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하동기(河東記)에 수록된 이야기 중 하나로, 원제는 판교삼낭자(板橋三娘子).2. 줄거리
때는 당나라 시대. 장소는 변주 지방에 있는 판교점이란 이름의 여관이다. 판교점의 주인 삼낭자는 나이가 갓 30세 정도 되어보이는 아름다운 여성으로 일가족이 없이 혼자 살았지만 재물을 꽤 많이 가지고 있었다. 그녀는 어려운 형편의 사람들에게 자신이 가진 것들을 주면서 사람들을 도와 모두에게 인기가 많았다.어느 날, 나그네인 조계화란 남성이 우연히 판교점으로 오게 되었다. 동도지방으로 가다가 날이 저물어서 일단 판교점에 하룻밤 묵고 갈 예정이었기에 이곳에서 잠시 짐을 풀었다. 이곳에서 온 사람들과 어울리며 담소하고 모두가 잠을 자러 간 한밤중에 조계화는 잠이 오지 않아서 잠시 밖으로 나갔다.
그런데 그때 삼낭자의 모습을 보게 되었는데... 삼낭자는 밤중에 불을 켜고 희한한 주술을 부리기 시작했다.
먼저 상자 안에 나무인형과 나무소를 꺼내서 그릇에 담긴 흙위에 올려놓은 뒤 물을 뿜어서 그들에게 생명을 불어넣었다. 살아난 나무인형은 나무소를 끌고 흙을 일군 뒤 삼낭자가 준 메밀씨앗을 받아 흙에 뿌렸다. 메밀 씨는 금세 싹을 틔우고 이삭이 영글었다. 나무인형은 그것을 베었고 삼낭자는 메밀이삭을 받은 뒤 나무인형과 나무소를 다시 상자에 넣었다.
이후, 메밀이삭을 탈곡한 뒤 그걸 맷돌에 넣고 돌려서 가루를 낸 뒤 떡을 만들고 잠자리에 들었다. 조계화는 서둘러 방안으로 들어가 잠을 청했고 날이 밝자마자 삼낭자는 손님들에게 어제 만든 메밀소병을 아침식사로 접대했다. 물론 이를 수상하게 여긴 조계화는 갈 길이 멀어 빨리 가야 한다고 핑계를 대고는 떡을 먹지 않고 서둘러 밖으로 나가 상황을 몰래 지켜보았다.
손님들은 그 소병을 먹는 순간 한바퀴 구르고 나귀로 변신했다. 그리고 삼낭자는 손님들이 가지고 온 모든 짐들을 자신의 방으로 가져간 뒤 손님들이 변신한 나귀를 나귀목장으로 들여보냈다. 조계화는 이걸 보고 서둘러 동도로 달아났다.
한 달 뒤, 조계화는 동도에서의 일을 마무리하고 다시 고향으로 가다 우연히 판교점을 다시 들르게 되었다. 이번에는 그 외에는 다른 손님들이 없었다. 다시 밤이 되자 삼낭자는 그때처럼 메밀소병을 만들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조계화도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동도에서 똑같이 생긴 메밀소병을 여러 개 사서 가져온 것이다. 조계화는 이미 삼낭자의 주술을 알고 있었기에 '흥, 어디 한 번 변신시켜 봐! 나도 대비를 했으니까!'라고 싱긋 웃으며 잠자리에 들었다.
날이 밝자 삼낭자는 조계화에게 메밀소병을 주었다. 조계화는 삼낭자가 보지 않을 때 몰래 삼낭자의 떡을 자신이 가져온 떡 하나와 바꿔치기 한 뒤 가져온 떡을 먹었다. 잠시 후, 삼낭자가 자신의 곁으로 오자 조계화는 "동도 여행 중에 산 비슷한 떡인데, 맛이 어떤지 봐 주시오."라며 몰래 바꿔치기한 삼낭자의 떡을 그녀에게 주었고 그녀는 그 떡을 먹자마자 한바퀴 뒹굴어 나귀로 변했다.
조계화는 껄껄 웃으면서 "좋아! 잘 되었다."라고 외친 뒤 삼낭자가 주술에 썼던 물건들을 불태우고 그녀가 모은 재산들을 가지고, 삼낭자가 변신한 나귀를 타면서 전국을 두루 유랑했다. 나귀를 타고 다니면서 한번도 길이 막히거나 길을 잃은 적이 없었고 하루에 100리를 다녔다.
4년 뒤, 조계화는 그 나귀를 타고 가던 중, 한 노인을 만났는데 노인이 나귀를 보고 삼낭자가 변한 것임을 바로 눈치채고 판교점의 삼낭자가 어쩌다 그런 꼴이 됐냐며 박장대소한다. 노인은 그녀의 잘못이긴 하지만 불쌍하니 풀어달라고 말하고 삼낭자에게 걸린 주술을 해제한다. 원래 모습으로 돌아온 삼낭자는 노인에게 절을 하고 어디론가 사라진다.
3. 그 외
한국에도 8~90년대 이 전래동화를 비롯한 여러 중국의 동화들을 담은 책의 에피소드 중 하나로 나오기도 했는데, 여기서는 웬 도인이 나타나서 삼낭자가 자기 제자인데 도술을 악용해서 나쁜 짓을 하다가 조계화에게 발각되어 벌을 받던 걸 찾아낸 후 자기가 책임지고 엄하게 혼을 낼 테니 용서해달라고 하여 허락을 받자 삼낭자와 당나귀로 변한 사람들의 저주를 풀어주고 자신은 삼낭자를 데리고가며 사라지자 조계화가 그동안 삼낭자가 모은 재물로 부자가 됐다는 내용으로 끝났다. 다른 버전에서는 노인이 둘 중 한 명의 목숨을 내놓으라 요구하자 조계화가 삼낭자를 불쌍히 여겨 자신의 목숨을 내놓겠다 말하는데, 노인이 삼낭자를 원래대로 되돌려주고, 삼낭자는 노인에게 스승님이라 부르며 용서를 빈 후, 노인이 용서해 주자 조계화와 아예 결혼까지 한다는 메데타시 버전도 있다.일본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는데 전체적인 스토리는 비슷하지만 이쪽은 나귀가 아닌 말로 변하고, 사람을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이 줄무늬가 있는 참억새인 점 등 세부적인 부분이 다르다. 마지막에는 사람들을 말로 변신시켜 부려먹던 여관 직원들이 피해자들이였던 나그네들이 준 떡을 먹고 말로 변하고 이에 용서를 구했지만 여관 직원들이 변심하고 또 다시 나쁜 짓을 벌알 것을 염려한 나그네들이 말로 변한 여관 직원들을 들판에 풀어 야생마로 만든다.
만화 세계 옛날 이야기에서도 애니로 나온 바 있다. 이 에피소드 역시 80년대에 MBC로 더빙방영했다.
채지충이 4컷 개그맨화로 재구성한 귀호선괴(鬼狐仙怪)에서는 조계화 역을 맡은 주인공의 파티원으로 나귀대선 이라는 캐릭터가 등장하는데, 이 양반은 삼낭자의 떡을 먹고 인간이 되었으며, 그녀의 주술을 응용해 일명 사람떡, 즉 나귀를 인간으로 만드는 떡을 만들었다.
여기서 해설자가 판교 이외 지역 조폭들에게 항의를 받자 이야기 배경을 해명했더니 조폭들이 이해하고 갔는데 하필 판교 지역 조폭들이... 주역 중 하나인 삼낭자는 십삼낭자란 이름의 과부로 등장하며 13번의 결혼과 사별로 인해 홀로 살며 여관을 운영하고 있고 조계화 역을 맡은 주인공은 무용이란 이름의 도사 지망생인데 십삼낭자가 벌이는 악행을 추적한다.
유튜브 괴담실록에서는 이야기가 약간 각색되었는데 조계화가 삼낭자의 목우와 목인으로 돈 벌 욕심을 가지나 목우와 목인을 깨우기 위해 여러 방법을 써보았음에도 목우와 목인이 깨어나지 않았다. 결국 삼낭자에게서 빼앗은 재산은 모두 써버리고 노인이 삼낭자를 원래대로 돌려놓은 뒤 목우와 목인을 없애버린다. 노인이 절망하는 조계화에게 너는 아직 목우와 목인으로 악행을 저지르진 않았으니 더 좋은 것을 주겠다며 보자기 하나를 준 뒤 삼낭자를 데리고 돌아갔는데 조계화가 보자기를 펼쳐보자 자신이 친구에게 빌렸던 것과 같은 금액의 은자들이 있었다. 조계화는 이를 보고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갔다는 것으로 끝이 난다.
아라비안 나이트에 등장하는 랍 여왕과 바드르 왕의 이야기가 이 이야기와 상당히 닮아 있다. 한국 설화 소가 된 게으름뱅이 및 그리스 로마 신화의 키르케와도 비슷한 점이 있다.
외국의 단편영화 Skin & Bone도 이와 비슷하다. 다만 이쪽은 여성이 인간을 말이나 염소 등 다양한 동물로 만드는 능력이 있다. 남자 주인공이 동물로 변한 사람들의 환영을 보게 되고 그들이 자신들을 죽여달라는 요구대로 그들을 죽이는데는 성공하지만 정작 이 사태의 원흉인 여성을 죽이는데는 실패해서 주인공 본인도 염소가 된다.[1]
[1] 남자 주인공은 눈 한쪽이 백내장이 생겼는지 뿌옇게 된 상태인데 마지막 장면에 나온 염소도 주인공처럼 한쪽 눈이 뿌옇게 되어있다. 이는 주인공이 염소가 되었음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