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10:16:08

카운티급 중순양함

노포크급에서 넘어옴
파일:영국 국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 해군 군함 파일:영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000080>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해군 군함
초계함 <colbgcolor=#fefefe,#191919>24형, 브리지워터급, 헤이스팅스급, 밴프급, 쇼어햄급, 그림스비급, 킹피셔급, 비턴급, 이그렛급, 블랙 스완급, 플라워급, 캐슬급
호위함 리버급, 캡틴급, 콜로니급, 로크급, 베이급
구축함 R급, S급, V급, W급, 셰익스피어급, 엠버스케이드급, 아마존급, A급, B급, C급, D급, E급, F급, G급, H급, I급, 트라이벌급, J급, K급, N급, 헌트급, L급, M급, O급, P급, Q급, R급, S급, T급, U급, V급, W급, Z급, C급, 배틀급, 웨폰급A, 갤런트급, 데어링급A
잠수함 H급, L급, U급, V급, X급, X1, P611급, S급, T급, 그램퍼스급, 암피온급, 리버급, 레인보우급, 파르티안급, 오딘급
모니터함 로버츠급,에레버스급
경순양함 C급(칼레돈급, 세레스급, 칼라일급), D급, E급, 리앤더급, 엠피온급, 아레투사급(1934), 타운급(사우스햄튼급, 글로스터급, 에든버러급), 다이도급, 크라운 콜로니급, 미노토어급(스윕트셔급), 넵튠급, 미노토어급(1947)
중순양함 호킨스급, 카운티급(켄트급, 런던급, 노포크급), 요크급, 엑서터급, 서리급, 어드미럴급
순양전함 리나운급, 어드미럴급, J3급, G3급, K2·K3급, I3급
전함 아이언 듀크급, 퀸 엘리자베스급, 리벤지급, N3급, L급, 넬슨급, 킹 조지 5세급, 라이온급, 뱅가드A
호위항공모함 오더시티, 액티비티, 나이라너급, 아처, 어벤저급, 어태커급, 룰러급(보그급 호위항공모함), 프레토리아 캐슬
경항공모함 유니콘급,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센토어급A
정규항공모함 아거스급, 허미즈급, 이글급, 커레이저스급, 아크로열급, 일러스트리어스급, 임플래커블급, 오데이셔스급A, 몰타급, 하버쿡
기타 페어마일 어뢰정, 알제린급 소해함, 캐서린급 소해함, 소드피시, 인섹트급 연안포함
취소선: 실제로 건조되지 못한 함선
윗첨자A: 전후 완공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호주 해군 함선
파일:호주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잠수함 K9
중순양함 카운티급
경순양함 리앤더급, 타운급
구축함 트라이벌급, N급, 끼베홍, 퀵매치, V급, W급
호위구축함 스콧급
호위함 리버급
초계함 야라급, 배서스트급
소해함 헌트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1. 개요2. 제원3. 설계
3.1. 무장3.2. 장갑
4. 함선
4.1. 켄트급4.2. 런던급4.3. 노포크급
5. 기타6. 매체에서의 등장


파일:external/www.modelarstwookretowe.pl/S.jpg
파일:external/gb-navy-ww2.narod.ru/IMG-CA-COUNTY-NORFOLK-1943-GJ.jpg

County-Class Heavy Cruiser

1. 개요

카운티급 중순양함전간기에 영국 해군이 건조한 순양함으로 1차 세계대전의 종전 이후 처음으로 건조한 순양함이다.[1] 이 순양함들은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의 제한 안에서 건조된 조약형 순양함으로 배수량 1만톤 이하, 주포 8인치 이하의 제한을 받았다. 카운티급은 켄트급, 런던급, 노포크급의 3개 하위함급으로 분류되며 총 15척이 계획되었고 그중 13척이 완공되었다. 카운티(County)는 영국의 최상위 행정구역으로 일종의 주(州)이다.

2. 제원[2]

성능 켄트급 런던급 노포크급
전장 180m 181m 181.38m
선폭 21m 20m 20m
흘수기준 5.26m 5.2m 5.5m
배수량 기준 10,400톤
만재 14,150톤
기준 9,840톤
만재 13,315톤
기준 10,400톤
만재 13,775톤
동력기관 Admiralty 3-드럼 보일러 8기
4축 파슨스 증기 터빈
Admiralty 3-드럼 보일러 8기
4축 파슨스 증기 터빈
Admiralty 3-드럼 보일러 8기
4축 파슨스 증기 터빈
출력량 80,000shp 80,000shp 80,000shp
속력 31.5노트 32.25노트 32.25노트
항속거리 10노트에서 8000해리 10노트에서 8000해리 10노트에서 8000해리
승조원 685~784명 700~852명 710~819명
주무장 BL 8인치 Mk VIII 연장포탑 4기 BL 8인치 Mk VIII 연장포탑 4기 BL 8인치 Mk VIII 연장포탑 4기
부무장 QF 4인치 Mk V 4문 QF 4인치 Mk V 4문 QF 4인치 Mk V 8문
QF 3파운더 호치키스 Mk.1 4기 QF 3파운더 호치키스 Mk.1 4기 QF 3파운더 호치키스 Mk.1 4기
4연장 2파운더 폼폼 포 8기 2파운더 폼폼 포 4문 2파운더 폼폼 포 16문
4연장 0.5인치 기관총 8기 4연장 0.5인치 기관총 8기 4연장 0.5인치 기관총 8기
어뢰 4연장 21인치 어뢰발사관 2문[3] 4연장 21인치 어뢰발사관 2문 4연장 21인치 어뢰발사관 2문
장갑 켄트급 런던급 노포크급
현측 4.5인치(114mm)[4] 3.5 인치(89mm)[5] 1인치(25 mm)
갑판 1.25~1.5인치(32~38 mm) 1.25~1.5인치(32~38mm) 1.25~1.5인치(32~38mm)
탄약고 현측 4인치(102mm)
갑판 2.5인치(64mm)
현측 4인치(102mm)
갑판 2.5인치(64mm)
현측 4인치(102mm)
갑판 2.5인치(64mm)
격벽 1~2.5인치(25~64mm) 1~2.5인치(25~64mm) 1~2.5인치(25~64mm)
바벳 1인치(25mm) 1 인치(25mm) 1인치(25mm)
포탑 1인치(25mm) 1인치(25mm) 1인치(25mm)

3. 설계

3.1. 무장[6]

주포로는 BL 8 inch Mark VIII (203 mm, L/50)가 사용되었으며 2연장 포탑으로 전방 2기 후방 2기가 설치되었다. 런던급에서는 해군 건함 국장(Director of Naval Construction, DNC)에 의해서 3연장 주포탑 4기를 올리는것을 고려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도 진행이 되었으나 이렇게 할 경우 배수량이 400톤 가량 증가한다는 결론이 나왔고 배수량을 줄이기 위해서 이리저리 설계를 변경해서 1924년 9월에 제시되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해군 건설 국장은 2연장 포탑 4기를 장착하기로 방향을 잡게 된다.[7] 켄트급과 런던급에서는 Mk.I 포탑에 주포가 설치되었으나 노포크급 2척에는 Mk.II 포탑이 설치되었다. 초기에 이들 주포를 대공포로 사용할것을 염두에 두었기에 포탑은 -3~70도의 부앙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포탑의 구동계가 그렇게 효과적이지 못해서 대공사격을 하기에는 너무 느리게 움직였기에 대공포로는 별 의미가 없었고 이후 요크급 중순양함에 설치된 Mk.II* 포탑에서는 앙각이 50도로 조정된다. 발사속도의 경우 분당 12회의 발사를 목표로 하였으나 너무 지나치다는 지적에 분당 6발로 감소하였지만 HMS 켄트가 잠깐동안 분당 5회의 발사를 기록한 경우를 제외한다면 실전에서는 평균적으로 분당 3~4회를 발사하는데 그쳤다.[8] 포탑의 구조는 매우 복잡하여 당초 의도했던 무게를 초과하였다. Mk.I 포탑의 중량은 155톤, Mk.II는 168.8톤을 목표로 하였으나 실제 포탑의 중량은 각각 205톤과 220.3톤으로 50톤 이상 무거워졌다.

대공포로는 QF 4인치 Mk.V 주포가 사용되었다. 이 대공포는 런던급 까지는 HA Mk.III 포좌를 사용하였지만 노포크급에서는 HA Mk.IV 포좌로 바뀌었고 둘 다 단장포로 장착되었으며 개방식 포좌였다. 대공포의 앙각은 80도였으며 발사속도는 분당 10~15발이고 포문당 탄약수는 200발이었다. 이 대공포들은 나중에 Mk.XVI로 교체된다. 또한 초기에는 8연장 QF 2파운드 Mk.VIII 를 대공포로 고려하였으나 실제로는 4연장포로 장착되었고 이후 중량을 줄일 목적으로 QF 2파운드 Mk.II 단장포좌로 교체되게 된다.

어뢰는 양쪽에 4연장 MK.II 발사관이 1기씩 장착되었다. 켄트급에서는 21인치 Mk.V 어뢰를 사용하였으나 발사관의 위치가 너무 높다는 문제가 있어서 어뢰의 강도를 강화하는등의 조치가 취해졌다. 이후 건조된 배들은 보다 무거운 탄두를 가진 21인치 Mk.VII 어뢰를 장착하였으며 나중에 Mk.IX 어뢰로 대체된다.

3.2. 장갑

배수량 제약이 있던 조약형 중순양함의 한계상 장갑이 그리 튼튼하다고 보기 어려웠고, 전간기에 장갑 강화를 받은 카운티급도 있었다.
아래의 표는 조약형 중순양함들의 장갑을 비교한 표이다.
카운티급 묘코급 펜사콜라급 노샘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현측 102[9]~114mm[10] 102mm 64~102mm 76~95mm 76~146mm 127mm 152mm
갑판 32~64mm 32~35mm 25~44mm 25~51mm 54~64mm 57mm 57mm
주포탑 25mm(전면) 25mm(전면) 64mm(전면) 64mm(전면) 64mm(전면) 200mm(전면) 200mm(전면)
25mm(측면) 25mm(측면) 25mm(측면) 25mm(측면) 25mm(측면) 38mm(측면) 95mm(측면)
25mm(천장) 25mm(천장) 38mm(천장) 51mm(천장) 51mm(천장) 57mm(천장) 70mm(천장)

우선 카운티급의 선체 장갑을 살펴보면 탄약고 등이 배치된 집중방어구역의 위 갑판은 2.5인치(64mm), 현측이 4인치(102mm)의 장갑을 두르고 있으며 기계실 위 갑판은 1.25인치(32mm)의 장갑을 두르고 현측 주장갑대는 취역 당시 1인치(25mm)였으나 캔버라를 제외한 켄트급들이 4.5인치(114mm), 런던급 중 런던만 3.5인치(89mm)로 강화[11]되었고 노포크급은 받지 못하고 그대로 유지 되었다. 현측 주장갑대 강화 이후로 비교해보면 비슷한 시기에 건조된 묘코급 중순양함, 펜사콜라급 중순양함하고도 꿀리지 않고 포틀랜드급과 비교해도 탄약고 주위가 146mm인 것을 제외하면 꿀리지 않는 편이었다.

그러나 카운티급의 포탑과 바벳의 장갑은 1인치로 상당히 얇은 편이었다. 다만 이는 조약형 중순양함의 한계라고 변명할 거리는 있는 것이 비슷한 시기 미국의 중순양함 펜사콜라급 중순양함도 포탑 장갑은 0.75~2.5인치 수준이고 바벳도 0.75인치 수준밖에 안 된다. 이 정도면 구축함의 주포 정도는 막아낼 수 있다는 점에서 카운티급보다는 양호한 상황이기는 하지만 대응방어는 커녕 경순양함의 6인치급 주포에도 관통될 위험이 있다.[12] 미국의 중순양함들이 그럭저럭 대응방어를 갖추게 된 것은 뉴올리언스급 중순양함부터지만 안전구역이 대단히 좁았고 실질적으로는 위치타급에 가서야 이룰 수 있었다. 더군다나 미국은 3연장포를 도입해서 바이탈 파트의 면적 자체를 줄였으며 속력에서 손해를 보는 것을 감수해야 했다.[13]

영국이 조약급 중순양함인 카운티급 중순양함의 포탑 장갑이나 포문 수에서 일본, 미국과 다른 결론을 낸 것은 본디 순양함의 건조 목적이 전쟁이 아니라 대양을 순회하며 순찰하거나 분쟁에 대응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즉, 어찌보면 조약의 취지와 순양함 건조의 본래 취지를 원래 의도 그대로 수행한 것. 그래서 일본이나 미국처럼 항속거리나 속도를 줄이자는 급진적인 제안은 선뜻 내놓기 힘들었다. 그리고 영국 해군이 운이 좋았는지는 모르겠으나, 실제로도 2차 대전에서 유럽, 대서양 전선에서의 순양함들은 자기네들끼리 포격전으로 사생결단을 내는 일은 꽤 드물었다.

게다가 재정난 때문에, 영국은 카운티급 중순양함과 타운급 경순양함 이후로는 의미있는 순양함 건조를 하지 못했으므로, 가뜩이나 돈없는데 검증되지도 않은 모험을 할 여유도 없었다. 그래서 영국 해군이 선택한 모험의 여지가 없는 확실한 해군력 증강 노력은 지속적인 사격/항해 훈련을 통한 교리의 개선과, 기계식 사격통제 컴퓨터에 대한 꾸준한 투자로 미국을 포함한 타국의 해군을 사격 통제 시스템의 양과 질로 압도하려는 것으로 이어나가게 된다.[14]

4. 함선

  • Penent Number 기준으로 정렬
  • A: 호주 해군 함정
  • 취소선 : 취소됨

4.1. 켄트급

  • 켄트(Kent)(54)
  • 서포크(Suffolk)(55)
  • 콘월(Cornwall)(56) :1941년 5월 8일 독일의 상선 개조 순양함 '핑귄'과 조우해 격침시킨 전공이 있다. 그 후 실론 해전에서 자매함 도셋셔와 함께 일본 해군 순양함 토네의 정찰기에 발각되어 50여대의 D3A 급강하 폭격기의 공습을 받고 격침된다. 다음날 엔터프라이즈[15], 팔라딘, 판터가 두 척의 승무원 1,546명 중 1,122명을 구조한다.
  • 컴벌랜드(Cumberland)(57)
파일:external/download.e-bookshelf.de/9781780964300_image3.jpg
1955년까지 현역이었던 영국 해군 최후의 중순양함이다
  • 베릭(Berwick)(65)[16] : 스파르티벤토 곶 해전때 이탈리아 해군 솔다티급 구축함 란시에르를 대파시켰지만, 무려 19,700m에서 일제사격을 한 트렌토급 중순양함 트렌토와 트리에스테의 포격이 베릭의 Y포탑을 박살냈다. 순양함 간의 교전에서 최장거리 명중탄이었다고 한다.
파일:external/ww2today.com/HMS-Berwick-Heavy-Cruiser.jpg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A 최초로 '계획된' 카미카제를 당한 함선이다.[17] 전후 1954년에 퇴역했다.
  • 캔버라(Canberra)A : 사보섬 해전에서 분전했으나, 기습을 당한 상황에서 어뢰에 맞고 5분만에 격침되었다.

4.2. 런던급

  • 데본셔(Devonshire)(39): 1941년 11월 22일 독일의 상선 개조 순양함 '아틀란티스'를 격침시켰다.
  • 런던(London)(69)
  • 슈롭셔(Shropshire)(73): 캔버라가 사보 섬 해전에서 격침된 이후 호주 해군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다만 함명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레이테 만 해전의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 참전했다. 여담으로, 미군 함선들이 전부 포구화염이 적게 발생하는 저염장약을 사용하고 있었던 데 반해 혼자만 일반 장약을 사용해서 일본군의 집중사격을 받았다고 한다.
파일:external/www.naviearmatori.net/Shropshire_(1941)___3.jpg
  • 서식스(Sussex)(96)[18]

4.3. 노포크급

파일:external/home1.swipnet.se/shropshire.jpg
  • 도셋셔(Dorsetshire)(40) : 비스마르크 추격전에 참여하였으며 마지막에 비스마르크에게 3발의 어뢰를 발사하여 2발을 명중시켜서 격침에 결정타를 먹였다.[19] 이후 독일 승무원들을 구조하던 도중 독일 잠수함들이 공격해온다는 경보를 받고 철수한다. 그러나 이후 실론 해전에서 자매함 콘웰과 함께 일본 해군 순양함 토네의 정찰기에 발각되어 50여대의 D3A 급강하 폭격기의 공습을 받고 콘웰과 함께 격침된다. 다음날 엔터프라이즈[20], 팔라딘, 판터가 두척의 승무원 1,546명중 1,122명을 구조한다.
  • 노포크(Norfolk)(78)
  • 서리(Surrey)[21] : 1930년 1월에 취소됨
  • 노섬벌랜드(Northumberland) : 1930년 1월에 취소됨

5. 기타

6. 매체에서의 등장

  • Naval Front-Line에서 프리미엄 중순양함으로 HMS 켄트가 등장하며, 영국 트리에 카운티급이 있다.
  • 배틀필드 V에서 브리저와 메이슨이 독일군의 공세로 고군분투 할 때 사전에 무전을 받은 서식스함이 적절한 때에 포격지원을 해주며 등장한다.
  • 월드 오브 워쉽에서 영국 6티어 정규 중순양함으로 데본셔가, 프리미엄쉽으로는 런던이 등장한다.
    파일:devonshire C.jpg


[1] 호킨스급 중순양함이 있기는 하지만 이건 종전 이전부터 건조되던 물건이니 패스[2] County Class Cruisers와 영어판 위키피디아의 County-class cruiser, World War II Database의 HMS London를 참고함[3] 1935년 이후 철거[4] 개장 전에는 25mm, 이후 캔버라를 제외한 켄트급들이 개장을 받음.[5] 개장 전에는 25mm, 런던만 개장 받음.[6] 8"/50 (20.3 cm) Mark VIII, County Class Cruisers, 4"/45 (10.2 cm) QF Mark V and Mark XV를 참고함[7] British Cruisers: Two World Wars and After[8] 이건 영국이 주포를 못만드는게 아니라 요구조건이 너무 과한거다. 8인치 속사포라 불리는 디모인급 중순양함의 주포인 8"/55RF (20.3 cm) Mark 16의 발사속도도 분당 10발 밖에 안된다. 자동화된 장전시스템을 가진 디모인이 이러한데 그보다 더 한 조건을 1920년대에 요구했으니... 분당 3~4발이면 당시 기준으로 평균은 가는 수준이다.[9] 탄약고 구획.[10] 기계실 구획, 캔버라를 제외한 켄트급, 런던급은 런던만 89mm, 노포크급은 25mm[11] 다른 런던급도 현측 주장갑대 강화가 포함된 개장계획이 있었으나, 전쟁 발발로 개장을 위해 장기간 전열에 이탈시킬 여유가 없게 되어서 그런지 런던만 받을 수 있었고, 발발 후 전쟁 기간에 이루어진 런던 및 자매함의 개장은 레이더 환장, 사격통제장치 교체, 대공화기 증설 정도였다.[12] 영국의 타운급 경순양함에 사용된 6"/50 (15.2 cm) BL Mark XXIII 주포의 관통력이면 11,430m에서 측면으로 76mm를 관통할 수 있고 갑판의 경우 20,120m에서 51mm를 관통한다. 전면이며 64mm로 조금 거리를 벌이면 안전하지만 천장은 고작 19mm라 상당히 위험하다. 그리고 일본의 경순양함 주포인 15.5 cm/60 (6.1") 3rd Year Type는 20,000m에서도 100mm를 관통하므로 막아낼 수 없다.[13] 뉴올리언스급은 카운티급보다 기관 출력이 20,000 킬로와트정도 더 높지만(카운티급은 60,000 킬로와트) 속력은 1km도 차이가 나지 않는다.[14] 영국 해군은 개전 당시에 구축함급과 그 이상의 모든 함종이 기계식 사격 통제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었다.[15] CV-6 엔터프라이즈가 아니라 에메랄드급 경순양함 엔터프라이즈다.[16] 버윅이라고 읽기도 하는 모양.[17] 최초로 카미카제를 당해 침몰한 함선은 미국의 카사블랑카급 호위항공모함 세인트 로(St. Lo)-CVE-63-이다.[18] 카미카제 문서에 있는 사진의 주인공. 일본군의 카미카제에 의한 피해를 보여주기 위한 사례 중 하나로 Ki-51의 카미카제에 당해서 현측의 홀수선 부분에 벽에 찍힌 모기 주검마냥 비행기가 찍힌(?) 자국이 있는 그 배다.[19] 독일측에서는 비스마르크가 자침이라고 주장하지만 그 주장을 그대로 적용하면 미드웨이 해전에서 격침된 일본 항공모함 아카기와 히류도 격침이 아니라 자침이라고 봐야하니 패스.[20] CV-6 엔터프라이즈가 아니라 에메랄드급 경순양함 엔터프라이즈다.[21] 이는 서리급 중순양함으로 분류하기도 하는듯 하다.[22] 이후 슈롭셔는 창청의 미라주가 망한후 본진인 전함소녀에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