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1-21 00:54:24

저작근

깨물근에서 넘어옴
한국어: 저작근(씹기근)[1]
한자:
영어: Masticatory Muscle

1. 개요2. 저작운동3. 하위 기관
3.1. 깨물근(교근, Masseter Muscle)3.2. 관자근(측두근, Temporal muscle)3.3. 가쪽날개근(외측익돌근, Lateral Pterygoid Muscle)3.4. 안쪽날개근(내측익돌근, Medial Pterygoid Muscle)

1. 개요

관절의 운동을 일으키는 근육들이다.

머리뼈에서 턱뼈 아랫쪽까지 붙어있는 근육들로, 흔히 턱에만 연장되어 있지 않을까 하는 통념과 달리 두개골의 귀 주변 부분부터 시작해서 턱 밑까지 이어지는 상당히 큰 근육들이다. "씹기근육"이라는 이명에서 알 수 있듯 인체가 턱 관절을 움직여서 구강 내부의 치아들이 음식을 갈고 씹을 수 있도록 하는 근육들이며, 인체의 유지에 필수적인 소화 운동의 첫 단추를 꿰는 근육이라는 점에서 굉장히 중요한 근육들이라 할 수 있다. 당연하지만 저작근이 심하게 손상된 경우는 설령 치아가 건강하다 하더라도 음식을 제대로 씹을 수 없으며, 이는 전체적인 소화불량으로 이어지는 위험한 상태다.

2. 저작운동

저작근과 턱을 통해 음식을 씹는 저작운동(咀嚼運動)은 단지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서 소화를 돕는 일만 하는 게 아니라 우리 몸에 여러 가지 많은 영향을 끼친다.

상술했듯 저작근은 두개골의 윗 부분까지도 이어져있기 때문에 음식물을 씹을 때에는 머리 전체의 신경조직으로 자극이 전달된다. 실제로 저작운동을 할 때는 뇌에 공급되는 혈류량이 증가되어 뇌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fMRI가 직접적으로는 두뇌의 혈류량을 측정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는 사실 굉장히 중요한 문제다. 특히 양쪽 치아를 모두 사용하게끔 씹는 것을 권하고 있다.

현대에는 굳이 열심히 씹을 필요가 없는 가공식품들이 마트에만 가도 산처럼 쌓여있기 때문에[2] 현대인들의 저작운동이 전근대인들의 저작운동에 비해 훨씬 그 빈도가 적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굳이 동물보호에 관심이 없음에도 저작운동을 늘리기 위해서 채식 위주의 식단을 꾸리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가공식품의 보급도 중요한 원인이지만 또 하나는 과거에 비해 매우 빠르게 돌아가는 생활상이 주 원인일 것이다. 먹거리도 생활환경도 비약적으로 발전했으나 생활패턴은 더욱 다양해지고 시간에 맞춰 최대한 빨리 움직이기 위해 책읽기, 오래 걷기, 오래 씹기 같이 기본적이지만 시간이 많이 가는 행동들은 매우 줄어들고 있기 때문

사족으로, KBS <생로병사의 비밀>에서도 저작운동의 중요함을 다룬 적이 있다. 다만 이 방송의 경우는 저작운동에 대해 거의 약장수 식의 과장된 태도를 보여주는 바람에 일부 시청자들의 많은 비난을 샀다. 분명 방송의 취지 자체는 옳았는데 날이 갈수록 관심병자 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등 시청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3. 하위 기관

  • 깨물근(교근, Masseter Muscle)
  • 관자근(측두근, Temporal muscle)
  • 가쪽날개근(외측익돌근, Lateral Pterygoid Muscle)
  • 안쪽날개근(내측익돌근, Medial Pterygoid Muscle)

3.1. 깨물근(교근, Masseter Muscle)

교근(깨물근)
Masseter Muscle
파일:Masseter gray.png
근육명 깨물근(교근)
이는곳(Origin)과 닿는곳(Insertion)
이는곳 광대뼈 위턱돌기 아래모서리와 안쪽면 및 광대활
(Zygomatic arch and Maxillary process of Zygomatic bone)
닿는곳 턱뼈각과 턱뼈가지 가쪽면
(Angle and lateral surface of Ramus of Mandible, Coronoid process)
동맥과 신경지배
동맥 Masseteric artery
신경지배 Mandibular nerve (CN V3의 앞줄기)
기능
턱뼈를 올리고, 입을 닫으며,
턱뼈 돌출(Protrusion of Mandible) 에 관여
저작근 중 가장 대표적인 사각형 모양의 근육으로, 4가지 근육 중 가장 강력하며, 제일 표면으로 드러나 있다.
표층부(Superficial head)와 심층부(Deep head)로 나뉜다.

3.2. 관자근(측두근, Temporal muscle)

측두근(관자근)
Temporal Muscle
파일:Temporalis.png
근육명 관자근(측두근)
이는곳(Origin)과 닿는곳(Insertion)
이는곳 관자우묵(Temporal fossa)의 바닥,
관자근막의 깊은면
닿는곳 턱뼈근육돌기의 끝과 안쪽면,
턱뼈가지 앞모서리
(Coronoid process of the Mandible and Mandibular ramus)
동맥과 신경지배
동맥 Deep temporal arteries
신경지배 Deep temporal nerves, branch(es) of the anterior division of the mandibular nerve (V3)
기능
턱뼈를 올리고, 입을 닫으며,
뒷당김운동에 관여
삼각형 모양의 근육이다. 턱을 다물 때 관자놀이에서 만져진다.

3.3. 가쪽날개근(외측익돌근, Lateral Pterygoid Muscle)

3.4. 안쪽날개근(내측익돌근, Medial Pterygoid Muscle)



[1] 국립국어원에서는 "씹기근육"으로 순화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2] 햄버그 스테이크라던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