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9 14:23:03

대구 동대사 고려불경 일괄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1. 징청각
  2. 팔공산마애약사여래좌상
  3. 영영축성비
  4. 대구부수성비
  5. 북지장사삼층석탑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파계사원통전[2]}}}
  1. 봉무정
  2. 성재서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동화사대웅전[3]}}}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동화사극락전[4]}}}
  1. 동화사부도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파계사목조관음보살좌상[5]}}}
  1. 동화사염불암마애여래좌상및보살좌상
  2. 북지장사석조지장보살좌상
  3. 부인사석등
  4. 부인사서탑
  5. 신무동마애불좌상
  6. 동화사염불암청석탑
  7. 팔공산동봉석조약사여래입상
  8. 신무동삼성암지마애약사여래입상
  9. 송정동석불입상
  10. 이공제비및군수이후범선영세불망비
  11. 선교사스윗즈주택
  12. 선교사챔니스주택
1.#26 선교사블레어주택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탁영종택문적}}}
  1. 부인사부도
  2. 성모당
  3. 대구제일교회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월곡우배선임진왜란창의유록및관련문서[6]}}}
  1. 도곡재
  2. 효종어전희우시회인물도
  3. 남지장사 청련암
  4. 달성 용봉동 석불입상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달성 하목정[7]}}}
  1. 명심보감판본
  2. 이철견신도비
  3. 망우당선생문집책판(부)창의록책판
  4. 존재선생실기책판
  5. 용연사 극락전
  6. 대견사지 삼층석탑
  7. 샬트르성바오로수녀원성당
  8. 남산초등학교 강당
  9. 계성학교아담스관
  10. 계성학교맥퍼슨관
  11. 계성학교핸더슨관
  12. 구대구상업학교본관
  13. 한국산업은행대구지점
  14. 유가사석조여래좌상

[1] 보물로 승격[2] 보물 제1850호로 승격[3] 보물 제1563호로 승격[4] 보물 제2132호로 승격[5] 보물 제992호로 승격[6] 보물 제1334호로 승격[7] 보물 제2053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95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옻골경주최씨백불암파종가소장전적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동화사아미타후불탱[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동화사보조국사진영[9]}}}
  1. 대암선생문집책판
  2. 대구읍지
  3. 대구 동화사 제석도
  4. 대구 동화사 천룡도
  5. 대구 동화사 염불암 극락구품도
  6. 대구 동화사 칠성도
  7. 대구 동화사 지장삼존도
  8. 대구 동화사 인악당대사 의첨 진영
  9. 대구 동화사 대웅전 석가영산회상도
  10. 대구 동대사 고려불경 일괄
  11. 금보
  12. 윤희손초상
  13. 태을산분정아국주군분야도
  14. 천태사교의집해
  15. 신간삼략언해
  16. 천자문
  17. 허암유고
  18. 대구 안일사 목조석가여래좌상
  19. 대구 은적사 목조석가여래좌상
  20. 대구 파계사 원통전 수미단
  21. 대구 파계사 왕실 원당 관련 고문서 일괄
  22. 대구 금성사 육경합부
1.#76 대구 서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1.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감지금은니문수최상승무생계법(묘덕계첩)[10]}}}
  1. 삼국사기
  2. 북정록
  3. 이수충가 소장 전적
  4. 묘법연화경 권4∼7
  5. 입학도설
  6. 삼경합부
  7. 천사일로일기
  8. 사조선록 상
  9. 소수서원 관련 고문서
  10. 대구 남지장사 석조지장보살좌상
  11. 대구 남지장사 석조석가여래삼존좌상
  12.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
  13.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14. 대구 광덕사 신중도
  15. 지장보살본원경
  16. 대구 동화사 내원암 목조보살좌상
  17. 대구 동화사 내원암 칠성도

[8] 보물 제1610호로 승격[9] 보물 제1639호로 승격[10] 외부지역(서울)으로 반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

파일:대구 동대사 고려불경1 일승법계도.jpg
일승법계도

파일:대구 동대사 고려불경2 대방광불화엄경 권43.jpg
대방광불화엄경 권43

파일:대구 동대사 고려불경3 대방광불화엄경 정원경.jpg
대방광불화엄경 정원경 권12

파일:대구 동대사 고려불경4 불설치성광대위덕금륜왕소재길상다라니경.jpg
불설치성광대위덕금륜왕소재길상다라니경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4.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63호

1. 개요

大邱 東大寺 高麗佛經 一括. 고려 중기 11세기~13세기 경 만들어진 한국의 두루마리 불경 4축. 현재 대구광역시 수성구동대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63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

대구광역시 동대사에서 전해내려오고 있는 4축의 두루마리형 불경으로 주요 제작시기는 1000년대~1200년대 사이이다. 대방광불화엄경 권43은 1000~1100년대 제작되었고, 일승법계도는 1100~1200년대 간행되었으며, 불설치성광대위덕금륜왕소재길상다라니경은 고려 고종 3년인 1216년에 김숙룡(金叔龍)이란 고려인이 발원한 것이다. 대방광불화엄경 정원경 권12는 정확한 제작 시기는 알 수 없으나 형태적으로 볼 때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은 확실하다.

고려 중기, 1000년대~1200년대 사이 한국의 불교사 및 서지사, 인쇄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일승법계도는 일승법계도원통기와 함께 국내 유일 간본으로 그 의의가 크며, 불설치성광대위덕금륜왕소재길상다라니경도 기존 팔만대장경에는 실려있지 않은 자료로 중요한 역사적 가치가 있다.

3. 외부 링크

4.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63호

① 대방광불화엄경 권12 : 권수의 일부가 낙장되었지만 권말의 축까지 완전하며 권말에는 음의가 있는 점에서 재조대장경 조성 당시의 국내본에 대한 이해에 보충적 자료로서 충분한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됨

② 대방광불화엄경 권43 : 권수의 일부가 낙장되었지만 전체적으로 권말까지의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사경체가 가미된 필체로 간행시기가 11~12세기경으로 추정되는 책으로 불교사, 서지사, 서예사 등의 중요한 자료로 보존 및 활용의 가치가 있다고 평가됨

③ 일승법계도 : 의상의 중요 저술이라는 점과 서체와 형태면에서 12~13세기의 간행물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며, 당시의 인쇄문화와 서체, 간행사실 확인의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평가됨

④ 불설치성광대위덕금륜왕소재길상다라니경 : 권말에 김숙룡(金叔龍)이 국왕과 진강공(晉康公) 최충헌의 장수를 기원하기 위하여 정우(貞祐) 4년(1216) 병자(丙子) 8월에 간행하였음을 밝히는 발원문이 있어 불교사, 서지사 측면에서 중요한 자료가 되며 당시의 사상사를 보충하는 기록이 될 것으로 평가됨