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anthopterygii
일반적인 내용에 대한 내용은 극기상목 문서
, 상위 계통에 대한 내용은 최신진골어아군 생물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생물 분류 기준은 GBIF Checklist dataset에 등재된 가장 최신의 데이터로 한다.
† 표기는 계통군이 멸종했음을 의미한다.
● 표기는 해당 계통군에 대한 생물 목록 문서가 있음을 의미한다.
✲ 표기는 계통군이 한글로 기재되어 있으나 발표된 국명이 없음을 의미한다. 공식적인 명칭이 아니므로 인용 시 주의해야 한다. 유래가 같은 학명이 분류 단계만 다를 경우는 제외한다.
﹖ 표기는 계통군의 분류가 확실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 뒤에 '(☠)'가 있는 항목은 독을 가진 종류.
1. 납작금눈돔목 (Trachichthyiformes)
1.1. 아노말롭스과(Anomalopidae)1.2. 귀신고기과(Anoplogastridae)1.3. 디레트무스과(Diretmidae)1.4. 철갑둥어과(Monocentridae)1.5. 납작금눈돔과(Trachichthyidae)
2. 금눈돔목(Beryciformes)3. 농어아문(Percomorpha)1. 납작금눈돔목 (Trachichthyiformes)
1.1. 아노말롭스과(Anomalopidae)[1]
- 아노말롭스속
- 아노말롭스 카톱트론(분할지느러미발광금눈돔)
- 대서양발광금눈돔속
- 걸프발광금눈돔속
1.2. 귀신고기과(Anoplogastridae)
1.3. 디레트무스과(Diretmidae)
- 디레트무스속
- 디레트미크티스속
1.4. 철갑둥어과(Monocentridae)
1.5. 납작금눈돔과(Trachichthyidae)
- 남방러피속
- 은줄금눈돔속
- 납작금눈돔속
- 부시돌치속
2. 금눈돔목(Beryciformes)
2.1. 얼게돔과(Holocentridae)
- 얼게돔아과(Holocentrinae)
- 다람쥐고기속
- 네오니폰속
- 얼게돔속
- 적투어아과(赤鬪魚亞科, Myripristinae)
2.2. 금눈돔아목(Berycoidei)
2.2.1. 벨벳고래고기과(Barbourisiidae)
- 벨벳고래고기속
2.2.2. 금눈돔과(Berycidae)
2.2.3. 케토미무스과(Cetomimidae)
- 케토미무스속
- 디트로피크티스속
- 에우타이니오포루스속
- 미라핀나속
2.2.4. 기베리크티스과(Gibberichthyidae)
- 기베리크티스속
2.2.5. 히스피도베릭스과(Hispidoberycidae)
- 히스피도베릭스속
2.2.6. 멜람파네스과(Melamphaidae)
- 멜람파네스속
- 포로미트라속
- 시오속
2.2.7. 론델레티아과(Rondeletiidae)
- 론델레티아속
2.2.8. 스테파노베릭스과(Stephanoberycidae)
- 스테파노베릭스속
- 아비소베릭스속
- 아칸토카이누스속
- 말라코사르쿠스속
3. 농어아문(Percomorpha)
3.1. 첨치목(Ophidiiformes)
3.1.1. 두꺼비고기과(Batrachoididae)[2]
- 두꺼비고기아과(Batrachoidinae)
- 할로프리네아과(Halophryninae)
- 미주두꺼비고기아과(Porichthyinae)
- 미주두꺼비고기속
- 줄무늬두꺼비고기속
- 독두꺼비고기아과(Thlassophryininae)(☠)
3.1.2. 숨이고기과?(Carapidae)[3]
- 숨이고기아과(Carapinae)
- 피라모돈아과(Pyramodontinae)
- 피라모돈속
- 스니데리디아속
- 테트라곤다쿠스아과(Tetragondacninae)
- 테트라곤다쿠스속
3.1.3. 첨치과(Ophidiidae)
- 수염첨치아과(Brotulinae)
- 브로툴로타이니아아과(Brotulotaenilinae)
- 브로툴로타이니아속
- 네오비티테스아과(Neobythitinae)
- 그물메기속
- 아비소브로툴라속
- 귀뼈당나귀고기속
- 붉은메기속
- 람프로그람무스속
- 동갈메기속
- 첨치아과(Ophidiinae)
3.1.4. 곱등양메기아목(Bythitoidei)
3.1.4.1. 곱등양메기과(Bythitidae)
- 비티테스속
- 아피오누스속
- 분홍첨치속
- 붉은첨치속
- 에마톱스속
- 곱등양메기속
- 레우코브로툴라속
- 루키푸가속
- 메테오리아속
- 가짜첨치속
- 산블라스산호첨치속
- 사크코가스테르속
- 스키아도누스속
3.1.4.2. 디네마티크티스과(Dinematichthyidae)
- 디네마티크티스속
- 긴꼬리쿠스크속
- 라피타이크티스속
- 오길비아속
3.2. 망둑어목(Gobiiformes)[4] ●
자세한 내용은 망둑어목 생물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3.3. 고등어목(皐登魚目, Scombriformes)[5] ●
자세한 내용은 고등어목 생물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3.4. 실고기목(Syngnathiformes) ●
자세한 내용은 실고기목 생물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3.5. 오발렌타리아류(Ovalentaria)
3.5.1. 색줄멸목(Atheriniformes) ●
자세한 내용은 색줄멸목 생물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3.5.2. 베도라치목(Blenniiformes) ●
자세한 내용은 베도라치목 생물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3.5.3. 전갱이목(Carangiformes)[6] ●
3.6. 아나반티드류(Anabantaria)[7] ●
자세한 내용은 아나반티드류 생물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3.7. 에우페르카리아류(Eupercaria)
3.7.1. 양쥐돔목(Acanthuriformes)[8] ●
자세한 내용은 양쥐돔목 생물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3.7.2. 반딧불게르치목(Acropomatiformes) ●
자세한 내용은 반딧불게르치목 생물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3.7.3. 검정우럭목(Centrarchiformes)[9] ●
자세한 내용은 검정우럭목 생물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3.7.4. 놀래기목(Labriformes)[10] ●
자세한 내용은 놀래기목 생물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3.7.5. 페르카목(Perciformes)[11] ●
자세한 내용은 페르카목 생물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1] 또는 발광금눈돔과.[2] Near and Thacker (2024) https://doi.org/10.3374/014.065.0101 연구에 따라 첨치목으로 분류되었으며 Catalogue of Fishes에서는 아직 별개의 목으로 분류한다.[3] Near and Thacker (2024) https://doi.org/10.3374/014.065.0101의 연구에 따라 이 과에 속하는 생물들을 첨치과에 속하게 하는 것이 옳다고 하였으나 Catalogue of Fishes에서는 아직 별개의 과로 남아있다.[4] 예전에는 페르카목으로 분류되었다.[5] 이전에는 페르카목으로 분류했다.[6] 이전에는 페르카목으로 분류되었다.[7] 등목어류라고 하기도 한다. 드렁허리류로 보기도 한다.[8] 과거에는 페르카목으로 분류되었다.[9] 이전에는 페르카목으로 분류했다.[10] 이전에는 페르카목으로 분류했다.[11] 구 농어목. 현재 농어는 농어목에 속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