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16 13:40:33

금호(동물)

<colbgcolor=#ff8c00> 호랑이의 털 색에 따른 명칭
실존 비실존
<colcolor=#373a3c> '''
정상색
'''
<colcolor=#373a3c><colbgcolor=#ffa500>
금색
흰색 검은색 <colbgcolor=#b0c4de,#20344f>
푸른색
'''[[호랑이|
황호
]]'''
'''[[금호(동물)|
금호
]]'''
'''[[백호(동물)|
백호
]]'''
'''[[호랑이#s-8|
은호
]]'''
[[흑호(동물)|
흑호
]]
'''[[블루 타이거|
블루 타이거
]]'''
[[흑호(동물)#s-2|
아분디즘
]]
[[흑호(동물)#s-3|
멜라니즘
]]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daaefc70a9a4c86292fedab461cf266a.jpg 파일:60FA4E3D-A1CC-4066-92B5-948D9CE14DDA.jpg 파일:attachment/4_29.jpg
1. 개요2. 상세3. 오늘날 금호의 계보4. 금호 생산과 논란5. 기타6. 참고 문헌

1. 개요

금호(金虎)는 금색 털과 금색 무늬를 지닌 호랑이를 의미한다. 치즈태비

영문으로는 Golden Tabby Tiger, Golden Tiger, Strawberry Tiger 등의 표기가 주로 사용되며, 국내에서는 금호, 금호랑이, 금색 호랑이등의 표기가 주로 사용된다.

2. 상세

금색 털을 지닌 호랑이인 금호는 백색 털을 지닌 호랑이백호처럼, 별도의 호랑이 아종이 아닌 벵골호랑이가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금색 털 인자가 발현된 호랑이이다.

19세기에서 20세기 초에 야생에서 발견된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32년 인도 반도의 마이소르(Mysore) 지역에서 야생 개체가 목격된 뒤, 2018년 인도 카지랑가(Kaziranga) 국립공원에서 야생 개체가 발견됐다. 이 금호는 2020년, 2022년에도 카메라에 포착됐다. #[1]

사육상태에서 태어난 최초의 금호랑이는 후술할 '소나' 로 알려져 있다.

3. 오늘날 금호의 계보

파일:external/messybeast.com/chart-3p1a3b.png
백호 빔과 인디라의 계통도.

오늘날 금호랑이들의 시조가 정확히 누구인지는 알 수 없으나, 그 시조로 꼽히는 이들 중 하나는 오늘날 최초로 사육된 백호인 '모한'의 증손자 뻘인 수컷 백호 '빔'(Bhim)과 정상색 암호랑이 '키만티'(Kimanthi) 사이에서 태어난 딸인 '인디라'(Indira)와 아버지인 빔 사이의 근친교배를 통해 1986년 11월 2일, 미국의 신시내티 동물원(Cincinnati Zoo)에서 태어난 수컷 금호랑이 '소나' (Sona,Sonar)[2]이며, 최종적으로는 다른 여타의 금호들 대부분도 결국 모한의 후예로 여겨진다.

4. 금호 생산과 논란

파일:external/messybeast.com/tiger-colour-genes.jpg
백호(White Tiger), 금호(Golden Tiger), 은호(Stripeless tiger)의 형질이 후대에 유전되는 경우를 나타낸 그림. 이미지 출처

오늘날 동물원에서 사육되고 있는 백호를 생산하는 방식처럼 금호들의 금색 털인자도 정상색 호랑이의 황색 털 인자에 비해 열성이기 때문에, 금호도 같은 금색 털 인자를 지닌 호랑이들간의 교배를 통해서만 태어날 수 있다.

그러나 금호 역시도 한마리 호랑이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지며, 현존하는 수 또한 매우 적어 결국 금호의 생산은 백호의 생산 방식처럼 혈연관계인 호랑이들 사이의 근친상간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다.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5fd0635e01ec2e90c27cb6343a4e86cf.jpg
사시를 지닌 금호의 모습. 이미지 출처

지속되는 선택적 근친교배는 결과적으로 장애를 지닌 호랑이들을 태어나게 하는데, 백호와는 달리 장애를 지닌 금호가 적은 것은 금호의 숫자가 백호보다도 적으며, 생산을 위한 계획적인 근친교배의 역사가 백호에 비해 비교적 짧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밖에도 백호 생산에 가해지는 비판과 일맥상통하게도, 오늘날 사육되는 금호 중에는 시베리아호랑이벵골호랑이의 교잡종 호랑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교잡종 호랑이의 탄생은 서로다른 호랑이 아종간의 보전을 어지럽히는 일이다.

5. 기타

국내외적으로는 금호에 대하여 "전세계에 30마리 밖에 없고, 야생에서 멸종하여 동물원에만 있는 멸종위기 동물"이라는 잘못된 이야기가 퍼져있는데, 금호의 숫자가 적은 것은 사실이나 전술했듯, 금호는 별도의 (種)이 아닌 벵골호랑이열성인자가 발현된 호랑이로 여겨지는 만큼 "멸종했다"라는 표현이 사용될 수 있는 동물이 아니다.

6. 참고 문헌


[1] 야생에서 금호가 태어났다는 사실은 꼭 희소식만도 아니다. 금호나 백호가 희귀한 이유, 사육 상태에서 압도적으로 더 많은 이유는 이런 돌연변이가 열성유전자이기 때문에 근친교배로 나오는 경우가 훨씬 많아, 인간이 의도적으로 근친교배를 시킬 수 있는 사육 환경에서 주로 나오는 것이다. 그런데 야생에서 금호가 태어났다는 사실은, 야생에서도 근친교배가 불가피할 정도로 개체군의 숫자가 감소했을 확률이 높다는 것을 암시한다.[2] Sona와 Sonar라는 표기가 혼용되는 것으로 추정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