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1-15 20:11:59

남병표

파일:남병표.jpg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자 / 호 여문(汝文) / 지산(芝山)
본관 영양 남씨[1]
출생 1894년[2] 8월 27일
강원도 울진현 원북면 고등동
(현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고목리 지정골)
사망 1955년 2월 8일[3]
경상북도 울진군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42호
상훈 대통령표창

1. 개요2. 생애

1. 개요

대한민국독립유공자. 199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2. 생애

남병표는 1894년 8월 27일 강원도 울진현 원북면 고등동(현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고목리 지정골)에서 아버지 남유익(南有翊)과 어머니 담양 전씨(潭陽 田氏) 전상환(田相煥)의 딸 사이의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4월 13일 울진군 북면 부구리에서 김일수(金一壽)·김재수(金在壽)·전병항(田炳恒) 등과 함께 '대한독립만세'라고 쓴 대형기와 태극기를 준비하여 장터에 모인 50여명의 시위군중에게 배부하며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고창했다. 이 일로 경찰에 체포된 그는 4월 19일 대구지방법원 울진지청[4]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7개월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울진군에서 조용히 지내다 1955년 2월 8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남병표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그리고 2014년 11월 15일 본래 울진군 북면 고목리 가치산(加峙山)에 묻혀있던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에 이장했다.


[1] 목사공파(牧使公派)-울진 문중 14대손 병(炳) 항렬. 영양 남씨 22세.[2] 남씨대동보 5권 밀직공파(영양 본관)-목사공파 614쪽 및 디지털울진문화대전에는 1888년생으로 기재되어 있다.[3] 남씨대동보 5권 밀직공파(영양 본관)-목사공파 614쪽 및 디지털울진문화대전에는 1954년 2월 21일에 별세했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대전현충원묘적부에는 2003년 8월 10일에 별세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4] 1919년 형사사건부에는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에서 판결을 받은 것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