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15:21:47

닌자무예장

파일:external/blog.jinbo.net/170927221.jpg
1. 개요2. 만화
2.1. 등장인물
3. 애니메이션

[clearfix]

1. 개요

忍者武芸帳

시라토 산페이만화 및 해당 작품을 원작으로 한 오시마 나기사 감독의 애니메이션 영화를 다루는 문서.

2. 만화

전국시대, 영주의 아들 유우키 쥬타로는 이가 출신의 닌자 사카가미 슈젠에게 아버지와 재산을 잃고 떠돌아다니다가 원수를 갚는답시고 어설픈 솜씨로 몰래 들어가다가... 슈젠의 여동생 호타루에게 팔이 잘린다. 그 순간 닌자 카게마루가 나타나서 호타루의 팔을 자른다. 누가봐도 요짐보의 오마쥬. 그러면서 쥬타로는 카게마루의 농민군단에 들어가는데...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의 시대극을 주로 연재한 시라토 산페이의 이름을 널리 알린 만화. 대본소 극화로 지금도 복각판이 재판되어 나오고 있는 명작. 이때는 시라토 산페이의 그림체가 만화체였으나 점점 극화체로 변하더니 카무이전에 이르러서는 극화체로 자리잡았다.

이 만화는 무로마치 막부 시대 조정의 학정에서 백성들을 구해내기 위해 세력을 규합하여 무력 대응에 앞장선 한 젊은 검객의 이야기를 다룬 것으로 그림체가 매우 사실적이며, 칼잡이가 나오는 픽션 만화여서 참수와 같은 유혈묘사가 상당하다.

2.1. 등장인물

  • 유우키 쥬타로
위 표지에서 여자 밑에 깔린 남자. 슈젠에게 목숨을 잃은 영주의 아들. 칼솜씨는 대단했다만 등장인물들이 날고 기는 인물들이었다. 카게마루가 구해주어 이것저것 배우며 농민군단에 들어갔다. 호타루비를 포함한 닌자군과 다시 대치했는데 다구리로 리타이어 당할 뻔했지만 쥬타로에게 반한 호타루비가 그의 숨통을 끊지 않고 후퇴한다. 그리고 아케미에게 발견되어 치료를 받고 연을 쌓는다. 전개가 진행되면서 거듭되는 패주, 농민군이 쥬타로의 집이였던 성을 모두 부순 것도 있고 호타루비와 쥬타로의 계략에 속아 임신한 아케미를 죽인 원수가 카게마루인 것으로 오해하고 배신한다. 마지막 최후의 카게마루가 처형당하기 직전 그의 유언을 듣는데 아케미의 오빠라는 걸 알고 멘붕. 후에 모든 걸 다 버리고 떠돌이 무사가 된다.
  • 아케미
위 표지에서 쥬타로 등짝을 보고있는 여인. 카게마루의 여동생이며 후에 쥬타로와 연을 맺게 되지만, 시대가 시대인지라 임산부라고 안 봐주는 아케치 닌자 군단에게 속아 유인되어 처참하게 살해된다. 카게마루의 여동생이란 설정이 아깝지 않게 만삯의 몸으로 날아오는 칼도 가마 안에서 피하고 가볍게 도주하며 몸을 숨긴다. 그러나 스트레스 때문인지 아이에게서 동증이 오고 들키며 도주, 팔 하나를 희생해 피하지만 은신해 있던 호타루비의 칼에 찔린다. 바로그냥 칼 몇 번 맞고 죽는 게 아니라 시체를 온전히 건지지 못 할 만큼 처참하게 당한다. 그 와중에 쥬타로가 알아보고 복수심을 불태울수 있도록 얼굴만은 멀쩡하다.
  • 사카가미 슈젠
쥬타로의 원수. 닌자로 어떤 환경에서도 살아남는 능력을 지녔다. 자신과 닮은 아케치 미츠히데를 살해하고 암약하다가 노부나가에게 반란을 일으킨다. 하지만 결말부에 가서 누군가에게 피살되는데... 그는 작가의 또 다른 만화 사스케의 아버지였다.
  • 카게마루.
불사신 카게마루로 목이 잘리든, 어떻게 되든 살아남아서 변증법적 유물론을 살짝 비튼 이론을 줄줄 읆어댄다. 꽤나 실력있는 닌자로 농민 군단을 이끌고 다닌다. 사실 카게마루가 불사신인 이유는 9명의 카게 일족이 누가 죽어도 그 역할을 대신하기 때문이었다. 사실 카게 일족 각각도 뛰어난 사람들이다. 최후의 카게마루는 조총 군단을 상대로 무쌍을 펼치다가 잡혀서 쇠사슬에 묶인뒤 거열형을 당한다.
  • 호타루비
슈젠의 여동생. 쥬타로의 팔 하나를 자르지만 자신도 카게마루에게 팔이 잘린다. 후에 쥬타로에게 연심을 품어 그의 아이를 가진 아케미를 잔혹하게 살해하는 등 얀데레 모에를 선보인다. 카게일족의 집을 폭탄으로날려버린 대가로 다구리당해 처참하게 사망한다. 다만 이는 자신의 목숨을 내건 계략으로 독주머니를 잔뜩 매단 채 카게 일족의 식수원에 떨어져 죽는 방법으로 일족을 몰살시켰다. 이 시점에서 카게일족의 생존자는 카게마루와 조로쿠의 아들 타로 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몸은 죽어도 닌자의 의지는 포기하지 않는다는 말을 하는 등 신념이 강하다.
만화가 만화이지라 나쁜 놈들의 보스격으로 나온다. 아케치 미츠히데에게 배신당해서 죽는다.
  • 무풍도인
카게마루의 스승. 손자 있는 산모에게서 아이들을 받았는데 카게마루였다. 카게마루의 어머니는 사망해 카게마루를 거두어 키우게 된다. 나중에 카게마루의 목을 베어다 노부나가에게 바치지만... 사실 그도 농민군의 일원이었다. 고아들을 거두어 가르치고 있었으나 기습을 당해 몰살당한다. 하지만 몇몇은 살아있음을 확인한다. 나중에 자신의 라이벌 노인과 대결하지만 그를 죽이지않고 근처에 있던 독사를 죽인다. 나중에 즉신불이 된다.

3. 애니메이션

오시마 나기사 감독의 1967년 애니메이션 영화.

시라토 산페이의 원작이 1960년대 학생 및 지식인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만큼 여러 차례 TV드라마나 영화화 기획이 구상 되었지만 막대한 제작비가 들어갈 수 밖에 없는 작품인 탓에 번번히 무산 되었다. 그러던 중 오시마 나기사가 스틸 사진을 찍어서 만드는 방식으로 제작한[1] 1965년 단편 영화 '윤복이의 일기 (ユンボギの日記)'[2] 연출의 경험을 살려서, 원작 만화의 2만 장에 가까운 원화를 추려서 촬영 후 편집하는 방식으로 애니메이션화 하는 데에 성공했다.

정지 화상에 성우가 목소리를 넣은 방식이 이제 와서 보면 '이런 걸 애니메이션으로 부를 수 있나?' 싶을 수도 있지만, 원래 과거 초창기 일본 애니메이션의 리미티드 애니메이션 기법 자체가 움직임이 1프레임에서 2~3프레임 수준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한 컷 내에서 입이나 눈 등의 움직임 조차 없다는 점이 특이하기는 하지만 아예 애니메이션과 동떨어진 기법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게다가 수작업으로 그림을 넘겨가며 이야기를 풀어놓는 그림연극(紙芝居) 형태는 게게게의 키타로, 황금박쥐 등의 작품이 (만화나 애니메이션화 되기 이전부터) 존재하며 유행했을 만큼 일본 국민들에게 친숙한 방식이었기 때문에, 보드빌 전통이 영화로 이어졌던 서양의 사례처럼 일본 내 사례로서는 개연성이 있는 과정이라 관객 입장에서도 받아들이기 수월했을 기법이다.

오시마 나기사가 고의적으로 낯설게 하기를 시도하는 작풍의 누벨바그의 일본 쪽 후대 기조인 쇼치쿠 뉴웨이브 감독 중 한 사람이기도 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자신이 생각한 방식으로 애니메이션화를 했고 작품을 완성했다고 보면 된다.


[1] 우연의 일치겠지만 조지 로메로가 1968년작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엔딩 시퀀스 마지막 몇 분에서 시도한 기법이기도 하다.[2] 번안 제목으로 오해할 수 있는데 진짜 한국인 윤복이 이야기로 재일교포가 아닌 한반도 본토의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