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과거 남베트남의 통화로 1953년부터 1978년 5월 2일까지 통용되었다.기호는 현 베트남 동과 동일한 đ.
보조단위로는 쑤(xu 또는 su)가 있었으며 1동은 100수에 해당했다.
2. 1차 남베트남 동
2.1. 1955~62
앞면 | 뒷면 | ||
| 1đ | 벼이삭 터는 농부 | 염전에서 소금 채취 |
| 2đ | 전통 돛단배 | 전통 가옥 |
| 5đ | 물소로 논 갈기 | 강가 |
| 10đ | 벼이삭 든 농부들 | 여문열 사당 |
| 20đ | 소달구지 | 모래 운반 |
| 50đ | 물소와 아이 | 벼 낱알 건조 |
| 100đ | 트랙터 모는 농부 | 공작 |
| 200đ | 기관단총 든 군인 | 벼이삭 나르는 농부 |
| 500đ | 천모사 7층석탑 | 숫자 500 |
2.2. 1958~66
앞면 | 뒷면 | ||
| 1đ | 액면 | 트랙터로 땅 고르기 |
| 20đ | 잉어 문양 | |
| 50đ | 여러 가지 문양 | |
| 100đ | 구 오페라하우스[2] | 동깜 댐 |
| 200đ | 남베트남 국가은행 | 전통 어선 |
| 500đ | 구 통일궁 | 물소로 논 경작하는 모습 |
| 500đ (신권) | 베트남 역사박물관 | 사자 문양 |
2.3. 1966
앞면 | 뒷면 | ||
| 100đ | 여문열 | 여문열 사당 |
| 200đ | 완혜 | 그가 병사들을 지휘하는 모습 |
| 500đ | 진흥도 | 정크선 |
2.4. 1969~71
앞면 | ||
| 20~1,000đ | 남베트남 국가은행[3] |
- 뒷면은 숫자밖에 없다.
2.5. 1972~75
도안 | ||
| 앞면 공통 | 통일궁 |
| 50đ | 말 세마리 |
| 100đ | 물소와 농부 |
| 200đ | 사슴 세마리 |
| 500đ | 호랑이 |
| 1,000đ | 짐 운반하는 코끼리들 |
| | 표범 |
| | 황소 |
- 동전은 최종적으로 1, 5, 10, 20, 50동 5종류.
- 고액권 2종은 베트남 통일로 인해 유동되지 못하고 끝났다.
3. 2차 남베트남 동
소위 '해방 동'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남베트남 동을 500:1의 비율로 대체해서 사용하다가 1978년 5월 2일부로 베트남 동과 0.8:1의 비율로 흡수되어 폐지되었다.앞면 | 뒷면 | ||
| 0.10đ | 소금 건조 | 끄우롱강 |
| 0.20đ | 고무 농장 | 소떼 |
| 0.50đ | 사탕수수 수확 | 길쌈 |
| 1đ | 강의 보트 | 농사 |
| 2đ | 다리 밑의 하우스보트 | 군인과 노동자 |
| 5đ | 방적 공장 | 군인과 헬리콥터 |
| 10đ | 여성과 기차 | 군인 |
| 50đ | 공장의 노동자 | 트랙터 |
- 동전은 1, 2, 5쑤 3종이 발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