있는 장소까지 단숨에 이동할 수 있다. 명해에서 발생하는 섬멸전을 마치면 그 이후로 돈을 받지 않는다.
- 블로비 - CV: 이누이 나츠네
막심성에 서식하는 우즈족. 종류를 가리지 않고 성 안의 쓰레기를 처리하여 메이드들 사이에서 아이돌 대접을 받는다. 막심을 사모하는 키리카마저도 그가 블로비의 이름조차 몰랐다는 사실에 정색할 정도. 키리카의 증언에 의하면 고물이나 잔반은 물론 침입자의 사체까지 처리해준다. 혼은 복마동굴에서 찾을 수 있다.
- 무에르토스 - CV: 키시모토 에마
3명으로 구성된 궁정 음악단. '아미고' 외에는 할 줄 아는 말이 없으며 마샤조차도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혼은 게헨나 용암계곡에서 찾을 수 있다.
- 한눈이 · 곁눈이 - CV: 아라키 타케시
성문의 경비를 담당하는 쌍둥이 듀라한 형제. 형인 한눈이의 혼은 에르그 홍사해, 동생 곁눈이의 혼은 배신의 강에서 찾을 수 있다. 둘 다 소생 직후의 이벤트에서 있지도 않은 눈이나 목에 대한 말을 자주 한다.
- 고블린 - CV: 키시로 사나
막심 앞에서만 제대로 일하고 그 외의 상황에서는 농땡이를 부리거나 도리어 사고를 치는 가신. 없으면 성이 돌아가지 않지만 막심도 알 정도로 행실이 불량해서 소생 시에 키리카와 마샤가 유독 시큰둥한 반응을 보인다. 혼은 마장의 숲에서 찾을 수 있다.
- 칼라레스 - CV: 나츠키 이즈미
눈이 없기에 이상만을 볼 수 있다고 자처하는 궁정 화가. 키리카의 대사에 의하면 막심과 전혀 닮지 않은 초상화를 그려대는 가신이다. 혼은 배신의 강에서 찾을 수 있으며, 소생 후 막심성에서 말을 걸면 즉석에서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4.3. 보스
- 메이드장 라이사 - CV: 이노우에 모모카
막심성에 메이드장 신분으로 잠입했지만 실제로는 라이제노그를 주인으로 섬기는 악마 메이드. 본작의 첫 번째 보스이자 교전 횟수가 가장 많은 보스로, 막심성 · 미식성 · 라이제노그성에서 한 번씩 싸워 승리해야 한다. 자신의 날개를 낫으로 변형시키는 특기가 있는데, 낫을 휘두르는 동작이 록맨 ZX의 이블 왈츠와 상당히 비슷하여 제1탄 소개 영상에 이를 알아본 이들의 댓글이 무더기로 달렸다.
- 축보마왕 드라니스 - CV: 마부치 히카루
축보성을 다스리는 레드 드래곤족의 마왕. 일개 마물에 불과했던 레드 드래곤족은 막심의 선조에게 마왕의 힘을 받은 이후로 줄곧 그 일족의 보물을 지켜왔지만, 정작 드라니스는 조상들의 맹약을 무시하고 보관 중이던 보물을 자기 것이라고 여긴다. 결국 보물을 회수하러 온 막심에게 싸움을 걸었다가 사망하며, 이후 공중 점프 횟수를 1 늘려주는 마보가 자동으로 인벤토리에 추가된다.
인화성을 띠는 검은 타액으로 바닥을 뒤덮고 브레스로 불을 붙이는 공격 패턴이 특징적인데, 드라니스가 타액을 흘릴 때 이를 머리에 뒤집어 쓰는 것이 본작의 도전 과제 중 하나이다.
- 잠연마왕 즈즈[1] - CV: 안도 나나코
에르그 홍사해를 다스리는 보스. 과거에는 막심성의 선대 마왕, 즉 막심의 아버지를 섬겼으나 어느덧 자신도 마왕의 칭호를 내걸며 독립한 인물이다. 에르그 홍사해의 특정 지점에서 샌드웜 한 마리를 이끌고 나타나며, 보스전도 다른 곳에 나타나는 샌드웜의 행동에 즈즈 본인의 공격을 더한 구성이다. 샌드웜이 내뱉는 보라색 돌덩이는 본래 봉쇄 블록과 같은 방법으로 부술 수 있지만 그 전에 즈즈에 의해 내구도가 강화되면 파괴가 불가능해진다.
보스전이 끝나면 타고 있던 샌드웜과 함께 죽어버리지만 명해에서 혼이 발견된 덕분에 되살아난다. 이후 퀸 가르데나스가 재배한 마계 열매를 가져다 주면 웜도 부활시켜서 플레이어를 옛 전쟁터로 데려다주며, 추가로 카론족이 있는 곳마다 웜이 나타나 옛 전쟁터의 입구와 카론이 있는 곳을 왕래할 수 있게 된다. 옛 전쟁터의 입구가 복마동굴이 끝나는 곳과 이어져 있기 때문에 축보성을 찾아갈 때도 큰 도움이 된다.
- 카미조노 시노부 · 카미조노 마야
배신의 강의 보스. 인간계에서 우연히 열린 게이트로 인해 마계를 떠돌게 되었으며, 유배지인 배신의 강에 난폭한 악마가 많다 보니 키리카와 마샤까지도 그런 부류로 오해하고 공격해온다. 행동 패턴은 전작에서 플레이어가 사용한 서브 웨폰과 오의에 기반하고, 배신의 강에 삽입되는 보스전 BGM도 전작의 트랙인 마수의 잔치이다.
배신의 숲에서 보스전을 마치면 사정을 설명하고 인간계로 돌아갈 방법을 찾아 떠나는데, 특정한 순서로 몇 차례 더 만나고 나면 복마동굴에서 한 번 더 보스전을 치를 수 있다. 출현 위치는 순서대로 배신의 강과 게헨나 사이의 온천 → 복마동굴의 섬멸전 발생 지점 → 배신의 강 산꼭대기의 티 테이블 부근 → 마장의 숲이며, 이 이벤트들을 모두 본 다음 복마동굴에 숨겨진 벚나무[2][3]를 찾아가면 두 번째 보스전이 발생한다. 여기서 승리하면 도전 과제 하나가 완료되는 한편 서브 웨폰인 퇴마 토피도와 종이 신령이 인벤토리에 하나씩 추가되고, 이후 특정한 마물들이 해당 웨폰들을 무작위로 드롭하게 된다.
- 녹수마왕 퀸 가르데나스 - CV: 시라하마 히나노
마장의 숲 깊숙한 곳, 짙은 독기의 삼림지를 다스리는 가르데나스족의 여왕. 즈즈가 샌드웜을 되살릴 때 사용한 마계 열매의 재배 방법을 아는 유일한 존재이다. 막심 왈 미소녀를 촉수로 휘감기를 좋아하는 마왕이며 실제로 키라카와 마샤가 접근하자마자 다짜고짜 휘감아버린다.
보스전에서 HP가 절반 이하로 떨어지면 전작의 보스 중 하나였던 타이런트 가르데나스를 불러내지만, 플레이어 레벨이나 서브 웨폰을 잘 관리하면 보스전 자체가 금방 끝나서 행동을 구경할 틈도 없이 박살난다.
- 라이제노그성
옛 전쟁터의 보스. 말 그대로 마왕 라이제노그의 성이 다리를 전개하여 기동한 모습으로, 다리로 지면을 공격하거나 뇌구를 발사하여 플레이어를 견제한다. 간혹 게이트에서 결계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나타나고 이를 데빌 스트레이트로 때리면 체력의 ⅓이 날아가니, 세 번 공격하여 성을 정지시키면 내부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여담으로 장치를 두 번 공격하고 나면 회전하는 3개의 뇌구를 한꺼번에 날리기도 하는데 그 모습이 건볼트 시리즈의 라이트닝 스피어와 상당히 흡사하다.
- 섬뢰마왕 라이제노그 - CV: 이시미네 마사키
라이제노그성에서 라이사를 쓰러뜨리면 그제서야 직접 나서는 본작의 최종 보스.
- 바포메트
Ver.1.2.0 업데이트로 추가된 투기장의 두 번째 보스. 전작의 대도서관에 등장했던 상급 악마로, 성우가 바뀌고 서먼 서번트로 소환하는 마물의 종류도 달라졌다. 그 외의 특징은 전작과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으나 공격력과 내구력 모두 본편 후반의 보스들과 비교해도 압도적으로 높다.
- 헬 블레이즈 옥타비안
Ver.1.2.0 업데이트로 추가된 투기장의 마지막 보스. 강력한 원념을 두른 불사의 검사로, 전작의 보스 중 수수께끼의 동굴에 나타난 블레이즈 옥타비안을 기반으로 도트 색상과 공격 패턴을 어레인지한 결과물이다. 바포메트와 마찬가지로 공격력과 내구력이 상당하지만 동결이 가능하다는 터무니없는 약점이 있어서, 동결 스킬을 부여한 적절한 서브 웨폰이 있으면 손쉽게 무력화가 가능하다.
4.4. 기타
- 카론족 - CV: 호시모토 마아야
죽은 자의 혼을 명해로 운반하는 일족. 맵의 특정한 장소에 배를 띄우고 서 있으며, 심지어는 스토리상 마지막으로 방문하게 되는 옛 전쟁터와 라이제노그성에도 한 명씩 있다. 말을 걸면 혼을 운반하는 김에 맵에 표시된 다른 카론이 있는 곳으로 데려다 주는데, 처음에는 매번 50엔씩 받아가지만 명해에서 발생하는 섬멸전을 마치면 그 이후로 공짜로 배를 태워준다. 한 명은 막심을 섬기는 가신이므로, 복마동굴에서 혼을 찾아 소생시키면 티 테이블이 없는 곳에서도 다른 지역의 카론을 통해 막심성으로 돌아올 수 있다.
- 만드라고러너
전작에서는 안뜰 스테이지에서 적으로 등장했던 마물. 본작에서는 처치는커녕 상호 작용조차 불가능한 NPC로 등장하는데, 게임 시작 시에는 기본 조작법을 알려주는 가이드의 역할을 한다.
이후에는 시모니아 타락요새와 미식성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만드라고러너의 군집을 하나씩 발견할 수 있다. 이들이 모여 있는 장소를 리틀 네스트라고 불리며, 군집 자체에 별다른 기능은 없지만 본작의 도전 과제 37개 중 무려 10개가 각각의 리틀 네스트를 찾아내는 것이다.
- 넣어 버려 악마
작중 시점 이전에는 막심도 본 적이 없는 악마. 마장의 숲 · 배신의 강 · 옛 전쟁터에 한 명씩 있으며, 말을 걸면 일정량의 돈을 내고 인벤토리를 영구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세 차례의 인벤토리 확장에 드는 비용은 500엔 → 1000엔 → 2000엔, 확장 후의 인벤토리 용량은 125 → 150 → 200 순으로 늘어난다. 스토리의 진행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인벤토리를 세 번 확장하는 것 역시 도전 과제의 일종이다.
- 마계 상인 - CV: 미야마츠 카에데
맵의 특정한 장소에서 아이템을 파는 NPC. 데모니글리프, 마재목, 마보 등 다양한 아이템을 취급한다. 시모니아 타락요새의 마계 상인은 마왕의 큰뼈를 하나 소지하고 있어서 엔딩의 분기에도 관여한다.
- 마계 모험가 후보생
에르그 홍사해의 구석에 숨어 있는 NPC. 맵이 어느 정도 채워졌을 때 말을 걸면 지도를 베껴가는 대신 최대 4회에 걸쳐 아이템을 준다. 받을 수 있는 아이템은 순서대로 퓨어 블러드 5개 → 자재 → 마왕의 뼈 5개 → 지계.
- 미식마왕 벨제봉
미식성이 위치한 게헨나 용암계곡을 다스리던 마왕. 메이드 자매가 미식성을 찾아오기 직전에 라이제노그에게 살해당하고 혼을 빼앗긴다. 라이제노그와 라이사가 떠난 뒤에 밝혀진 바에 의하면 막심의 뼈를 먹기 위해 요리를 해둔 상태였고, 이에 따라 미식성에서 라이사를 쫓아내고 나면 인벤토리에 마왕의 큰뼈가 하나 추가된다.
5. 맵
에리어 연결 구조 | ||||||
배신의 강 | ↔ | 마장의 숲 막심성 | ↔ | 에르그 홍사해 | ↔ | 시모니아 타락요새 |
↕ | ||||||
↔ | 복마동굴 축보성 | ↔ | 옛 전쟁터 라이제노그성 | |||
↕ | ↕ | |||||
게헨나 용암계곡 미식성 | ↔ | 명해 | ↔ |
- 시모니아 타락요새에는 니카의 혼과 마계 상인, 세이브를 위한 티 테이블 하나밖에 없다. Ver.1.2.0부터는 게임 클리어 후 이곳에서 니카에게 말을 걸어 이전에 미사용 데이터로 남아 있었던 서브 이벤트 '투기장'에 도전할 수 있다.
- 미식성은 라이사와 두 번째로 보스전을 치르게 되는 작은 맵이며, 시모니아 타락요새와 마찬가지로 탐색 요소는 전무하다. 라이사 격퇴 후 발생하는 이벤트에서 마왕의 큰뼈를 하나 얻을 수 있다.
- 막심성에 위치한 키리카와 마샤의 개인 공간, 그리고 축보성 지하의 비밀 보관고에 진입하는 도전 과제가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후자의 경우 데빌 스트레이트 습득 후에 접근할 수 있으며, 보관고 내의 보물 상자에는 서브 웨폰인 원령환이 하나 들어 있다.
- Ver.1.2.1부터는 막심성의 티 테이블에서 마지막으로 이용한 또다른 티 테이블로 워프할 수 있다.
6. 시스템
6.1. 스타일
기본적으로 세이브 데이터 선택 시, 즉 게임 시작 시에 하나의 스타일을 고르게 된다. 다만 막심의 가신 중 한 명인 소피스를 되살린 경우, 게임플레이 도중에도 막심성에서 소피스에게 말을 걸어 도중에 스타일을 바꿀 수 있다.- 캐주얼
최대 HP 및 WP가 늘어나고 다음 목적지가 맵에 항상 표시된다. 플레이 중인 인원수를 불문하고 최대 WP는 20 증가하며, HP는 한 사람당 200씩 늘어난다. 늘어난 HP는 기존의 분량과 달리 파란 게이지로 표현되고, 일단 소실되고 나면 티 테이블 이외의 수단으로는 회복할 수 없다.
- 베테랑
표준적인 스타일.
- 챌린저
전작의 레전드 헌터를 대체하는 스타일. 적의 공격력이 오르는 대신 아이템 드롭 확률도 높아진다. 베테랑 스타일에서도 아이템은 인벤토리가 터지도록 떨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큰 메리트가 없다.
얼티메이드(Ultimaid)
원래 레전드 헌터 스타일을 대체하기 위해 마련되었지만 최종적으로는 챌린저에 밀려난 미사용 스타일. PQube의 제품 소개 페이지에는 아직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 데이터 마이닝된 텍스트에 의하면 적의 공격력이 오르는 것도 모자라서 플레이어 레벨이 올라도 최대 HP가 증가하지 않고, 게임플레이 도중에 소피스를 통해 스타일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6.2. 기본 조작법
<rowcolor=#ff28eb> 레벨 | 해방되는 능력 |
2 | 공중 점프 |
5 | 데빌 힐링 |
9 | 공중 대시 |
14 | 서브 웨폰 세팅 +1 |
17 | 레스큐 교대 |
22 | 공중 점프 횟수 +1 |
27 | 데빌 대시 |
29 | 서브 웨폰 세팅 +1 |
31 | 데빌 스트레이트 |
35 | 공중 대시 횟수 +1 |
40 | 서브 웨폰 세팅 +1 |
44 | 공중 점프 횟수 +1 |
48 | 공중 대시 횟수 +1 |
맵을 펼쳐보는 기능과 대시가 추가되고, 키리카와 마샤 모두 2개의 서브 웨폰을 동시에 장비하게 되어 서브 웨폰 버튼도 2개로 늘었다.
- 점프 (B) {스페이스 바}
전작과 동일하게 멀티플레이 중에는 한 플레이어가 다른 플레이어 위에 올라탈 수 있다. 플레이어의 레벨이 2로 오르면 공중 점프를 할 수 있게 되고 레벨이 22, 44에 도달했을 때 연속으로 뛸 수 있는 횟수가 1씩 늘어난다. 특정한 마보를 장비하면 추가로 횟수를 늘릴 수도 있다.
- 메인 공격 (Y) {마우스 좌클릭}
- 키리카: 서브머신건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탄수를 1씩 소비하여 전방을 향해 스테일메이트를 자동으로 연사한다. 연사 속도와 사거리에 제한이 있으며, 키리카가 화면 외곽에 있을 때 쏘면 탄환이 화면 반대편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 키리카: 샷건
대시 버튼을 누른 채로 메인 공격을 시도하면 사거리가 짧은 대신 공격력이 높은 산탄을 발사한다. 사용 시 탄수가 12씩 소비되며 잔량이 부족하더라도 1발 이상 남아 있으면 이를 모두 소비하여 한 번은 더 쏠 수 있다. 쏠 때마다 반동으로 키리카가 조금씩 후퇴한다. 공중에서는 뒤로 더 크게 밀려나고 처음 쏠 때에 한해서 아주 약간이지만 위로도 뜬다.[4] - 마샤: 가르데니아
버튼을 누를 때마다 채찍을 휘두른다. 지상에서는 최대 3연속 공격이 가능하며, 2단계 공격은 2회까지 다단 히트한다. 대시 중에 휘두를 경우 공격을 마치거나 스텝 이동으로 캔슬할 때까지 대시의 관성이 유지된다. 후술할 스톡 아이템을 비축해두면 속성이 부여된다는 숨겨진 특성[5]이 있는데, 소지 중인 첫 번째 씨앗이 붉은색이면 차지 공격 없이 채찍만 휘둘러도 마장의 숲에 있는 가시덩굴을 불태우고 복마동굴의 꺼진 랜턴에 불을 붙일 수 있다. - 마샤: 차지 공격
공격 버튼을 길게 눌렀다 떼면 소지 중인 마계 식물의 씨앗으로 공격할 수 있다. 스톡은 최대 5개까지 비축해둘 수 있으며 하나도 없을 때는 아예 차지부터 불가능해진다. 장비 중인 서브 웨폰에 차지 시간을 단축시키는 스킬이 있을 경우 차지 속도가 빨라진다.
- 쭈그려 앉기 (↓)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캐릭터가 자세를 낮춘다. 이 상태로 공격 버튼을 누르면 저자세 공격이 가능하다. 키리카와 마샤 모두 이 상태에서 좌우로 움직이려면 대시를 할 수밖에 없으며, 그마저도 아주 조금씩만 움직인다.
- 리로드 (지상에서 ↓↓ 혹은 Y)
키리카를 조작하고 있을 때 지상에서 ↓를 2연타하거나, 탄수가 0일 때 서브머신건으로 공격을 시도하면 재장전으로 탄수를 회복한다. 공중에서 공격 버튼으로 리로드를 시도하거나, 장소를 불문하고 샷건의 커맨드를 입력할 경우 헛방만 나가고 리로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 서브 웨폰 1 (X) {E} / 서브 웨폰 2 (A) {R}
정해진 양의 WP를 소비해서 조작 중인 캐릭터가 장비한 2개의 서브 웨폰 중 하나를 골라서 사용한다. 장비 중인 무기와 남은 WP는 화면 좌측 하단의 UI로 확인할 수 있다.
- 대시 / 스텝 이동 (L) {시프트}
- 지상에서 전방을 향해 빠르게 돌진한다. 돌진하면서 몸을 낮추기 때문에 폭이 좁은 통로를 이동하는 용도로도 쓰이는데, 전작과 달리 키리카와 마샤 모두 대시로 통과가 가능하다.
- 이동 거리는 버튼을 입력한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하지만 돌진 중에 쭈그려 앉으면 캔슬이 가능하다. 먼저 쭈그려 앉은 채로 대시를 시도하면 돌진 직후 캔슬이 이루어져 이동 거리가 극단적으로 짧아진다. 이 방법으로 좁은 통로 안에 낀 채로 멈출 수도 있다.
- 마샤의 경우 채찍을 휘두르는 도중에 대시 버튼을 누르면 뒤로 살짝 후퇴하는 스텝 이동이 가능하다. 스텝 이동 중에 메인 공격 버튼을 누르면 1~2단계를 건너뛰고 3단계 공격을 쓸 수 있으며, 대시와 공격 버튼을 교대로 연타하면 스텝 이동과 3단계 공격만 반복하며 계속 후퇴할 수 있다.
- 플레이어의 레벨이 9로 오르면 공중 대시를 할 수 있게 되고 레벨이 35, 48에 도달했을 때 연속으로 쓸 수 있는 횟수가 1씩 늘어난다. 특정한 마보를 장비하면 추가로 횟수를 늘릴 수도 있다.
- 데모닉 어빌리티 (R) {마우스 우클릭}
플레이어 레벨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마왕 막심이 원래 지녔던 힘의 일부를 쓸 수 있다. 데빌 힐링과 데빌 스트레이트는 쓸 때마다 마왕력을 소비하며, 마왕력이 바닥나면 48초의 쿨타임이 발생하여 데모닉 어빌리티를 쓸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남은 마왕력은 막심의 대사나 화면 좌측 하단의 두개골 아이콘으로 파악할 수 있다. - 데빌 힐링
플레이어 레벨이 5가 됐을 때 가장 먼저 해금되는 어빌리티. 일정 시간 동안 버튼을 길게 누르면 남은 마왕력을 모두 소비하여 사용자의 HP를 50% 회복할 수 있다. - 데빌 대시 (데빌 힐링 발동 전에 L, 혹은 대시 중에 R)
플레이어 레벨이 27이 됐을 때 해금되는 어빌리티. 사용자가 마왕의 오라를 두른 채 고속으로 돌진하기 시작한다. 데빌 힐링을 준비하는 도중에 대시 버튼을 누르거나, 거꾸로 대시 중에 데모닉 어빌리티 버튼을 누르면 발동한다. 후자가 준비 동작을 생략하기 때문에 전자보다 훨씬 빠르며 공중 대시 중에도 발동이 가능하다.
데빌 대시 중에는 물 위를 달릴 수 있어서 기존에 통과할 수 없던 긴 물길을 통과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뿐만이 아니라 용암은 물론 마장의 숲에 깔린 가시덩굴 위에서도 피해 없이 달릴 수 있고, 독기를 띠는 분홍색 가시덩굴은 아예 데빌 대시에 닿으면 파괴된다. 공격 판정까지 있기 때문에 그 밖의 장애물이나 적을 뚫고 지나가는 것도 가능. 그러나 무적 상태가 되지는 않는 데다가 일부 마물은 플레이어 레벨이 부족하면 데빌 대시를 튕겨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데빌 대시 자체는 마왕력을 전혀 소비하지 않으나 데빌 힐링 및 데빌 스트레이트로 인해 쿨타임이 발생한 경우 데빌 대시도 불가능해진다. - 데빌 스트레이트 (데빌 힐링 발동 전에 X+A)
플레이어 레벨이 31이 됐을 때 마지막으로 해금되는 어빌리티. 마왕력을 1/3만큼 소비하여 거대한 주먹을 불러낸다. 데빌 힐링을 준비하는 도중에 두 서브 웨폰 버튼을 동시에 눌러야 하며, 방향 조작과 조합하면 주먹의 방향을 수직으로 바꾸어 위나 아래를 칠 수도 있다. 랜스로 부숴야 하는 회색 봉쇄 블록은 이 공격으로도 파괴할 수 있으며, 자주색 봉쇄 블록처럼 랜스조차 안 통하는 일부 장애물은 데빌 스트레이트로만 부술 수 있다.
- 자매 레스큐 (Y) {좌클릭}
HP가 0이 되어 쓰러져 있는 캐릭터에게 접근한 다음, 쭈그려 앉은 채 공격 버튼을 연타하면 HP를 20% 회복하여 부활시킬 수 있다. 전작의 자매 레스큐와 비슷하지만 조작법이 바뀌고 HP 회복량이 감소하였다.
- 캐릭터 교대 (ZL 또는 ZR) {Q 또는 Tab}
- 혼자서 게임을 플레이할 때 조작 캐릭터를 변경할 수 있다. 전작과 달리 공중에서도 교대가 가능하지만, 좁은 통로 안에 끼어 있을 때는 교대할 수 없다.
- 플레이어 레벨이 17까지 오르면 레스큐 교대를 할 수 있게 된다. 조작 캐릭터의 HP가 0이 되면 다운되기 전에 게임이 잠시 슬로 모션으로 전환되고, 이 틈에 교대하면 다운되지 않고 HP를 회복할 수 있다.
- 마스코트화 (ZL 또는 ZR) {Q 또는 Tab}
멀티플레이 중에 한 사람이 교대 버튼을 누를 경우, 조작 중인 캐릭터가 무적 상태로 나머지 한 명의 주변을 맴돌게 된다. 마스코트화 중에 버튼을 다시 누르면 해제된다.
- 맵 ON/OFF (⊖) {M}
화면 상단에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조작 중인 캐릭터가 지도를 들며 그 상태로 이동도 가능하지만, 공격을 시도하거나 대미지를 받으면 자동으로 OFF로 전환된다. 플레이어의 현재 위치는 분홍색으로 표시된다.
6.3. 아이템 목록
6.3.1. 도구
- 마재목
마계의 독기를 흡수한 목재. 특정한 적을 처치하다 보면 랜덤하게 드롭되며 일부 보물 상자에서도 얻을 수 있다. 아라크나르를 되살리고 마재목 10개를 전달하면 막심성의 1단계 부활이 가능하며, 이후 20개를 더 모아오면 완전 부활이 달성된다.
- 오를란의 도시락
요리장 오를란을 되살리면 막심성에서 조달할 수 있게 되는 특제 도시락. 사용 시 HP가 회복된다. 마재목으로 마왕성을 복구하다 보면 회복량이 더 높은 도시락을 받을 수 있다.
- 독특제 포션
가신 독트르드를 되살리면 막심성에서 조달할 수 있게 되는 특제 증폭 포션. 옐로 포션은 HP 및 WP 회복 효과, 그린 포션은 공격력 상승 효과가 있지만 둘 다 사용 시에 사용자에게 상태 이상을 부여한다. 퍼플 포션은 WP를 회복하고 잠시 최대치를 늘려준다.
- 레드 스피리타 · 크림슨 스피리타
병에 담긴 혼. 사용 시 HP가 회복된다.
- 블루 사인 · 시안 사인
깨뜨리면 마력이 증폭되는 마술인. 사용 시 WP가 회복된다.
- 퓨어 블러드
순도가 높은 악마의 혈액. 사용 시 상태 이상이 해제된다.
6.3.2. 서브 웨폰
공격력과 소비 WP는 모두 스킬이 적용되지 않은 기본값이다. 드롭이나 구매로 얻은 서브 웨폰에는 무작위로 최대 4개의 스킬이 부여되며, 일부 무기는 처음부터 특정한 스킬을 포함한다.6.3.2.1. 공용
- 투척용 나이프
위를 향해 대각선으로 나이프를 하나 던진다. 개량 후에는 3개의 나이프를 동시에 던지게 되며, 하나의 적에게 이를 모두 맞히면 적은 WP로도 상당한 대미지를 줄 수 있다. - 대거 (공격력 8 / 소비 WP 2)
- 포이즌 바이트 (공격력 8 / 소비 WP 3)
독 스킬이 기본으로 주어지는 무기. 크리티컬 히트 시 적에게 독을 부여한다. - 스틸레토 (공격력 19 / 소비 WP 4)
- 페이틀 피어스 (공격력 22 / 소비 WP 8)
마비 스킬이 기본으로 주어지는 무기. 크리티컬 히트 시 적을 마비 상태로 만든다.
- 대검
길고 넓적한 검을 휘둘러 눈앞의 대상을 공격한다. 마샤의 메인 공격에 이어서 사용하면 4단계 공격처럼 활용할 수 있다. 개량 후에는 휘두를 때마다 충격파가 발생하여 전방을 향해 살짝 전진한다. - 헤비 플레이트 (공격력 40 / 소비 WP 8)
- 카츠발거 (공격력 53 / 소비 WP 15)
- 목 없는 귀부인 (공격력 70 / 소비 WP 20)
- 원령환 (공격력 70 / 소비 WP 25)
감소한 HP를 공격력에 가산하는 스킬 '원령의 일격'이 기본으로 주어지는 무기. 그대로 쓰기보다는 스킬 이동으로 다른 무기에 원령의 일격을 부여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소비 WP가 적고 다단 히트가 가능한 투척용 나이프나 스턴 스모크와 상성이 좋다. - 하우스키퍼 (공격력 244 / 소비 WP 25)
- 랜턴
어둡게 가려진 곳을 밝히는 서브 웨폰. 사용자를 따라다니면서 주변을 비추다가 사용자가 버튼을 다시 누르면 사라진다. 랜턴이 켜져 있을 때 캐릭터를 바꿔도 계속 쓸 수 있으며, 맵에 설치된 꺼진 랜턴에 불을 붙이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다른 서브 웨폰과 달리 개량은 불가능하다. - 황혼 랜턴 (공격력 0 / 소비 WP 0)
- 땅거미 랜턴 (공격력 0 / 소비 WP 0)
사용하는 동안 연소 효과가 사라지는 랜턴. - 치유 랜턴 (공격력 0 / 소비 WP 8)
사용하는 동안 일정 주기로 WP가 줄어드는 대신 사용자의 HP가 조금씩 회복되는 랜턴. - 빙하의 저주 랜턴 (공격력 0 / 소비 WP 0)
- 악마 메이드의 작업 도구 세트
DLC 아이템. 새 게임을 시작하면 자동으로 인벤토리에 하나씩 나타난다. - 먼지떨이 (공격력 1 / 소비 WP 1)
가볍게 휘둘러서 가까이 있는 적을 공격할 수 있는 무기. 개량 후에는 이 무기로 적을 처치하는 순간 HP가 5% 회복된다. - 대걸레 (공격력 44 / 소비 WP 3)
대검처럼 휘둘러서 적을 공격할 수 있는 무기. 버튼을 길게 누르면 휘두른 후에도 손에서 놓지 않고, 그 상태로 지상에서 이동하면 걸레질이 가능하다. 걸레질 자체에도 공격 판정이 있으나 청소 중에는 대시가 불가능하다. 개량 후에는 걸레질로 일정 거리를 이동할 때마다 HP가 1%씩 회복된다.
6.3.2.2. 키리카 전용
- 투척탄
착탄 시 폭발을 일으키는 유탄 하나를 투척한다. 쭈그려 앉은 상태에서는 지면을 따라 굴리고 그 외의 상황에서는 포물선을 그리듯이 던진다. 유탄은 투척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공격 가능한 물체 혹은 플레이어의 다른 공격과 접촉하면 터진다. 개량 후에는 공격 횟수가 늘어난다. - 데몬 그러네이드 (공격력 17 / 소비 WP 4)
개량 후에는 3회의 폭발이 가로로 줄지어 일어난다. 추가적인 폭발은 유탄이 터진 지점 앞에서 발생하고 지형도 무시하기 때문에, 적절한 위치에서 터뜨리면 본래 한쪽에서만 부술 수 있는 벽을 반대편에서도 부술 수 있다. - 파이어 그러네이드 (공격력 17 / 소비 WP 5)
불꽃 속성 및 연소 스킬이 기본으로 주어지는 무기. 크리티컬 히트 시 적을 연소 상태로 만든다. 개량 후에는 착탄점 위아래에서 폭발이 추가로 발생하여 공격 범위가 세로로 길어진다. - 스턴 스모크 (공격력 1 / 소비 WP 4)
마비 스킬이 기본으로 주어지는 무기. 개량 후에는 착탄점을 중심으로 5회의 폭발이 연속으로 발생한다. 개량 후의 공격 횟수가 투척탄 중 가장 많기 때문에, 원령의 일격을 중심으로 공격력을 보강하면 터무니없는 화력을 발휘할 수 있다. - 매스 데스 (공격력 44 / 소비 WP 10)
데몬 그러네이드보다 큰 폭발을 일으키는 무기. 개량 후에는 같은 자리에서 폭발이 두 번 연속으로 발생한다.
- 부메랑
수평으로 전진하는 투척 무기를 날린다. 적이나 지형지물을 모두 관통하며, 일정 거리를 전진하면 잠시 한 곳에 멈췄다가 돌아온다. 사용자는 어디까지나 키리카이므로 투척 후에 캐릭터 교대 시 마샤를 무시하고 던진 방향의 반대쪽으로 날아간다. 개량 후에는 주변에 탄환을 흩뿌리는 효과가 추가된다.
화면 내에 2개까지 배치할 수 있는 데다가 다단 히트까지 하기 때문에 멈춰 있는 적에게 제법 큰 대미지를 준다. 또한 지형을 관통한다는 점과 사용자에게 돌아오는 성질을 이용하면, 데몬 그러네이드와 마찬가지로 특정한 벽을 엉뚱한 방향에서 부술 수 있다. - 체이서 (공격력 12 / 소비 WP 5)
- 플라잉 디스크 (공격력 16 / 소비 WP 8)
- 파이어워크스 (공격력 20 / 소비 WP 12)
- 암흑십문자 (공격력 26 / 소비 WP 15)
- 랜스
봉쇄 블록을 파괴할 수 있는 투척 무기. 지상에 서서 사용하면 약간의 차지 시간을 거쳐 수평으로 던지고, 공중에서 사용하면 지면에 대각선으로 꽂아버린다. 대시 중에 사용하면 랜스를 수평으로 든 채로 돌진하면서 공격한다.
지상에서 던지는 랜스는 마샤가 사용하는 씨앗과 동일하게 차지 공격으로 취급되어, 장비 중인 서브 웨폰에 차지 시간을 단축시키는 스킬이 있으면 더 빨리 던질 수 있다. 또한 개량 후에는 차지 공격이 벽에 박혀도 잠시 사라지지 않는데 이때 자루 부분을 밟고 올라설 수 있다. - 차지 랜스 (공격력 48 / 소비 WP 6)
- 아틀라틀 (공격력 68 / 소비 WP 10)
- 할버드 (공격력 51 / 소비 WP 14)
- 코트 오브 암즈 (공격력 144 / 소비 WP 18)
마왕 막심의 문장이 그려진 군기. 벽이나 바닥에 꽂으면 깃발이 펼쳐지는 효과가 있다.
- 퇴마 토피도 (공격력 250 / 소비 WP 40)
카미조노 자매의 두 번째 보스전에서 승리하면 인벤토리에 추가되는 무기. 화면 내의 적을 록온한 다음, 지형지물을 관통하는 미사일을 쏴서 각각의 표적에 하나씩 맞힌다. 전작의 퇴마 로켓 런처와 비슷하게 발사가 아니라 록온 자체가 마력을 소비하므로, 적이 없는 곳에서 록온을 시도해도 WP는 똑같이 줄어든다. 처음에는 최대 4발의 미사일을 동시에 쏠 수 있으나 개량 후에는 최대 5발로 늘어난다.
6.3.2.3. 마샤 전용
- 스파이더
정면을 향해 돌진하는 스파이더를 하나 소환한다. 가르데니아로 스파이더를 때려서 튕겨내면 일시적으로 불꽃을 두르고 공격력을 높일 수 있다. 소환할 때 쓰인 버튼을 다시 입력하면 마샤의 곁으로 걸어온다. - 서먼 스파이더 (공격력 14 / 소비 WP 5)
- 드래그 (공격력 14 / 소비 WP 7)
독 스킬이 기본으로 포함된 스파이더. - 레드 헬름 (공격력 30 / 소비 WP 10)
- 빅 존 (공격력 45 / 소비 WP 12)
다른 개체보다 훨씬 큰 거대 스파이더를 사역한다.
- 마검
저주받은 마검 한 자루를 불러낸다. 소환된 마검은 마샤를 따라다니며 주변의 적을 자동으로 공격하는데, 소환할 때가 아니라 공격할 때마다 WP를 소비한다. 버튼을 다시 누르면 사용을 중지하고 없애버릴 수 있다. - 서먼 소드 (공격력 21 / 소비 WP 4)
- 커스 로드 (공격력 28 / 소비 WP 5)
- 콜드 커스 (공격력 21 / 소비 WP 6)
얼음 속성 및 동결 스킬이 기본으로 주어지는 무기. 크리티컬 히트 시 적을 동결 상태로 만든다. - 옥타비아의 복수 (공격력 100 / 소비 WP 10)
- 케르베로스
마샤 앞에 마계의 파수견을 한 마리 소환한다. 소환된 케르베로스는 포효로 적을 공격한 뒤에 소멸하며, 키리카의 차지 랜스처럼 봉쇄 블록을 파괴할 수 있다. 개량 후에는 포효의 횟수가 2회로 늘어난다. - 서먼 케르베로스 (공격력 70 / 소비 WP 15)
- 멜트 케르베로스 (공격력 70 / 소비 WP 20)
불꽃 속성 및 연소 스킬이 기본으로 주어지는 무기. - 콜드 케르베로스 (공격력 70 / 소비 WP 20)
얼음 속성 및 동결 스킬이 기본으로 주어지는 무기. - 킹 케르베로스 (공격력 350 / 소비 WP 50)
- 종이 신령 (공격력 5 / 소비 WP 10)
카미조노 자매의 두 번째 보스전에서 승리하면 인벤토리에 추가되는 무기. 10초간 공격 판정이 있는 3개의 종이 신령이 마샤 주변을 공전한다. 개량 후에는 소환에 쓰인 버튼을 다시 입력하여 전개 중인 배리어를 전방을 향해 발사할 수 있다.
6.3.3. 중요한 물건
- 마왕의 뼈
플레이어 레벨을 올리는데 필요한 아이템. 후술할 큰뼈와 이 아이템을 하나도 빠짐없이 옥좌에 납골하여, 플레이어 레벨을 50까지 올리는 것이 본작의 트루 엔딩을 보기 위한 조건이다. 획득 경로는 다음과 같다. - 보스전: 마계 탐색을 개시한 직후 마장의 숲에서 보스로 등장하는 마물을 처치하면 처음으로 마왕의 뼈를 하나 얻을 수 있다.
- 섬멸전: 특정한 장소에 진입하면 그곳에 나타나는 마물이 전멸할 때까지 떠날 수 없다. 복마동굴과 명해에서 발생하는 섬멸전을 마치면 마왕의 뼈가 10개씩 주어진다.
- 드롭 아이템: 아래 표에 명시된 모든 지역에는 뼈 하나를 들고 고속으로 도주하는 마물이 하나씩 있으며, 이 마물을 잡으면 확정적으로 하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마물을 잡았을 때도 랜덤하게 뼈가 드롭되지만, 이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는 개수는 지역별로 정해져 있다.[6] 아래의 표에 적힌 수량은 각 지역에서 랜덤으로 드롭되는 개수 + 도주하는 마물이 드롭하는 1개를 더한 값이다.
- NPC: 에르그 홍사해의 구석에 숨어 있는 마계 모험가 후보생에게서 5개의 뼈를 얻을 수 있다.
- 보물 상자: 마왕의 뼈가 들어 있는 상자가 지역별로 3개까지 숨겨져 있다. 각각의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수량은 최소 5개, 최대 30개.
<rowcolor=#ff28eb> 지역 획득 가능한 수량 <rowcolor=#ff28eb> 드롭 아이템 보물 상자 기타 계 마장의 숲 11 + 1 30
(5 + 5 + 20)1
(보스전)43 복마동굴 10 + 1 10
(상자 1개)10
(섬멸전)31 축보성 19 + 1 20
(10 + 10)- 40 에르그 홍사해 27 + 1 20
(상자 1개)5
(NPC)53 배신의 강 28 + 1 40
(15 + 15 + 10)- 69 게헨나 용암계곡 29 + 1 20
(10 + 10)- 50 명해 31 + 1 40
(20 + 20)10
(섬멸전)82 옛 전쟁터 36 + 1 60
(20 + 20 + 20)- 97 라이제노그성 0 + 1 60
(30 + 30)- 61
- 마왕의 큰뼈
상술한 마왕의 뼈와 역할은 같지만 단 2개밖에 없는 아이템. 하나는 미식성에서 라이사와 싸워 승리하면 얻을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시모니아 타락요새의 마계 상인이 8000엔에 판매한다. 하나를 납골할 때마다 마왕의 뼈 20개와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 가신의 혼
맵의 정해진 위치에 놓여 있는 아이템. 획득한 뒤 막심성에서 혼에 대응하는 사체에 접근하면 자매 레스큐와 같은 방법으로 막심의 가신들을 되살릴 수 있다.
- 데모니글리프
보물 상자나 마계 상인에게서 구할 수 있는 아이템 중 하나. 맵 곳곳에 데모니글리프로 열 수 있는 문이 있으며, 문에 따라 최소 1개에서 최대 3개까지 필요하다. 개수가 딱 맞아떨어지기 때문에 모든 문을 개방하려면 하나도 빠짐없이 모아야 한다.
6.3.4. 마보
마계 귀족의 장비품. 장비 메뉴에서 마왕 막심을 강화할 때 쓰이며, 최대 8개까지 동시에 장비할 수 있다. 활보~불굴을 제외하면 인벤토리의 아이템을 종류별로 정렬했을 때의 순서로 기재되어 있다.<rowcolor=#ff28eb> 명칭 | 효과 | 획득 경로 |
<colcolor=#36b7b0> 활보 | 연속으로 공중 점프를 쓸 수 있는 횟수가 1 증가한다. | 드라니스 격파 |
자재 | 연속으로 궁중 대시를 쓸 수 있는 횟수가 1 증가한다. | 마계 모험가 후보생 |
호유 | 주변의 마전이 플레이어를 향해 자동으로 끌려오고 드롭 금액이 30% 증가한다. | 보물 상자(복마동굴) |
기예 | 공중에서 캐릭터 교대 시 1회에 한해 자매의 점프 횟수를 리셋한다. | 보물 상자(명해) |
강타 | 키리카와 마샤의 공격력이 5 증가한다. | 마계 상인(복마동굴) |
맹타 | 키리카와 마샤의 공격력이 10 증가한다. | 마계 상인(배신의 강) |
격타 | 키리카와 마샤의 공격력이 15 증가한다. | 마계 상인(옛 전쟁터) |
불파 | 키리카와 마샤의 방어력이 5 증가한다. | 마계 상인(복마동굴) |
불도 | 키리카와 마샤의 방어력이 10 증가한다. | 마계 상인(배신의 강) |
불굴 | 키리카와 마샤의 방어력이 15 증가한다. | 마계 상인(옛 전쟁터) |
행운 | 아이템 드롭률이 10% 상승한다. | 보물 상자(에르그 홍사해) |
발골 | 적이 마왕의 뼈를 드롭할 확률이 상승한다. | 마계 상인(시모니아 타락요새) |
수집 | 적이 서브 웨폰을 드롭할 확률이 상승한다. | 마계 상인(시모니아 타락요새) |
채록 | 적이 스톡 아이템을 드롭할 확률이 상승한다. | 마계 상인(시모니아 타락요새) |
초복 | 적이 회복 아이템을 드롭할 확률이 상승한다. | 마계 상인(시모니아 타락요새) |
숙려 | 최대 HP -20%, 최대 WP +20%. | 보물 상자(축보성) |
건담 | 최대 WP -20%, 최대 HP +20%. | 보물 상자(복마동굴) |
지계 | 최대 WP가 50 증가한다. | 마계 모험가 후보생 |
유람 | 일정한 주기로 WP가 소량 회복된다. | 보물 상자(배신의 강) |
무용 | 서브 웨폰으로 적 격파 시 WP가 소량 회복된다. | 보물 상자(마장의 숲) |
침점 | HP 회복 효과가 20% 증가한다. | 보물 상자(축보성) |
공진 | 멀티 플레이 시 공격력과 방어력이 5씩 증가한다. | 보물 상자(축보성) |
무결 | HP가 가득 차 있으면 공격력이 15 증가한다. | 보물 상자(에르그 홍사해) |
갈수 | HP가 낮아지면 저절로 회복 아이템을 사용한다. | 보물 상자(에르그 홍사해) |
장건 | 버프의 지속 시간이 1.5배로 증가한다. | 보물 상자(명해) |
총귀 | 키리카의 최대 탄환 수가 20% 증가하고, 마샤 조작 중에는 주기적으로 탄수가 1씩 회복된다. | 마계 상인(배신의 강) |
회순 | 마샤가 스텝 이동 중에 대미지를 받지 않게 된다. | 마계 상인(배신의 강) |
복독 | 상태 이상 중 독이 상시로 작용하여, 1초마다 일정량의 HP가 감소한다. | 마계 상인(에르그 홍사해) |
소모 | 상태 이상 중 누출이 상시로 작용하여, 1초마자 일정량의 WP가 감소한다. | 마계 상인(에르그 홍사해) |
둔시 | 게이지 계열 HUD를 전부 화면에서 숨긴다. 간혹 둔시를 장비하지 않아도 HUD가 나타나지 않는 오류가 발생한다. | 보물 상자(옛 전쟁터) |
찰나 | 데빌 힐링의 발동에 필요한 버튼 입력 시간이 극도로 짧아진다. | 마계 상인(배신의 강) |
정체 | 데빌 힐링의 발동에 필요한 버튼 입력 시간이 길어진다. | 마계 상인(배신의 강) |
===# 엔딩 #===
Ver.1.2.1부터는 최종 보스전 직후의 이벤트에서 두 개의 선택지가 나타나 감상할 엔딩을 고를 수 있다. 그 이전의 버전에서는 플레이어 레벨이 50이 되고 나면 노멀 엔딩을 볼 수 없으므로 모든 뼈를 납골하기 전에 세이브 데이터의 사본을 만들어놓는 것이 권장된다.
- 노멀 엔딩
플레이어 레벨이 50 미만일 때 최종 보스전에서 승리하면 볼 수 있는 엔딩. 막심이 신마왕 라이제노그에게 빼앗긴 자신의 심장을 지배하여 잠시 그의 움직임을 멈추고, 그 틈에 키리카와 마샤가 막심의 명령에 따라 라이제노그의 숨통을 끊어버린다. 막심의 혼은 메이드 자매가 무사히 명해에서 데리고 나왔지만, 흩어진 뼈를 다 모으지 못하여 어린 아이의 모습으로 되살아난다.[7]
- 트루 엔딩
막심의 뼈를 빠짐없이 옥좌에 납골하여, 플레이어 레벨을 50까지 올린 뒤 최종 보스전에서 승리하면 볼 수 있는 엔딩. 뼈에 깃든 수많은 [ruby(마음, ruby=하트)]이 새 [ruby(심장, ruby=하트)]이 되어 막심은 기존의 심장을 빼앗기고도 완전 부활에 성공한다. 심지어 이전보다 강해져서 되살아나자마자 일격에 라이제노그를 날려버리고 달까지 박살내버리더니, 마계 통일을 위해 영지 재건과 집무를 가신들에게 떠넘기고 출전해버린다.
7. 평가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1b2838,#555><bgcolor=#1b2838>
||
기준일:
2024-04-26
2024-04-26
<rowcolor=#fff> 종합 평가 | 최근 평가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253630/#app_reviews_hash| 복합적 (6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253630/#app_reviews_hash|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
전작에 비해 맵을 크게 넓히고 본격적인 탐색형 액션을 시도했다는 점, 선정적이고 막나가는 걸☆건 시리즈 특유의 색채가 다소 옅어졌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볼 여지가 있지만[8] 그 외의 면에서는 평가가 더 미묘해졌다. 종합해보면 편의성 부족과 곳곳에 산재한 오류가 주된 지적사항이며, 몇 가지 구체적인 예를 꼽아보면 아래와 같다. 그나마 일부 문제는 업데이트를 통해 순차적으로 해결되고 있는 상황.
- 불친절한 설명
일본어 이외의 언어로 플레이하면 튜토리얼 화면에 버튼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는 터무니없는 오류가 한동안 발생했었다. 이 때문에 여러 플레이어들이 게임 진행에 필수적인 데빌 대시와 데빌 스트레이트의 조작법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불행 중 다행으로 이 오류는 Ver.1.1.4 업데이트로 고쳐졌다. 그러나 스톡 아이템이 가르데니아에 속성을 부여하는 성질 등, 여전히 게임 내에서 제대로 설명되지 않는 요소들이 남아 있어 완벽히 해결된 문제라고 보기에도 애매하다.
- 마왕의 뼈
Ver.1.2.0 및 Ver.1.2.1 업데이트로 해결된 문제. 그전까지는 에리어별로 획득 가능한 뼈의 개수를 확인할 방법이 전무했으며, 뼈를 모두 납골해서 레벨을 50으로 올리고 나면 해당 세이브 데이터로는 노멀 엔딩을 영영 볼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후 에리어별 뼈 수집 상황을 맵에 표시해주는 기능과 엔딩을 선택해서 볼 수 있는 기능이 업데이트로 추가되어 숨통이 트였다.
- 넓어진 맵 규모에 비해 불편해진 이동
워프 기능이 카론 · 샌드웜 · 티 테이블에 분산된 데다가 각각의 이동 범위도 상당히 제한적이다. 그나마 Ver.1.2.1부터는 티 테이블의 성능 개선으로 탐색 도중에 막심성을 들렀다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한결 편해졌다.
- 발적화
Nintendo Switch판의 최적화 상태가 인티 크리에이츠의 과거작들에 비하면 심각하게 나쁘다. 화면 전환 시의 로딩이 느린 것은 둘째치고, 안개가 껴 있는 마장의 숲은 평범하게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상시로 프레임 드롭이 발생하는 수준이다. 심지어 메뉴를 열거나 카론에게 말을 걸어 맵을 스크롤할 때는 마장의 숲을 탐색할 때보다 훨씬 심각한 프레임 드롭이 일어난다.
- 늦어도 너무 늦는 온라인 멀티플레이 지원
업데이트로 대응한다고 사전에 공지하기는 했지만 이를 감안해도 상당히 늦다. 심지어 다운로드판 출시 후 한 달이 지나 패키지판이 나올 때까지도 끝내 실현되지 못했다.
8. 기타
- 인티 크리에이츠 정보국 제15회에 의하면 악마 메이드 자매의 성우는 현재 소속사는 다르지만 같은 양성소 출신이며, 둘 다 이 작품이 실질적인 데뷔작이라고 한다. 특히 마샤의 경우 사쿠라카와 마이가 성우가 된 이후 오디션으로 따낸 첫 배역이다.
- Steam Next Fest의 개최 기간에 한하여 체험판이 공개되었는데, 마장의 숲에 자라난 버섯을 이용해 맵을 무시하고 이동하는 테크닉이 발빠르게 발굴되었다. # ## 그 밖에도 공중에서 샷건을 연사해 점프만으로 도달할 수 없는 곳에 오르는 꼼수가 성행했지만, 결국 제품판과 나중에 새로 배포된 체험판에서는 막혔다.
- '25년 2월 28일의 INTI HQ 방송에 따르면 그림 가디언즈: 데몬 퍼지 출시 직후에 구상된 후속작이지만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된 것은 카드 앙 시엘을 비롯한 다른 프로젝트가 마무리된 이후라고 한다. 방송을 진행하던 앤드루는 '본작의 캐릭터가 걸☆건 시리즈에 등장할 수 있냐'라는 시청자의 질문에 게임을 만들 수만 있다면 그러기를 바란다며 걸☆건 자체가 시대적으로 민감한 주제가 되어버렸음을 시사했다.
- 전작과 달리 걸☆건 시리즈 공식 트위터에서 인티 크리에이츠 공식 트위터의 공지를 리트윗하지 않고 있다.
- 같은 회사가 제작한 푸른 뇌정 건볼트 鎖環나 카드 앙 시엘처럼 한 달에 한 번씩 대규모 패치를 실시하는 무상 업데이트 캠페인의 대상이다. 다만 앞의 두 게임과 달리 이쪽은 캠페인 기간이 4개월로 줄었다.
[1] 카론과 마찬가지로 한국어판에서 이름이 다소 잘못 번역된 캐릭터로, 이름에 z가 들어감에도 드드가 되어버렸다.[2] 에르그 홍사해에서 특정한 물길을 얼려버린 뒤, 얼음을 깨고 뛰어내리면 낙하 대미지를 받는 것이 아니라 복마동굴로 떨어진다.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 벚나무는 가끔씩 인간계로 통하는 게이트를 연다고 하며, 작중에서는 동식물과의 교감에 능한 마샤의 부탁으로 즉시 열어준다.[3] 물이나 용암은 동결 스킬이 부여된 일부 서브 웨폰의 크리티컬 히트, 혹은 마샤의 얼음 속성 씨앗이 일으키는 폭발에 닿으면 얼어붙는다. 후자의 방법은 폭발이 닿지 않는 지형에서는 쓸 수 없어 전자가 더 범용성이 높은데, 소비 마력 · 공격 방식 및 횟수 · 회심률 등을 고려하면 개량된 투척탄 계열이 특히 유효하다.[4] 반동 중의 낙하 속도는 공중 점프로 초기화할 수 있기 때문에, 키리카의 경우 샷건과 공중 점프를 교대로 1회씩 사용하면 마샤보다 조금 더 높이 뜰 수 있다.[5] 공격이 속성을 띨 경우 대미지 표시에서 빛이 새어나온다. 불꽃 속성은 적색, 얼음 속성은 청색, 번개 속성은 황색, 저주 속성은 자주색이다. 속성과는 별개로 가르데니아의 타격 이펙트 또한 스톡 중인 씨앗에 따라 색이 변하는데 2종의 무속성 씨앗도 고유의 색이 있다.[6] 예를 들어 명해에서 이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뼈는 31개인데, 30개를 얻은 상태에서 명해의 적들이 2개를 더 드롭했다면 둘 중 하나만 주울 수 있다. 인벤토리에 명해에서 주운 뼈가 31개가 있을 때 나머지 하나에 접촉하면 보유 상한을 초과했다는 안내가 화면 우측 상단에 표시된다.[7] 인티 크리에이츠 공식 채널에 올라온 오프닝 무비의 썸네일이 바로 노멀 엔딩 직전에 메이드 자매가 라이제노그를 처치하는 장면이다. 아이가 된 막심의 보이스는 세키 아리아가 담당.[8] 실제로 Steam 커뮤니티에 유저들이 게재한 전작의 비판점에는 게임의 줄거리도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