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5 시즌 구단별 홈구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지그날 이두나 파크 | 보노비아 루르슈타디온 | 레드불 아레나 |
바이 아레나 | 메바 아레나 | 보루시아 파르크 | |
알리안츠 아레나 | 보닌베스트 베저슈타디온 | 폭스바겐 아레나 | |
MHP 아레나 | WWK 아레나 | 슈타디온 안 데어 알텐 푀르스테라이 | |
밀레른토어 슈타디온 | 홀슈타인 슈타디온 | 유로파 파크 슈타디온 | |
도이체 방크 파르크 | 포이트 아레나 | 프리제로 아레나 | |
| |||
|
| | |
| |
RB 라이프치히 | |
레드불 아레나 Red Bull Arena | |
이전이름 | 첸트랄슈타디온 (1956년~2010년) |
위치 | 독일 라이프치히 |
개장 | 1956년 8월 4일 |
리노베이션 | 2000년 12월 ~ 2004년 3월 |
좌석 | 국내 경기 : 47,800석 / 국제 경기 : 45,228석 |
UEFA 명칭 | RB 아레나[1] (RB Arena) |
홈팀 | VfB 라이프치히 (1992~1995) FC 작센 라이프치히 (2004~2009) RB 라이프치히 (2010년~현재) |
[clearfix]
1. 개요
독일 라이프치히에 위치한 축구 전용 구장. 2010년부터 RB 라이프치히가 홈 구장으로 사용 중이다.2. 특징
본 경기장의 전신(前身)인 첸트랄슈타디온(Zentralstadion)은 1956년 동독 시절에 처음 건설되었으며, 육상 트랙이 있는 종합 경기장이었다. 항목의 첫 사진을 잘 보면 종합운동장 시절의 관중석 자리의 흔적이 남아있고, 종합운동장 시절의 입구 파사드가 보존되어있는 것(첫 번째 사진 아래쪽의 작은 건물 같은 것, 그리고 세 번째 사진)이 보일 것이다. 첸트랄슈타디온은 10만 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거대 경기장이었고,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통일 이후 독일이 2006 월드컵 개최권을 따내자 첸트랄슈타디온은 축구 전용 구장으로 개수하기 위해 2000년에 폐쇄, 재건축되었다.이전에는 VfB 라이프치히와 FC 작센 라이프치히가 이 구장을 사용했다. 콘서트장으로 자주 사용되며 콘서트장으로 사용 시 50,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2006 독일 월드컵 때도 사용된 구장으로, 대한민국이 이곳에서 프랑스와 조별리그 2차전 경기를 치렀으며 티에리 앙리에게 전반전에 선제골을 내줬지만 후반전에 박지성의 동점골로 1:1 무승부로 끝났다.
원래 이름은 첸트랄슈타디온이었으나, 2010년에 레드불이 경기장 명명권을 구입하였다. 그런데 UEFA는 규정상 스폰서가 붙은 경기장 이름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유럽 대항전에서는 'RB 아레나'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RB는 레드불의 약자가 아니라 라이프치히 구단이 기업 구단이라는 것을 숨기기 위해 쓰는 'Rasen Ballsport'[2]의 약자다.
3. 2006 FIFA 월드컵 독일
경기일자 (현지시각) | 홈팀 | 결과 | 원정팀 | 라운드 | 관중 |
2006년 6월 11일 15:00 | 0:1 | C조 1차전 | 37,216명 | ||
2006년 6월 14일 15:00 | 4:0 | H조 1차전 | 43,000명 | ||
2006년 6월 18일 21:00 | 1:1 | G조 2차전 | 43,000명 | ||
2006년 6월 21일 16:00 | 1:1 | D조 3차전 | 38,000명 | ||
2006년 6월 24일 21:00 | 2:1 | 16강전 | 43,000명 |
4. UEFA 유로 2024
경기일자 (현지시각) | 홈팀 | 결과 | 원정팀 | 라운드 | 관중 |
2024년 6월 18일 21:00 | 2:1 | F조 1차전 | 38,421 | ||
2024년 6월 21일 21:00 | 0:0 | D조 2차전 | 38,531 | ||
2024년 6월 24일 21:00 | 1:1 | B조 3차전 | 38,322 | ||
2024년 7월 2일 21:00 | 1:2 | 16강전 | 38,305 |
5. 둘러보기
| ||||
2024-25 | → | 2025-26 | → | 2026-27 |
스타디온 브로츠와프 | RB 아레나 | 베식타슈 파크 |
| ||||
2006 FIFA 월드컵 독일 경기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베를린 | 뮌헨 | 도르트문트 | 슈투트가르트 |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 (72,000명) | 푸스발 아레나 뮌헨 (66,000명) | 베스트팔렌슈타디온 (65,000명) | 고틀리프 다임러 슈타디온 (52,000명) | |
겔젠키르헨 | 함부르크 | 프랑크푸르트 | 카이저슬라우테른 | |
아레나 아우프샬케 (52,000명) | 함부르크 아레나 (50,000명) | 발트슈타디온 (48,000명) |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 (46,000명) | |
쾰른 | 하노버 | 라이프치히 | 뉘른베르크 | |
뮝게르스도르퍼 슈타디온 (45,000명) | 니더작센슈타디온 (43,000명) | 첸트랄슈타디온 (43,000명) | 프랑켄슈타디온 (41,000명) | |
◀ 2002 | 2010 ▶ |
UEFA 유로 2024 경기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베를린 | 뮌헨 | 도르트문트 | 슈투트가르트 | 겔젠키르헨 | |
| | | | | ||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 (71,000석) | 뮌헨 풋볼 아레나 (66,000석) | BVB 슈타디온 도르트문트 (62,000석) | 슈투트가르트 아레나 (51,000석) | 아레나 아우프샬케 (50,000석) | ||
함부르크 | 프랑크푸르트 | 뒤셀도르프 | 쾰른 | 라이프치히 | ||
| ||||||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함부르크 (49,000석) | 프랑크푸르트 아레나 (47,000석) | 뒤셀도르프 아레나 (47,000석) | 쾰른 스타디움 (43,000석) | 라이프치히 스타디움 (40,000석) | ||
◀ 2020 | 202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