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00:17:05

김포대교

파일:하천 심볼.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하류(서해)▲
일산대교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00호선.svg
김포대교
[[교량#s-3.7.1|
사장교
]]
행주대교
[[교량#s-3.4|
아치트러스교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7호선.svg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30호선.svg
방화대교
[[교량#s-3.4|
트러스교
]]
파일:AREX_icon.svg
마곡대교
가양대교[[교량#s-3.7.1|
사장교
]]
월드컵대교
[[교량#s-3.4|
트러스교
]]
성산대교
[[교량#s-3.5|
아치교
]]
양화대교
파일:Seoulmetro2_icon.svg
당산철교
[[교량#s-3.5|
아치교
]]
서강대교
마포대교원효대교[[교량#s-3.4|
트러스교
]]
파일:Seoulmetro1_icon.svg
한강철교
[[교량#s-3.5|
아치교
]]
한강대교
[[교량#s-3.5|
아치교
]]
파일:Seoulmetro4_icon.svg
동작대교
[[반포대교|{{{#000,#FFF 반포대교
·
잠수교}}}]]
한남대교[[교량#s-3.4|
트러스교
]]
파일:Seoulmetro3_icon.svg
동호대교
[[교량#s-3.4|
트러스교
]]
성수대교
영동대교[[교량|
복층교
]]
파일:Seoulmetro7_icon.svg
청담대교
잠실대교파일:Seoulmetro2_icon.svg
잠실철교
[[교량#s-3.7.1|
사장교
]]
올림픽대교
천호대교광진교[[교량#s-3.5|
아치교
]]
구리암사대교
[[교량#s-3.7.1|
사장교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29호선.svg
고덕토평대교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00호선.svg
강동대교
착공 예정

수석대교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60호선.svg
미사대교
팔당대교
건설 중

제2팔당대교
▲상류(북한강,남한강)▲
팔당댐관리교와 강변도로의 교량은 제외}}}}}}}}}
김포대교
金浦大橋 | Gimpodaegyo(Bridge)
하류 방면
일산대교
한강의 교량 상류 방면
행주대교
수도권제1순환선 (의정부, 구리 방면) 파일:Expressway_kor_100.svg
문산 방면
일산대교
← - km
자유로 양평 방면
행주대교
- km →
강화도 방면
김포 시내
← - km
김포대로 서울 시계 방면
김포공항
- km →
수도권제1순환선 (인천, 판교 방면) 파일:Expressway_kor_100.svg
다른 문자 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간체자 金浦大桥
가타카나 キンポ大橋 }}}}}}}}}
위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토당동 (북단)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신곡리 (남단)
총연장
2280m 38.2m
왕복 8차선
개통
1997년 11월 3일
시공 관리
쌍용건설 한국도로공사
구조형식
프리스트레스트 교(prestressed concrete Bridge)

1. 개요2. 신곡 수중보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78327.jpg
김포대교의 모습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건설의 일환으로 1997년 완공된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신곡리와 고양시 덕양구 토당동을 잇는 한강의 다리로, 길이는 2,280m이다. 강동대교와 같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상의 다리로, 김포IC~일산IC만 이용하면 강동대교와는 달리 무료 통행이 가능하다.

남쪽은 김포제방도로와 김포한강로를 가로지르고 북쪽으로는 자유로를 가로지른다. 자유로와는 자유로IC로 연계되지만 남쪽의 김포한강로와는 이어지지 않고, 김포IC에서 문제의 48번 국도와 연계된다.

김포시, 고양시 지역은 물론 파주시, 서울특별시 서부 지역의 교통난을 분산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여담으로, 예전에 탤런트 이창훈이 KBS의 공익봉사 프로그램 체험 삶의 현장에 출연하여, 김포대교 건설 현장에서 하룻동안 노동을 하기도 했다. 또한 북쪽에서부터 강변에 일렬로 쭉 서있던 철책이 이 다리를 기점으로 끝난다.

2. 신곡 수중보

잠실대교와 같이 교량 하단에 수중보(水中洑)가 설치되어 있는 교량이기도 하다. 1987년에 건설된 한강 수중보인 신곡수중보이다. 다른 하나는 1986년에 건설된 잠실대교 밑에 있는 잠실수중보이다.

한강 수중보는 취수원(상수원) 관리 및 유람선 운행 수심 유지, 북한군의 잠수함 침투 방어, 바닷물의 역류 방지, 농업용수 확보 등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실제로 한강 유람선이 운행되는 지역을 보면, 그 구간이 행주대교잠실대교 사이로 한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