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28 16:57:47

N3급 전함

파일:영국 국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 해군 군함 파일:영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000080>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해군 군함
초계함 <colbgcolor=#fefefe,#191919>24형, 브리지워터급, 헤이스팅스급, 밴프급, 쇼어햄급, 그림스비급, 킹피셔급, 비턴급, 이그렛급, 블랙 스완급, 플라워급, 캐슬급
호위함 리버급, 캡틴급, 콜로니급, 로크급, 베이급
구축함 R급, S급, V급, W급, 셰익스피어급, 엠버스케이드급, 아마존급, A급, B급, C급, D급, E급, F급, G급, H급, I급, 트라이벌급, J급, K급, N급, 헌트급, L급, M급, O급, P급, Q급, R급, S급, T급, U급, V급, W급, Z급, C급, 배틀급, 웨폰급A, 갤런트급, 데어링급A
잠수함 H급, L급, U급, V급, X급, X1, P611급, S급, T급, 그램퍼스급, 암피온급, 리버급, 레인보우급, 파르티안급, 오딘급
모니터함 로버츠급
경순양함 C급(칼레돈급, 세레스급, 칼라일급), D급, E급, 리앤더급, 엠피온급, 아레투사급(1934), 타운급(사우스햄튼급, 글로스터급, 에든버러급), 다이도급, 크라운 콜로니급, 미노토어급(스윕트셔급), 넵튠급, 미노토어급(1947)
중순양함 호킨스급, 카운티급(켄트급, 런던급, 노포크급), 요크급, 엑서터급, 서리급, 어드미럴급
순양전함 리나운급, 어드미럴급, J3급, G3급, K2·K3급, I3급
전함 아이언 듀크급, 퀸 엘리자베스급, 리벤지급, N3급, L급, 넬슨급, 킹 조지 5세급, 라이온급, 뱅가드A
호위항공모함 오더시티, 액티비티, 나이라너급, 아처, 어벤저급, 어태커급, 룰러급(보그급 호위항공모함), 프레토리아 캐슬
경항공모함 유니콘급,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센토어급A
정규항공모함 아거스급, 허미즈급, 이글급, 커레이저스급, 아크로열급, 일러스트리어스급, 임플래커블급, 오데이셔스급A, 몰타급, 하버쿡
기타 페어마일 어뢰정, 알제린급 소해함, 캐서린급 소해함, 소드피시, 인섹트급 연안포함
취소선: 실제로 건조되지 못한 함선
윗첨자A: 전후 완공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드레드노트급 전함의 계보 파일:영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함
중간포 폐지/대응방어 및 증기터빈 도입

드레드노트


 
방뢰격벽 추가/부포 구경 강화

벨레로폰급


 
부포 수량 증가

세인트 빈센트급


 
장갑 강화/주포 배치 개선

넵튠급


 
마스트 수량 감소

콜로서스급


 
주포 구경 강화

오라이언급


 
장갑 및 속력 강화

킹 조지 5세급(1911)


 
부포 강화

아이언 듀크급


 
주포 구경 증가/속력 강화/중유 보일러 도입

퀸 엘리자베스급


 
아이언 듀크급 기반으로 무장 강화

리벤지급


 
주포 구경 강화/집중방어체계 도입

N3급


 
N3급 기반으로 소형화

넬슨급


 
4연장 주포탑 도입/속력 강화

킹 조지 5세급(1939)


 
신형 주포 도입/속력 강화

라이온급


 
속력 강화

뱅가드

순양전함
드레드노트 기반으로 경량화

인빈시블급


 
항속거리 증가

인디패티거블급


 
주포 구경 및 장갑 및 속력 강화

라이온급


 
속력 및 항속거리 증가

퀸 메리급


 
부포 구경 강화

타이거급


 
주포 구경 및 속력 강화

리나운급


 
포탑 1개 추가/장갑 강화

어드미럴급


 
어드미럴급 기반으로 주포 구경 강화

K2/K3급


 
K3급 기반으로 경량화

J3급


 
M3급 전함의 순양전함 설계

I3급


 
I3급 기반으로 경량화

G3급

기타
라이온급 기반 수출용 전함

에린

/
 
퀸 엘리자베스급 기반 수출용 전함

애진코트

/
 
수출용 전함

캐나다

/
 
수출용 전함/항공모함으로 개장

이글

/
 
고속 대형 경순양함/항공모함으로 개장

커레이저스급

/
 
1915년 제안된 순양전함

인컴패러블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해군 해상 병기의 계보 틀 : 항공모함 | 원자력 잠수함
}}}}}}}}}


1. 개요2. 제원3. 설명
3.1. 역사3.2. 특징
3.2.1. 무장
3.2.1.1. 주포3.2.1.2. 그 위의 무장들
3.2.2. 장갑
4. 모형화5. 둘러보기

1. 개요

N3급 전함은 G3급 순양전함과 함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해군의 차기 주력함으로 계획되었으나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으로 건조가 취소된 군함이다.

2. 제원

전장820 ft (249.9 m)
전폭106 ft (32.3 m)
흘수선33 ft (10.1 m)
경하배수량48,500롱톤 (49,300메트릭톤)
보일러Yarrow-type 20기
터빈Brown-Curtis 기어드 터빈 2기 2축
출력56,000 SHP (42,000kW)
속력23노트 (43 km/h, 26 mph)
주포BL 18인치 (457 mm) 3연장 함포×3
부포BL 6인치 (152 mm) 연장 함포×8
대구경 대공포4.7인치 (120 mm) 단장 대공포×6
소구경 대공포QF 2파운더 (40 mm) 10연장 대공포×4
어뢰24.5인치 (622 mm) 어뢰 발사관×2
장갑주장갑대 13.5-15인치 (343-381 mm)
갑판 6-8인치 (152-203 mm)
포탑 10-18인치 (254-457 mm)
바벳 15인치 (381 mm)
함교 15인치 (381 mm)
벌크헤드 9-14인치 (229-356 mm)
수량4척 예정, 4척 취소

3. 설명

파일:WNBR_18-45_mk2_N3_pic.jpg
N3의 상상도. N3의 설계도는 공개된 적이 없고, 문장으로 설명된 것들을 묘사한 그림들만 있다. 초록색 S로 표시된 부분이 부포의 위치고, 그 외의 원(옆에서 볼때는 +)가 대구경 대공포의 위치다.
파일:external/www.the-blueprints.com/hms_nelson_battleship_1944-07397.jp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HMS_Nelson.jpg
위 사진은 넬슨급 전함이지만 N3급과 넬슨급은 설계 개념의 유사성으로 인해 상당히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넬슨급 전함의 사진을 등재해 둔다.[1]

3.1.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중반에 돌입하는 시점인 1916년 영국 해군은 당대 최강의 주력함인 퀸 엘리자베스급 전함과 그와 동일한 공방능력을 보유한 리벤지급 전함들을 보유하고 있었으나[2] 미 해군이 양양해군법, 일본 해군이 88함대 계획으로 급격한 전력 증강을 예고함에 따라 영국은 해양 패권국의 지위를 상실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에 휩싸였다. 물론 함대법으로 영국 해군을 맹렬히 추격하고 있었던 독일 제국 해군이 가장 큰 위협이었다. 게다가 당시는 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함대간 전투에서 패배하는 등의 여러 변수들을 고려해야 했다. 이에 따라 영국은 막강한 어드미럴급 순양전함 4척을 계획하고 건조를 시작하였다.[3] 게다가 미국은 보조함 건조의 우선순위를 높임으로서 주력함 건조 계획을 축소 수정하였으며 독일이 1차대전에서 패전함에 따라 독일 해군은 더 이상 영국 해군의 상대가 되지 못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20년대 초반에 영국과 미국의 해군 전력이 역전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일본 또한 여러 척의 강력한 군함들을 건조하고 있었다. 미국은 막강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16인치 함포를 12문이나 탑재한 사우스다코타급 전함과 거대하고 빠른 렉싱턴급 순양전함을 건조하며 총 16척의 신형 주력함을 배치할 계획이었다.[4] 일본은 16인치 주포를 다수 탑재한 나가토급 전함카가급 전함, 렉싱턴급과 마찬가지로 거대하고 빠른 아마기급 순양전함을 건조하고 있었다.[5]

이에 따라 영국은 해군 최강국의 지위를 지키기 위해 N3급 전함과 G3급 순양전함 계획을 만든다. 신규 전함의 계획안은 L부터 N까지의 계획명을 부여받았다. 새 전함의 설계는 기본적으로 1914년의 U-4 전함 설계안에서 파생되었다. 설계안은 L2→L3→M2→M3→N3으로 변화되어 가며 무장이 강화되고 배수량이 줄어드는 단계를 거쳤다. 최종적으로 주포는 18인치 3연장 포탑 3기에 속도는 23노트로 확정되었다. 배수량은 5만 톤에 다소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1921년 11월 건조가 승인되었다.

건조가 승인되었지만 4척의 N3급 전함들은 건조가 시작되지도 못했다. 주력함의 배수량을 35,000 t, 주포의 구경을 16인치로 제한하는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이 체결되었기 때문이다. 비록 건조되지는 못했지만 만약 건조되었다면 대브리튼 연합왕국을 구성하는 4개 지역의 수호성인인 HMS 세인트 앤드류, HMS 세인트 조지, HMS 세인트 패트릭, HMS 세인트 데이빗의 이름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상징성이 큰 군함이었기에 저러한 상징성 있는 이름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이후 조약에 따라 N3급 전함의 마이너 버전이라고 할 수 있는 넬슨급 전함(이명: O3급 전함) 2척이 건조된다.

조약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N3급 전함이 실제 건조될 수 있었을지는 현재까지도 논란의 주제가 된다. 비록 인컴패러블급 순양전함, 최대 전함, 가네다 전함처럼 1920년대 기술로 건조가 불가능하다시피 한 수준은 결코 아니었으며 기술적인 문제는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당시 영국은 전쟁이 막 끝난 상황이었고 경제 상황이 매우 좋지 않아 전함 건조같은 엄청난 예산을 잡아먹는 일은 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N3급같은 거대 전함이라면 더욱 그러하다. 이 때문에 4척의 N3급은 미국과 일본에게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을 체결할 것을 압박하는 카드였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실제 영국이 군축조약 체결에 가장 적극적인 입장이었다.

3.2. 특징

L2부터 N3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설계안은 1916년에 벌어진 유틀란트 해전의 전훈을 분석하여 반영하는 동시에, 그 결론인 집중 방호 구조라는 개념을 발명하고 또한 그 개념을 달성할 수 있는 설계를 만들기 위한 일련의 아이디어들을 시험한 것이었다. 후방 포탑이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갔고, N3/G3에 이르러서는 후방 포탑을 중앙에 두는 디자인에 도달한다. 이는 연돌을 집중 방호 구획에서 제외하고, 후방으로 보내버리는 급진적인 디자인이었다.

그리고 나서 6인치 부포 4개를 주포탑 사이의 타워형 브릿지에 두고, 나머지 4개를 엔진실 주변에 두었다. 부포는 터져도 주포탑이나 엔진실에 영향을 주지 않는 개념이었다.[6] 사격 지휘실은 메인이 브릿지 정상에 하나, 그리고 브릿지 앞 코닝 타워(상상도의 브릿지 앞에 있는 작고 동그란 타워)의 장갑화된 구획에 하나가 있었다.

N3는 역사상 처음으로 집중 방호 구조에 도달한 구조로 평가된다. 다만 미국의 것이 더 먼저이고, 미국의 디자인을 참고했다는 주장도 일부 존재한다. 실제로 영국의 설계자들은 전세계에서 아이디어를 긁어모으면서 신형 전함과 주포의 설계를 진행했다.

이후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이 조인되자, 16인치 제한을 적용하기 위해 G3급 순양전함의 16인치 주포를 사용하는 설계안으로 넘어간다. 주포 구경과 배수량이 작아지면서 타워형 브릿지와 부포를 엔진실의 용적을 줄여가며 연돌 주변으로 치워버렸고, 그렇게 배수량을 1.5만톤 줄이면서 3번 주포를 앞으로 보게 만든 최종 설계안 O3가 넬슨급 전함이 된다.

2축 추진 체계를 채용하였는데 넬슨급과 마찬가지로 운동 성능은 그리 좋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대속도 자체는 23노트로 준수하다.

후대의 넬슨급 전함처럼 강력한 공방능력 대비 작은 크기를 자랑한다. 18인치 주포 9문과 당대 최고의 중장갑을 갖추었지만 길이는 비스마르크급 전함과 비슷하며 폭은 그보다 3 m 넘게 좁다. 다만 무거운 무장으로 인해 배수량 자체는 크기 대비 무거운 편이었으나 무장과 장갑의 수준을 감안하면 오히려 가벼운 편이었다. 세장비는 7:1 이상으로 당대 전함들보다 높은 편이었다.

영국답게 사격통제체계는 상당히 뛰어났다. 넬슨급 전함에 탑재되는 아날로그식 사격통제 컴퓨터인 A.F.C.T Mk.1이 탑재될 예정이었다.[7]

3.2.1. 무장

3.2.1.1. 주포
N3급의 18인치 45구경장 주포는 완성된 적이 없기 때문에, 사양은 불명확하다.

영국 정부는 1차 대전이 끝날 즈음, 1차 대전의 전훈을 반영하여 최강의 전함과 순양 전함의 디자인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드레드노트급 전함을 건조했을 때의 우위를 그대로 가져가고자 한 것이다. 목표는 후드보다 거대한, 향후 20년간 헤게모니를 지배할 수 있는 거함이었다. 15인치 50구경장, 16인치 45구경장, 16.5인치 45구경장, 16.5인치 50구경장, 18인치 45구경장의 5가지 주포 구경이 검토되었고, 여러 설계안에서 이리저리 검토한 끝에 G3 16인치 45구경장, N3에서 18인치 45구경장이 낙점된다.

이때까지 영국 해군과 정부는 15인치 주포까지만 사용중이었는데, 그 다음으로는 16인치 만이 아닌, 16인치와 18인치를 동시에 준비한 것이었다. 해군은 퓨리어스에서 18인치 40구경장 Mk I주포를 시험한 결과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해당 주포가 순전히 배가 작아서 실패한 것일 뿐이므로, 충분한 거함을 건조하면 18인치 주포도 실현 가능한 목표라고 여겼다.

그런데 그것은 군인들의 생각일 뿐이었고, 엔지니어들의 머릿속은 복잡하게 돌아갔다. 여건이 되는데로 독일과 미국의 주포 설계와 실물을 입수해서 다양한 기술을 검토해서 18인치 주포를 제작하고자 했다. 전통적인 영국의 거포 제작 방식은 wire wound 공정을 포신 전체에 수행하는 것이었는데(시안 4), 18인치는 워낙 크고 무거웠기에 절반만 wire wound하는 방식(시안 5)과 아예 하지 않는 방식(시안 6)이 추가로 검토되었다. 시안이 4,5,6인 이유는 퓨리어스를 위해 제작한 주포 3개가 1, 2, 3의 일련 번호를 가져갔기 때문이다.

Royal Gun Factory는 이 시안을 상부에 제출했고, 빅커스가 시안 5, Elswick 의 암스트롱 웍스가 시안 6을 1920년 12월 20일에 할당받고, 남은 4번 시안을 1921년 1월 20일에 Royal Gun Factory가 직접 제작하기로 결정한다. 그리고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이들 주포는 16인치 50구경장의 개발 사업으로 위장되지만, 실제로는 셋 다 '18인치 45구경장 Mark II'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4번 시안은 퓨리어스에 장착한 Mk.1의 기술적 연장선에 있었으므로, 5, 6이 실패했을때 진행할 일종의 보험이었다. 그래서 퓨리어스의 18인치 주포가 N3나 그 이후의 전함에 채용되었는지, 그리고 영국이 18인치 전함 주포를 가졌는지에 대해 의견이 갈리게 된다. 다만, 시안 4에서 보듯이 영국측의 입장은 '이미 우리는 18인치 전함 주포를 만들어서 쏴봤다'였다. 딱히 거짓말도 아니다.

1920년에 제시된 포탄의 사양은 포구 초속 2650 ft/s (810 m/s)에 포탄 중량 2,916 lb (1,323 kg) 이었다. 하지만 넬슨급에도 적용된 경량 고속탄의 개발로 선회하였고, 1921년에 포구 초속 2,700 ft/s (820 m/s)에 포탄 중량 2,837 lb (1,287 kg)의 사양으로 변경된다.[8] 이 때문에 근접 거리에서의 관통력은 구경이 살짝 더 큰 야마토급 전함94식 40cm 45구경장 함포의 괸통력을 능가하지만 거리가 멀어질 경우 넬슨급이 그랬듯이 관통력의 저하와 거리의 오차가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주포의 최대 부양각은 40도이며, 이 각도에서 1921년 버전의 포탄은 약 42,000야드(38.4킬로미터)의 사거리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18인치 주포는 결국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이 조인되기 한달 전쯤인 1922년 1월 30일에 발주가 취소된다. 항목 설명에서 느낄 수 있다시피 조약을 조인 시키기 위해서 개발한 주포와 전함이고, 다 어그러지면 다같이 파산할 기세로 진짜로 건조할 예정이었기 때문이다.
3.2.1.2. 그 위의 무장들
부포는 포구 초속은 2,945 ft/s (898 m/s), 포탄 중량은 100 lb (45 kg)이다. 최대 부양각은 45도, 최대사거리는 45도에서 25,800 yd (23,600 m) 이다. 최대 사격 속도는 분당 5발이다.

6문의 QF 4.7인치 Mk VIII 대구경 대공포는 -5도에서 +90도까지의 조절 범위를 보인다. 최대 사격 속도는 분당 8~12발이며 포구초속은 2,457 ft/s (749 m/s), 포탄 중량은 50 lb (23 kg)이다. 상승 한도는 상공 9.8 km이었다. 40 mm QF 2파운더 소구경 대공포에는 1,300발의 탄약이 실려 있었으며 포탄의 상승 한도는 상공 3.5km이었다. 포구 초속은 1,920 ft/s (590 m/s)이고 포탄 중량은 0.91 lb (410 g)이었다. 발사 속도는 분당 96-98발이었다. 전체적으로 대공 화력은 설계 시기를 감안하면 상당히 우수한 수준이지만 2차 대전 기준으로는 좋다고 하기 어렵다.

N3급 전함에는 이전의 영국 전함들과 마찬가지로[9] 수중 또는 측면으로 발사되는 어뢰관 한 쌍이 탑재될 계획이었다. 발사관 하나당 24.5 in (622 mm)짜리 어뢰가 평시에는 6발, 전시에는 8발이 탑재된다. 이 어뢰들은 TNT 743 lb (337 kg)의 탄두를 가지고 있었으며 산소가 풍부한 공기로 동력을 공급받았다. 속도 설정은 두 가지가 있었는데, 하나는 15,000 yd (13,716 m)를 가는 35 kt이고 다른 하나는 20,000 yd (18,288 m)를 가는 30 kt이다.

3.2.2. 장갑

N3급 전함은 이전의 영국 전함들과는 달리 집중방어체계를 도입했다.[10] N3급 전함의 주장갑대는 최대 두께가 15인치 (381 mm)로, 상단이 바깥쪽으로 25° 기울어진 상태였다. 주장갑대는 A 포탑 바벳의 전방 9 ft (2.7 m)에서 6인치 부포탑 뒷면까지 약 463 ft(141.1 m) 길이이다. 엔진과 보일러실을 지나는 약 115 ft (35.1 m) 구간에서는 장갑 두께가 13.5인치 (343 mm)로 줄었다. 주장갑대의 높이는 14피트 3인치 (4.3 m)였으며, 그 중 4피트 6인치 (1.4 m)가 수선 아래에 있었다. 주장갑대의 하단 가장자리는 수중탄 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4인치 (102 mm) 두께가 36° 각도로 기울어져 있었다. 주장갑대의 끝부분은 벌크헤드 부분에서 14인치 (356 mm)으로 끝난다.

갑판장갑은 8인치 (203 mm) 두께로 유틀란트 해전의 전훈을 받아들여 충분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 갑판장갑은 수선 주장갑대의 길이에 맞춰져 있다. 어뢰실 위는 9인치 (229 mm)으로 다른 부위보다 더 두꺼우며 조향축 부분은 6인치 (152 mm)두께의 갑판장갑과 벌크헤드로 보호되었다.

포탑장갑 정면의 두께는 18인치 (457 mm)으로 상당히 두꺼운데다 경사장갑이었으며 측면의 두께는 14인치 (356 mm), 상부 장갑의 두께는 8인치 (203 mm)이다. 주포 바벳의 장갑 두께는 15인치 (381 mm)이다. 어뢰 유폭에 대비한 설계도 되어 있었다.

전반적으로 방어력은 상당히 뛰어나다. 타국의 주력 전함이 될 예정이었던 L 20 α급 전함, 사우스다코타급 전함(1920), 13호급 순양전함 등의 전함들보다 한 수 위의 방어력을 보여준다. 집중방어체계를 도입하여 장갑 배분이 효율적으로 되어 있으며 갑판장갑도 두껍다.[11] 실제 건조되어 위의 3척과 전투를 벌였다면 기본적으로 공방능력에서 우세하기 때문에 전투를 상당히 유리한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었을 것이다.

4. 모형화

2000년대 출시된 1/700 스케일의 레진 킷이 존재하나 이제는 구하기 쉽지 않다.

5. 둘러보기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colbgcolor=#685050>남미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해군 함수기.sv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라트비아 선수기.svg
라트비아
동유럽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동남
아시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the_Philippines.svg.pn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5px-Naval_Ensign_of_India.svg.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오세
아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 영문 위키피디아에도 N3급 전함 항목에 넬슨급 전함의 사진이 올라와 있다.[2] 리벤지급은 건조 중이었다. 리벤지급 전함들은 1916년에서 1917년 사이에 취역한다.[3] 건조 도중 1차대전 종전으로 인해 실제 완성된 함선은 후드뿐이었다.[4] 콜로라도급 전함 4척과 사우스다코타급 전함(1920) 6척, 렉싱턴급 순양전함 6척으로 구성되어 있다.[5] 거기에 카가급 전함과 마찬가지로 16인치 주포를 10문 탑재한 키이급 전함과 18인치 주포를 탑재한 13호급 순양전함이 추가될 예정이었다. 88함대의 구성은 나가토급 전함 2척, 카가급 전함 2척, 키이급 전함 4척, 아마기급 순양전함 4척, 13호급 순양전함 4척으로 총 16척이었다.[6] 에이브람스 전차의 탄약고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7] 후드를 비롯한 기존의 전함들에도 비슷한 물건이 탑재되어 있으나 N3급에는 한 단계 진보된 물건이 들어갈 예정이었다.[8] 미국과 일본의 18인치급 포탄에 비해 수백 kg 가볍다. 퓨리어스와 제너럴 울프의 18인치 포탄보다도 많이 가볍다.[9] 영국 전함들에는 영국 해군에서 어뢰전함을 그리 좋게 평가하지 않은 것과는 별개로 어뢰가 탑재되어 있었다. 비스마르크 추격전 당시에도 넬슨급 전함 로드니가 포격에 만신창이가 된 비스마르크를 직접 어뢰로 마무리했다는 이야기가 있다.[10] 퀸 엘리자베스급 전함리벤지급 전함은 1차대전식의 방어 구조를 갖추고 있었으며 이 때문에 장갑 두께가 그다지 두껍지 않았다. 순양전함인 리나운급어드미럴급은 말할 것도 없고. 다만 경사장갑 설계는 일부 채용되어 있었다.[11] 넬슨급 전함도 방어력이 상당히 뛰어나다. 1920년대 전함이지만 방어력이 야마토, 아이오와사우스다코타(1939) 3척 다음가는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