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color=#fff> 김동훈 · 김장환 · 최용현 천창래 · 정성근 · 김종운 |
<colbgcolor=#1771ae><colcolor=#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771ae><tablebgcolor=#1771ae> | 달담 DALDAM | }}} | |
데뷔일 | 2020년 1월 23일 데뷔일로부터 D[dday(2020-01-23)]일 | |||
데뷔 음반 | 디지털 싱글 [[여우비(달담)| ]][[여우비(달담)#| ]][[여우비(달담)#s-| ]] | |||
장르 | 록 | |||
리더 | 김동훈 | |||
링크 |
[clearfix]
1. 개요
"청춘이라는 영화 속 우리라는 등장인물" |
2. 멤버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김동훈리더 | ||
2000.06.10. ([age(2000-06-10)]세) 키보드 | 1999.01.30. ([age(1999-01-30)]세) 보컬 | 1999.09.27. ([age(1999-09-27)]세) 기타 |
2000.09.08. ([age(2000-09-08)]세) 기타 | 1998.03.11. ([age(1998-03-11)]세) 베이스 | 1995.11.05. ([age(1995-11-05)]세) 드럼 |
3. 음반
3.1. 미발매곡
4. 활동
4.1. 공연 및 행사
4.2. 콘텐츠
4.3. 방송
<rowcolor=#fff> 일자 | 프로그램명 | 링크 | 비고 |
2024년 | |||
4월 4일 | 원음방송 [기분좋은 12시] | 동훈, 성근 출연 |
5. 여담
- 달담 멤버들의 첫 만남은 대학교에서였다. 김동훈의 곡으로 공연하기 위해 처음 모였는데, 다들 너무 잘 맞아서 그대로 팀을 만들었다고 한다. 초기 멤버에 천창래는 없었으나 뒤늦게 합류했다.
- 멤버가 6명인 것의 장점으로는 새로운 곡을 써도 다들 생각하는게 다르고 원하는 방향도 다르다보니 다채로운 느낌이 많이 난다는 점을 뽑았다. 장점과 동시에 단점인 것 같기도 하다고 말했다.
- 달담 서열 1위는 멤버들이 전부 본인을 뽑아서 한 번 붙어봐야(..) 알 것 같다고 한다. 반대로 서열 꼴찌는 확실히 정성근(맏형).
- 팀 내 논쟁거리가 있을 땐 특정 누군가의 의견을 따르기보다는 대부분 같이 의논하고 해결한다고 한다. 제일 중요한 음악적인 부분에서는 더욱 다같이 의논하고 결정한다고 한다.
- 달담으로 이루고 싶은 최종 목표는 "세계 최고. 우주 정복"(220327 언플러그드 공연) 하지만 실제로는 길거리 어디를 가도 달담의 노래가 들리는 것이라고 적었다. 현재 상황에서의 소소한 목표는 매번 공연을 찾아와주는 팬분들이 평생 달담의 노래를 잊지 않고 기억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한다.
- 다시 태어난다면 정성근은 김장환으로(평소 노래에 관심이 많기 때문이라고.), 김동훈은 천창래로(잘생긴 남자의 인생이 궁금하기 때문에) 태어나고 싶다고 한다. 다른 멤버들은 다시 태어나도 본인으로 태어날 거라고.
- 예전에 부산에서 활동하는 인디 뮤지션을 다루는 팟캐스트 방송에서 기획한 신인밴드 발굴 기획에 당첨 된 이후 기획 및 행사진행을 위해 만든 오픈채팅방에 멤버 전원이 상주중이다.
- 달담 멤버들은 모두 애니를 좋아한다고 한다. (달담의 사운드 클라우드 앨범 커버 사진만 봐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 달담 노래 중 소년만화는 데프트헌정 곡이며, 사월은 4월은 너의 거짓말, 슬램덩크는 슬램덩크를 보며 만들었고 물빛여름과 종말교실은 드라마 지금 우리 학교는을 보고 만들었다
- 종운피셜 주량 순위는 동훈>장환>창래>성근>용현>종운 이라고 한다.
- 성근의 최애곡은 RADWIMPS의 4645로 중학교 때 이 노래를 듣지 못했다면 밴드를 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현재 성근이 있게 해준 곡이라고 한다.
- 동훈의 최애곡은 RADWIMPS의 정답으로 정답만 찾아가려는 현대 사람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곡이라고 한다.
- 용현의 최애곡은 amazarashi의 Yocto로 편곡적인 무언가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 계기가 된 곡이며 '꿈을 이룬 사람들이 억광년만큼 노래를 부르니 우리가 있을 자리가 없어졌다.' 라는 가사에 꽂혀서 최애곡이 됐다고 한다.
- 종운의 최애곡은 zutomayo의 study me로 종운을 J-pop의 길로 빠져들게 한 곡이라고 한다.
- 창래의 최애곡은 John Mayer의 Gravity로 17살때 처음 듣고 기타리스트가 된다면 이런사람이 되고싶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 장환의 최애곡은 김진호의 가족사진으로 살면서 처음으로 다른사람 노래 듣고 눈물을 흘려보았고 이 계기로 자신도 다른사람에게 눈물을 흘릴수 있는 노래를 하고 싶다는 생각하여 음악을 처음 시작하게 해준 곡이라고 한다.
- 동훈이 멤버 장환을 처음 만났을때 이름을 장'완'으로 착각하여 연락처에 아직까지도 이름이 장완이 형이라고 저장되어 있다고..( 장환이 300번 정도 바꾸라고 말했는데도 바꾸지 않았다고 한다.)
- 동훈이 카톡에 저장해 놓은 멤버들 이름은 장환: 목쟁이/ 성근:북쟁이/ 종운: 두꺼운 줄쟁이/ 창래: 얇은 줄쟁이1/ 용현: 얇은 줄쟁이2
- 종운은 함께걷는 달, 창래는 사랑해줘서 고마워를 각각 자신이 찢은 곡이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 이 나무위키는 카페 언플러그드 기획공연(220327) 중 진행된 Q&A를 바탕으로 선제작되었다.
- 달담 인스타 라이브 방송, 개인 라이브 방송을 참고하여 작성했다.
- 아래와 같은 디자인의 공식 슬로건이 있다.
[1] 달담의 관련 링크들을 모아볼 수 있는 링크트리[2] 달담 공식 굿즈 스마트스토어[3] '앞에 있는 작은 결과보다 더욱 더 큰 그림을 보며 나아가자' 라는 모토를 담고 있다고 한다.[4] 4번째 피지컬 앨범 '축제'에 데모 버전이 5번 트랙으로 수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