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16:24:48

기역에서 넘어옴

한글 기본 자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5%;"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colbgcolor=#eee,#000> 기본 자모
자음(14개) · · · · · · · · · · · · ·
모음(10개) · · · · · · · · ·
기타 자모
자음 겹자음(5개) · · · ·
겹받침(11개) · · · · · · · · · ·
겹모음(11개) · · · · · · · · · ·
}}}}}}}}}
[ 옛한글 ]
||<tablewidth=100%><-3><width=1000> · 개별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
기본 자모 · · ·
중국어 표기용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 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각자
병서
·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 ·
합용
병서
ㅂ계 합용병서(ㅲ · ㅳ · ㅄ · ㅶ · ㅷ)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 ᄤ · ᄥ · ᄦ · ꥲ)
연서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 · · · · (ᆖ) · (ᆢ) ·
종성 · ·
}}} ||


1. 한글 자모의 일종2. 자음 ㄱ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3. 제자 원리4. 축약어로서 사용되는 ㄱ5. 여담

1. 한글 자모의 일종

<colbgcolor=#ddd,#383b40> 이름 기역(기윽)
분류 자음(예사소리)
음성 <colbgcolor=#e7e7e7,#32343a> 어두 k(ɡ̊)[1]
(ɡ̊ʷ)[2]
모음 및 특정 자음 사이 ɡ[3]
ɡʷ[4]
종성 [5]
종성+모음[6] ɡ[7]
ɡʷ[8]
비음, 유음 앞 ŋ[9]
경음화
(된소리되기)
[10]
k͈ʷ[11]
격음화
(거센소리되기)
[12]
kʰʷ[13]
[clearfix]
한글 자모의 첫번째 글자. 남한에서는 기역[14], 북한에서는 기윽이라고 읽는다.

훈민정음 자음의 순서인 아설순치후(牙舌脣齒喉) 중 제일 앞인 아음(牙音)인데다 전청(全淸, 평음)이기 때문에 제일 첫 글자가 되었다. 따라서 한글을 배울 때 가장 먼저 배우는 글자이다.

어두에서는 혓바닥을 입천장에 붙이고 터뜨리는 연구개 파열음 ([k])[15]며, 어중에서 모음이나 ㅁ,ㄴ,ㅇ,ㄹ 뒤에 후속할 경우는 약간의 유성음으로 변해 ([ɡ])가 된다.

종성으로 쓰일 때에는 뒤에 모음이나 ㅁ,ㄴ,ㅇ,ㄹ가 후속하지 않을 때 불파음인 ([k̚])의 음가를 가지며, 공명음 앞에서는 자음동화로 인하여 ([ŋ])의 음가를 가진다.

2. 자음 ㄱ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

21세기 들어 40대 이하의 서울 사람들은 더 이상 어두의 /ㄱ/과 /ㅋ/의 소리를 기식성으로 구별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과거에는 어두의 /ㄱ/은 [k]로, 어두의 /ㅋ/는 [kʰ]로 실현되었지만, 40대 이하의 수도권 지역의 사람들은 어두의 ㄱ와 ㅋ을 모두 [kʰ]로 기식을 넣어 발음한다.

대신 높이의 차이로 /ㄱ/과 /ㅋ/을 구별하는데, 낮게 소리내면 /ㄱ/이고, 높게 내면 /ㅋ/이다. 일종의 성조가 생겨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경상도 지역은 이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2010년대 들어서 20대 이하의 여성은 /ㄱ/과 /ㅋ/의 기식성의 차이가 거의 사라졌다. 반면에 20대 이하의 남성에게서는 아직 /ㄱ/과 /ㅋ/이 다르게 발음된다.

3. 제자 원리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떴다.

4. 축약어로서 사용되는 ㄱ


파일:나무위키+유도.png  
ㄱㄱ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쌍기역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예시)
A: 모두 준비되었나요? [16]
B: ㄱㄱ
C: ㄱㄱ
예시 2)
A: 영화보러 갈래?[17]
B: ㄱㄱ
C: ㄱㄱ
예시 3)
A: 게임 시작할까요?[18]
B: ㄱㄱ
C: ㄱㄱ

온라인 게임상에서 자주 쓰이는 '고(go)' 의 준말로, 준비가 되었으니 시작하라는 알림 혹은 재촉의 의미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2개를 붙여서 'ㄱㄱ'(발음할때는 기기 혹은 고고)의 형태로 자주 사용된다. 재촉의 의미로 볼 때에는 ㄱ의 개수에 따라 그 시급성이 비례한다.[19]

5. 여담

  •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에서 획 하나를 더하면 ㅋ이 된다.
  • 북한에서는 다른 자음들과 마찬가지로 '자음 +ㅣㅡ + 자음' 규칙을 살려 기윽으로 읽는다.
  • 된소리로는 ㄲ이 있으며 이걸 쌍기역이라고 부른다. 목젖으로 콧길을 막고 혀뿌리로 연구개를 막았다가 터뜨려 내는 연구개 파열음이다. 북한에서는 된기윽으로 부른다. 조선어 신철자법 제정 당시에는 '끼윾'으로 불렀다.
  •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는 속담이 있다. 비슷한 말은 목불식정(目不識丁).
  • 서태지 솔로 2집에 'ㄱ나니?'라는 제목의 곡이 실려 있다.
  • 세븐 갤러리에서는 숫자 7을 못 뽑아내면 이 글자를 7로 치환해서 턴다. 세븐 갤러리/털린 이유 문서에서 풀어쓰기로 된 부분을 자세히 보자.
  • 한글 자모의 첫 번째라 카카오톡 등의 메신저에서 이름 앞에 ㄱ을 넣으면 맨 첫 번째로 나온다.[20] 물론 한글 자모 기준이고 아스키 코드 및 유니코드 기준으로 가장 앞쪽에 위치한 글자는 느낌표(!, U+0021)다. 참고로 ㄱ은 U+1100(조합형)/U+3131(단독 문자).
  • 오른쪽에 붙는 모음과 같이 쓰일 때는 세로획의 끝이 왼쪽으로 휘게 디자인된 폰트가 많다('가' vs. '그') . 한글 창제 초창기의 판본체에는 이러한 특징이 없다. 아무래도 왼쪽 아래가 비어있으면 균형이 안 맞아 보여서 그렇게 변화한 듯하다. ㄱ 단독이나 '그' 등도 '가'만큼은 아니지만 약간 왼쪽으로 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ㄴ과는 차이가 나는 부분.
  •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다른 자음과 모음들과 마찬가지로 야짤이 나오던 적이 있었다.

[1] [2] 순음화. [3], 조[4] 순음화. 사[5][6] 형식 형태소의 일부일 때와 실질 형태소의 일부일 때 포함[7]은[수하\] 쉽다.[8] 순음화. 왕[구\][9] 락[낙\][10][11] 순음화. 약[12] 해[바\][13] 순음화. 화[구\][14] 기윽'으로 생각할 수도 있는데 '기역'이 된 것은 최세진이 훈몽자회에서 각각의 자모의 이름을 명명할 당시에 한자의 음만 빌려와 한자로 표기하였는 데 '윽'에 해당하는 한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훈몽자회 참조.[15] 혹은 [ɡ̊\][16] 사실 이쪽도 ㄹㄷ(레디)라고 하는 경우가 더 많다.[17] 영화 ㄱ? 라고 응용할 수 있다.[18] 게임상에서 파생된 언어기에, 물을때 'ㄱ?'라고 하기도 한다.[19] 하지만 진짜 급할 때는 'ㄱ'보단 다른 말로 강조할 때가 많다. 예) '빨리'[20] 예시) "홍길동" → "ㄱ홍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