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17:48:05

나라현 제4구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폐지된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12FA7><tablebgcolor=#112FA7>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나라현 제4구
奈良県第4区
}}}
<colbgcolor=#112FA7><colcolor=#ffffff>선거인 수259,318명
상위 도도부현나라현
하위 행정구역카시하라시, 사쿠라이시, 고조시, 우다시
우다군, 타카이치군
요시노군
국회의원

타노세 타이도


[clearfix]

1. 개요

2017년까지 나라현의 중서부 지역을 관할했던 일본의 폐지된 중의원 선거구다.

2. 상세

중선거구제 시절 부터 자민당 타노세 료타로 - 타노세 타이도 부자가 세습해오던 선거구로, 나라현에서 보수세가 가장 강한 선거구였다.

1996년 치러진 첫 소선거구제 총선이었던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신진당 마에다 다케시 의원이 타노세 의원과의 치열한 접전 끝에 재선에 성공했다.[1]

2000년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약 1만표 차이로 타노세가 마에다를 꺾고 지역구 당선에 성공했고, 2012년 정계 은퇴 전까지 지역구를 유지했다.[2]

2012년 제46대 중의원 선거부터 타노세 료타로의 차남 타이도가 지역구를 이어받았고, 2017년 선거법 개정으로 전 구역이 나라현 제3구로 흡수되며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파일:Japan_gov_logo.png 나라현 제4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 연도 의원명 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96년 마에다 타케시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00년 타노세 료타로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03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09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12년 타노세 타이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14년

4. 역대 선거 결과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나라현 제4구
카시하라시, 사쿠라이시, 고조시
우다군, 타카이치군, 요시노군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 마에다 타케시 80,397표 1위

44.58% 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타노세 료타로 79,759표 2위


44.23% 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히구치 켄자부로 12,058표 3위
6.69% 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 무라타 히카리 8,111표 4위

4.50%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92,683표 투표율
67.31%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274,445인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나라현 제4구
카시하라시, 사쿠라이시, 고조시
우다군, 타카이치군, 요시노군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타노세 료타로 93,108표 1위


50.13% 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마에다 타케시 80,674표 2위

43.43%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타무라 미키오 11,969표 3위
6.44%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54,692표 투표율
68.75%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277,197인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나라현 제4구
카시하라시, 사쿠라이시, 고조시
우다군, 타카이치군, 요시노군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타노세 료타로 112,714표 1위


65.38% 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야마모토 나오코 49,077표 2위

28.47%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이치노세 무라호 10,614표 3위
6.16%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57,137표 투표율
65.79%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275,785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나라현 제4구
카시하라시, 사쿠라이시, 고조시
우다군, 타카이치군, 요시노군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타노세 료타로 107,014표 1위


55.54% 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모리시타 유타카 76,031표 2위

39.46%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아오키 코지 9,624표 3위
5.00%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57,137표 투표율
71.85%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274,324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나라현 제4구
카시하라시, 사쿠라이시, 고조시, 우다시
우다군, 타카이치군, 요시노군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타노세 료타로 95,638표 1위


49.65% 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오니시 타카노리 93,803표 2위

48.70% 비례당선[국민]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 아카마츠 아키히로 3,170표 3위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1.65%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80,167표 투표율
73.23%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269,924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나라현 제4구
카시하라시, 사쿠라이시, 고조시, 우다시
우다군, 타카이치군, 요시노군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타노세 타이도 82,125표 1위


50.55% 당선[4]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 마츠나미 다케히사 35,969표 2위

22.14% 낙선[5]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오니시 타카노리 35,636표 3위

21.94% 낙선[국민]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야마사키 타요 8,723표 4위
5.37%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80,167표 투표율
63.54%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263,526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나라현 제4구
카시하라시, 사쿠라이시, 고조시, 우다시
우다군, 타카이치군, 요시노군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타노세 타이도 86,442표 1위


61.25% 당선[7]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오니시 타카노리 42,050표 2위

29.79% 낙선l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야마사키 타요 12,643표 3위
8.96%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80,167표 투표율
56.52%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259,318인

[1] 개표 시작부터 개표율 95%의 시점만 하더라도 타노세가 마에다를 앞서고 있었지만, 마에다의 고향인 요시노군에서 신진당 몰표가 쏟아지면서 마지막 시점에는 마에다가 타노세를 역전하는데 성공했다. 얼마나 접전이였으면 실수로 타노세에게 당선 확정 판정을 낸 민방국이 있었을 정도였다.[2] 이때 타노세에 밀려 낙선한 마에다는 참의원으로 전직, 노다 내각에서 국토교통대신직을 맡게 되었다.[국민] 추천[4] 추천[5] 추천[국민] 추천[7]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