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 막스 모를로크 슈타디온 | 머크 슈타디온 암 뵐렌팔토어 | 메르쿠어 슈필아레나 | |
얀슈타디온 레겐스부르크 | MDCC 아레나 | 프로이센 슈타디온 | ||
아인트라흐트 슈타디온 | 펠틴스 아레나 | 우르사팜 아레나 안 데어 카이저린데 | ||
도나우 슈타디온 | BB방크 빌트파르크 |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 | ||
라인에네르기 슈타디온 | 홈디럭스 아레나 | 슈포르트파르크 론호프 토마스 조머 | ||
하인츠 폰 하이덴 아레나 | 폴크스파르크 슈타디온 |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 | ||
◀ | | |||
|
| |
하노버 96 | |
하인츠 폰 하이덴 아레나 Heinz-von-Heiden-Arena | |
<colbgcolor=#dd0032><colcolor=#FFF> 이전 명칭 | 니더작센슈타디온 (1954~2002) AWD 아레나 (2002~2013) HDI 아레나 (2013~2022) 하인즈 폰 하이덴 아레나(2022~2027예정) |
위치 | 독일 하노버 |
개장 | 1954년 9월 26일 |
운영 | Hannover 96 Arena GmbH & Co. KG |
좌석 | 49,000석 |
UEFA 명칭 | 니더작센슈타디온[1] Niedersachsenstadion |
홈 구단 | 하노버 96 (1959~ ) TSV 하펠제 (2020~2021)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일부 경기) |
[clearfix]
1. 개요
하노버에 위치한 경기장. 하노버 96이 홈구장으로 사용중이다.2. 특징
1952년에 건축이 시작됐는데,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처럼 2차 전쟁때 폭격으로 파괴된 건축물로 건설되었다. 당시에는 8만여명이 수용가능했다.이후 1959년에 하노버 96이 홈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외에도 SV 아르미니아 하노버, OSV 하노버, TSV 하펠제, 스포르트프라인드 리클링겐도 이 구장을 사용했었다.
2002년에는 AWD가 네이밍스폰을 2013년까지 했고, 이후 HDI가 네이밍스폰을 했다.
레드불 아레나, 메르세데스-벤츠 아레나등과 함께 독일월드컵에 맞추어 보수 되었다. 그래서 인지 구장의 해저드의 모양새가 레드불 아레나와 상당히 비슷하다.
2009년에는 하노버 96 소속이던 독일의 골키퍼 로베르트 엔케가 자살[2]을 하자 이 경기장에서 장례식이 열렸다. 그리고 엔케의 뛰어난 활약을 하노버 구단에서는 시에 요청하여 구장 앞쪽 길의 이름을 '로베르트 엔케 거리' 로 바꾸었다.
3. 2005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경기일자 (현지시각) | 홈팀 | 결과 | 원정팀 | 라운드 | 관중 |
2005년 6월 15일 18:00 | | 1:2 | | B조 1차전 | 24,036 |
2005년 6월 19일 20:45 | | 1:0 | | B조 2차전 | 43,677 |
2005년 6월 26일 18:00 | | 1:1 PSO 5:6 | | 준결승전 | 40,718 |
4. 2006 FIFA 월드컵 독일
경기일자 (현지시각) | 홈팀 | 결과 | 원정팀 | 라운드 | 관중 |
2006년 6월 12일 21:00 | | 2:0 | | E조 1차전 | 43,000 |
2006년 6월 16일 21:00 | | 0:0 | | D조 2차전 | 43,000 |
2006년 6월 20일 16:00 | | 1:2 | | A조 3차전 | 43,000 |
2006년 6월 23일 21:00 | | 2:0 | | G조 3차전 | 43,000 |
2006년 6월 26일 21:00 | | 1:3 | | 16강전 | 43,000 |
5. 둘러보기
| ||||
2006 FIFA 월드컵 독일 경기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베를린 | 뮌헨 | 도르트문트 | 슈투트가르트 |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 (72,000명) | 푸스발 아레나 뮌헨 (66,000명) | 베스트팔렌슈타디온 (65,000명) | 고틀리프 다임러 슈타디온 (52,000명) | |
겔젠키르헨 | 함부르크 | 프랑크푸르트 | 카이저슬라우테른 | |
아레나 아우프샬케 (52,000명) | 함부르크 아레나 (50,000명) | 발트슈타디온 (48,000명) |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 (46,000명) | |
쾰른 | 하노버 | 라이프치히 | 뉘른베르크 | |
뮝게르스도르퍼 슈타디온 (45,000명) | 니더작센슈타디온 (43,000명) | 첸트랄슈타디온 (43,000명) | 프랑켄슈타디온 (41,000명) | |
◀ 2002 | 20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