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명칭 | 다크니스 |
일본판 명칭 | ダークネス |
영어판 명칭 | Darkness |
1. 개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의 최종보스 다크니스가 사용한 카드군.필드 마법 "다크니스" 가 있을 때 "제로" 와 "인피니티" 를 동시에 발동해 그 사이에 낀 함정들을 전부 발동하는 카드가 주력 카드이며 이를 이용해 다크니스 1, 2, 3 카드의 효과를 연쇄시켜 데미지+여러 가지 특수효과를 누린다. 사용 후 마법/함정이 재배치되는 약점이 있지만 그 점은 세트 카드를 피핑이 가능한 다른 카드들로 보완하고 있다.
하지만 마법, 함정을 쓸 기회를 전부 이 카드에 올인해야 하기 때문에 실패할 때는 아무 대응도 할 수 없다. 거기다 랜덤 세트된 5장의 카드 속에서 특정 카드 2장을 맞출 수 있는 확률은 10%, 게다가 2장 사이에 임의의 카드가 끼어 있는 기대치는 겨우 1장에 불과하다. 플레이 방식은 상당히 독특하지만 다크니스 아이의 효과에 의존하면서 신을 운운한다던가, 본인도 찍었다가 발동을 실패하는 등 주인의 포스 하락에 기여한 면이 없잖아 있다.
다크니스 본인이 가지고 있는 테마지만 어째 쥬다이랑 유벨은 이 카드의 효과를 알고 있었다. 나름 실물로 유통되는 카드일지도..
보스듀얼 버전 카드로써 싸워볼 수 있었는데 보스듀얼 카드여서 인지 훨씬 강력하게 나왔다. 몬스터는 네오스피어와 아웃사이더 뿐이지만 네오스피어는 상대든 자신이든 공격 선언만 하면 불러올 수 있고 아웃사이더는 자신의 몬스터를 상대 필드로 보내는데, 아웃사이더의 레벨은 0이어서 상대 필드 위에 보내버려도 엑시즈나 싱크로로 쓸 수도 없어서 짐덩어리가 따로 없다.
이렇게 컨트롤을 넘겨주고 자신은 상대의 덱에서 소환 조건 무시로 몬스터 1장을 가져올 수 있다. 네오스피어는 마함 리셋, 자신의 라이프를 4000으로 하거나 상대의 라이프를 4000으로 만드는 게 가능하다.
더 압권인 건 마함 쪽이다. 일단 필드 마법인 다크니스의 효과는 원작이 자신의 마법&함정만 패로 올렸다면 보스 버전 카드는 1턴에 1번 파괴 무효, 턴 제한 없는 마함 바운스+상대 카드까지 올려버리는 허리케인이 돼서 나왔다. 다크니스 1, 2, 3은 2000 데미지, 공격력 4000 증가, 필드 위의 카드 한 장 제외로 약간씩 변경.
OCG화하더라도 카드군화가 꽤 어려운 카드들. 아무래도 "다크니스"라는 단어는 보통 명사라서 포함하는 카드가 꽤 많은데다 특히 TCG권에서 어둠을 다크니스로 번역해서 문제가 된다. 클리어처럼 카드명 지정 방식이 그나마 낫지만, 이미 발매된 2장을 포함하면서 구심점이 될만한 카드가 없다는 게 문제.
2. 몬스터 카드
2.1. 다크니스 디스트로이어
2.2. 다크니스 네오스피어
두 카드는 OCG화되었다. 항목 참조.2.3. 다크니스 아이
한글판 명칭 | 다크니스 아이 | |||
일어판 명칭 | ダークネス・アイ | |||
영어판 명칭 | Darkness Eye |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1 | 어둠 | 악마족 | 0 | 1000 |
양 플레이어의 턴마다 1번 씩, 자신이 컨트롤하는 세트된 마법/함정 카드를 "다크니스"의 효과를 무시하고 확인할 수 있다. 자신의 스탠바이 페이즈에 이 카드가 앞면 공격 표시일 경우, 그 턴 릴리스 없이 몬스터를 일반 소환할 수 있다. |
다크니스의 발동 확률을 보조하는 피핑 카드. 발동 효과지만 따로 언급을 하지 않다가 유벨의 귀띔을 들은 쥬다이가 이펙트 샷으로 체인해 파괴되었다.
2.4. 다크니스 시드
한글판 명칭 | 다크니스 시드 | |||
일어판 명칭 | ダークネス・シード | |||
영어판 명칭 | Darkness Seed |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2 | 어둠 | 식물족 | 1000 | 1000 |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턴으로 세어서) 2번째 스탠바이 페이즈에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소환한 이 카드는 다음 효과를 얻는다. ●이 카드는 전투에 의해 파괴되지 않는다. ●양 플레이어의 엔드 페이즈마다, 자신의 라이프가 4000보다 낮을 경우, 4000으로 만든다. |
2.5. 다크니스 슬라임
한글판 명칭 | 다크니스 슬라임 | |||
일어판 명칭 | ダークネス・スライム | |||
영어판 명칭 | Darkness Slime |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1 | 어둠 | 물족 | 0 | 0 |
자신이 컨트롤하는 앞면 표시 몬스터의 공격력 총합이 0일 경우, 이 카드를 패에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로 이 카드가 특수 소환됐을 때, 상대가 컨트롤하는 앞면 표시의 몬스터 1장을 선택한다. 이 카드의 원래 공격력과 수비력은 각자 선택한 몬스터의 수비력과 공격력이 된다. |
상대의 카드를 카피하지만 공수를 바꿔서 적용하는 것이 특징. 작중에서는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를 선택해 2000의 공격력과 2500의 수비력을 얻었다.
이후 네오스 와이즈맨을 특수 소환해 공격으로 인해 다크니스는 2000의 데미지를 받는다. 177화에서 다크니스의 라이프가 1300으로 줄어들었는데 라이프 계산 오류.
2.6. 다크니스 네크로슬라임
한글판 명칭 | 다크니스 네크로슬라임 | |||
일어판 명칭 | ダークネス・ネクロスライム | |||
영어판 명칭 | Darkness Necroslime |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2 | 어둠 | 물족 | 0 | 0 |
앞면 표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자신의 묘지에서 "다크니스 네크로슬라임"을 제외한 "다크니스"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1장 선택해 특수 소환한다. |
2.7. 다크니스 아웃사이더
한글판 명칭 | 다크니스 아웃사이더 | |||
일어판 명칭 | ダークネス・アウトサイダー | |||
영어판 명칭 | Darkness Outsider |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4 | 어둠 | 악마족 | 0 | 0 |
1턴에 1번, 패를 1장 버리고 몬스터 카드명을 1개 선언한다. 선언한 몬스터가 상대의 덱이나 엑스트라 덱에 있을 경우,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한다.그 후,이 카드를 상대의 덱에 넣고 셔플한다.[1] |
희대의 개사기 카드. 아무리 코스트 1장을 요구한다만 에이스 카드나 범용성 높은 카드들을 소환 조건까지 무시하고 가져올 수 있는 만능 카드다. 호르아크티를 다짜고짜 강탈해 듀얼을 끝내버리는 개그 영상도 있다.[2] 유튜브 자막. 카드 자체는 쥬다이의 덱에 들어간 것 같지만 초융합을 사용한 이후에는 따로 묘사되진 않는다.
이 카드로 컨트롤을 얻은 유벨이 코스트를 지불하지 않아도 파괴되지 않아서 다른 효과가 있었는지는 불명.
훗날 엑스트라 덱을 제외하고 제약을 더 붙여서 비슷한 효과를 가진 마법인 천성의 복종이 발매되었다.
2.8. 다크니스 블람블
한글판 명칭 | 다크니스 블람블 | |||
일어판 명칭 | ダークネス・ブランブル | |||
영어판 명칭 | Darkness Bramble |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6 | 어둠 | 식물족 | 2000 | 2000 |
양 플레이어의 턴마다 1번씩, 자신이 컨트롤하는 세트된 마법/함정 카드를 "다크니스"의 효과를 무시하고 확인할 수 있다. 이 카드는 전투에 의해 파괴되지 않는다. 양 플레이어의 엔드 페이즈마다, 자신의 라이프가 4000보다 낮을 경우, 4000으로 만든다. |
저 검은 열매(?)처럼 보이는건 사실 죄다 감은 눈이다. 애니에서 눈을 뜨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 장면이 참 그로테스크하다.
다크니스 네오스피어의 소환조건이 이 카드와 다크니스 레인클로에서 패, 필드의 악마족 1장씩을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바뀌었는데 정작 이 카드의 종족은 식물족이다.
2.9. 다크니스 레인클로
한글판 명칭 | 다크니스 레인클로 | |||
일어판 명칭 | ダークネス・レインクロー | |||
영어판 명칭 | Darkness Raincrow |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8 | 어둠 | 악마족 | 0 | 0 |
상대 몬스터가 공격 선언을 했을 때, 패의 이 카드와 자신이 컨트롤하는 앞면 표시의 "다크니스 블람블"을 각각 1장씩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덱에서 "다크니스 네오스피어" 1장을 특수 소환한다. |
3. 마법 카드
3.1. 다크니스
한글판 명칭 | 다크니스 | |||
일어판 명칭 | ダークネス | |||
영어판 명칭 | Darkness | |||
필드 마법 | ||||
이 카드를 발동할 때, 자신의 마법/함정 존에 있는 모든 카드를 파괴하고, 패나 덱에서 "제로" "인피니티" "다크니스 1" "다크니스 2" "다크니스 3"를 1장씩 무작위로 세트한다. 자신은 세트된 이 카드들을 확인할 수 없다. 양 플레이어의 엔드 페이즈마다, 자신이 컨트롤하는 모든 앞면 표시의 마법/함정 카드를 세트하고, 다시 나열한다. 자신이 컨트롤하는 마법/함정 카드가 필드 위에서 벗어날 경우, 자신이 컨트롤하는 마법/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
사실상 다크니스의 핵심 카드. 이 카드가 있어야 밑의 함정 콤보가 유효해진다.
4. 함정 카드
4.1. 제로
한글판 명칭 | 제로 | |||
일어판 명칭 | 虚無(ゼロ) | |||
영어판 명칭 | Zero | |||
지속 함정 | ||||
다음 효과는 자신이 앞면 표시의 "다크니스"를 컨트롤 할 경우 적용된다. 자신이 앞면 표시의 "인피니티"를 컨트롤하지 않을 경우, 자신의 마법/함정 존에 세트된 카드 1장을 발동한다. 자신이 앞면 표시의 "인피니티"를 컨트롤할 경우, 이 카드와 "인피니티"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마법/함정 카드를 발동한다. |
4.2. 인피니티
한글판 명칭 | 인피니티 | |||
일어판 명칭 | 無限(インフィニティ) | |||
영어판 명칭 | Infinity | |||
지속 함정 | ||||
다음 효과는 자신이 앞면 표시의 "다크니스"를 컨트롤 할 경우 적용된다. 자신이 앞면 표시의 "제로"를 컨트롤하지 않을 경우, 자신의 마법/함정 존에 세트된 카드 1장을 발동한다. 자신이 앞면 표시의 "제로"를 컨트롤할 경우, 이 카드와 "제로"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마법/함정 카드를 발동한다. |
4.3. 다크니스 1
한글판 명칭 | 다크니스 1 | |||
일어판 명칭 | ダークネス 1 | |||
영어판 명칭 | Darkness 1 | |||
지속 함정 | ||||
이 카드를 다시 세트하고, 이 효과를 발동한 턴 자신은 다른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인피니티"나 "제로"의 효과로 발동될 경우, 다음 효과를 대신 발동한다. ●자신이 컨트롤하는 앞면 표시의 "다크니스"라는 이름이 붙은 지속 함정 카드 1장당 상대가 컨트롤하는 카드 1장을 파괴한다. |
4.4. 다크니스 2
한글판 명칭 | 다크니스 2 | |||
일어판 명칭 | ダークネス 2 | |||
영어판 명칭 | Darkness 2 | |||
지속 함정 | ||||
이 카드가 "인피니티"나 "제로"의 효과로 가장 먼저 발동한다면, 다음 효과를 발동한다. ●자신이 컨트롤하는 앞면 표시의 몬스터 1장을 선택한다. 엔드 페이즈까지,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자신이 컨트롤하는 앞면 표시의 "다크니스"라는 이름이 붙은 지속 함정 카드 1장당 1000 상승한다. |
4.5. 다크니스 3
한글판 명칭 | 다크니스 3 | |||
일어판 명칭 | ダークネス 3 | |||
영어판 명칭 | Darkness 3 | |||
지속 함정 | ||||
이 카드가 "인피니티"나 "제로"의 효과로 가장 먼저 발동한다면, 다음 효과를 발동한다. ●자신이 컨트롤하는 앞면 표시의 몬스터 1장을 선택한다. 자신이 컨트롤하는 앞면 표시의 "다크니스"라는 이름이 붙은 지속 함정 카드 1장당 상대에게 1000 데미지를 준다. |
177화에서는 다른 다크니스 카드의 스택을 쌓는 용도였지만 그 다음 화에서 본격적으로 사용. 네오스 와이즈맨으로 회복했던 라이프를 단숨에 깎아내렸다.
효과 데미지 카드인데도 몬스터를 지정하는게 이상해 보이지만 몬스터를 선택할 수 없는 상황, 즉 대상 지정 내성이나 몬스터가 없는 경우라면 발동할 수 없다는 뜻이 된다.
5. 이름은 겹치지만 관련성이 없는 카드
- 붉은 눈의 암룡(레드아이즈 다크니스 드래곤)
-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레드아이즈 다크니스 메탈 드래곤)
이 2장은 텐죠인 후부키가 다크니스에 씌였을 때 사용한 카드들로, 원문명에는 다크니스가 포함된다. 정화된 후로는 다크니스의 가면을 다시 써야만 다룰 수 있다.
- 다크니스 소울
특히 영어판에선 'umbral soul'로 개명되어서 엄브럴 카드군이 뒤에 horror를 붙여야 했었다. - DDD 초사위왕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
다만 모티브 자체는 이 항목의 캐릭터로 보인다. - 사이버 다크니스 드래곤
사이버 다크 드래곤의 OCG 오리지널 강화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